Ubuntu 10.04에 AWstats 설치하기

아파치 웹로그를 분석하는 툴로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이 webalizer입니다.

webalizer보다도 좀 더 강력한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AWstats 인데, 이를 우분투에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다음의 문서를 참조하였습니다. : http://ubuntu-tutorials.com/2008/01/16/configuring-awstats-on-ubuntu-server/

1. 패키지 설치

다음 명령어로 먼저 awstats를 설치합니다.

sudo apt-get install awstats libgeoip1 libgeoip-dev libgeo-ip-perl

2. conf 파일 수정

각 virtual host 별로 conf 파일을 만들어주어야 합니다. host 명을 domain.tld 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새로 config 파일을 하나 생성해줍니다. 저의 경우에는 localhost로 명명했습니다.

sudo cp /etc/awstats/awstats.conf /etc/awstat/awstats.domain.tld.conf

그리고 생성된 파일을 수정합니다.

sudo vi /etc/awstats/awstats.domain.tld.conf

이 때 수정할 항목으로는

  • LogFile=”/var/log/apache2/access.log”
  • LogFormat=1
  • SiteDomain=”domain.tld”
  • HostAliases=”www.domain.tld localhost 127.0.0.1″

위와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GeoCity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데이터파일을 직접 다운받아 설치합니다.

wget
http://geolite.maxmind.com/download/geoip/database/GeoLiteCity.dat.gz  (위의 줄까지 한 줄입니다)
gzip -d GeoLiteCity.dat.gz
sudo mv GeoLiteCity.dat /usr/share/GeoIP

또한 GeoIP를 활성화 시키기 위해서 다음 라인을 활성화 시켜고, GeoIP.dat 파일 경로를 적어줍니다.

  • DNSLookup=0
  • LoadPlugin=”geoip GEOIP_STANDARD /usr/share/GeoIP/GeoIP.dat”

추가적으로 GeoCity 정보를 활성화하려면 아래 라인을 활성화시켜줍니다.

  • LoadPlugin=”geoip GEOIP_STANDARD /usr/share/GeoIP/GeoLiteCity.dat”

3. apache 설정

저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awstats.conf 파일을 새로 하나 만들었습니다.

sudo vi /etc/apache2/conf.d/awstats.conf

파일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Alias /awstatsclasses “/usr/share/awstats/lib/”
Alias /awstats-icon/ “/usr/share/awstats/icon/”
Alias /awstatscss “/usr/share/doc/awstats/examples/css”
ScriptAlias /cgi-bin/ /usr/lib/cgi-bin/
ScriptAlias /awstats/ /usr/lib/cgi-bin/
Options ExecCGI -MultiViews +SymLinksIfOwnerMatch

저장하고, apache를 재시작합니다.

sudo /etc/init.d/apache2 restart

4. 과거 로그 파일 처리하기

저의 경우에는 logrotate가 설치되어 있기에, 과거 gz로 압축된 로그들을 처리해야 했습니다.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통해 간단하게 과거의 로그들을 하나로 통합해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주의할 점은, awstats는 가장 마지막으로 parse된 파일 이후의 것만 처리하기 때문에 과거 로그를 먼저 import 한 다음에 최신 로그를 처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즉 4번 단계를 먼저 하고 5번 단계를 하시면 되며, 과거 쌓인 내역이 없거나 분석하기 원치 않으시는 경우에는 바로 5번 단계로 넘어가시면 됩니다.

cd /var/log/apache2
gzip -d access.log.*.gz
sudo /usr/share/doc/awstats/examples/logresolvemerge.pl access.log.* >> access_combined.log
sudo /usr/lib/cgi-bin/awstats.pl -config=localhost -LogFile=”/var/log/apache2/access_combined.log”

아마 초기 업데이트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입니다.

5. 업데이트

최근 로그(access.log)는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통해 업데이트 가능합니다.

sudo /usr/lib/cgi-bin/awstats.pl -config=domain.tld -update

이를 아래와 같이 crontab 에 등록시켜두면 매 시간마다 자동으로 로그를 바탕으로 업데이트하게 됩니다.

6. cron에 등록

sudo crontab -e

그리고 아래 내용을 등록합니다.

0 * * * * /usr/lib/cgi-bin/awstats.pl -config=domain.tld -update >/dev/null

7. 확인

위와 같이 모든 셋업 과정이 끝납니다. 웹브라우저에서 아래 주소로 접속하면 됩니다.

http://domain.tld/awstats/awstats.pl

저의 경우에는 도메인 이름을 localhost로 등록해서, 아래와 같이 접속해야 했습니다.

http://domain.tld/awstats/awstats.pl?config=localhost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서의 악보집의 미래

예전에 온라인 상의 콘티 작성에 대한 글을 올린 적이 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비슷한 컨셉의 서비스가 이미 상용화되어 있다:

http://www.worshipplanning.com

http://www.planningcenteronline.com

Planning Center Online 같은 경우에는 iphone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ㅎㄷㄷ한 모습까지 볼 수 있다.

아직 국내에는 온라인 콘티 작성조차도 활성되지 않은 형편이지만, 벌써 해외에서는 모바일 물결까지 준비하고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악보집의 발전사를 세대별로 정리해보자면,

1세대 – 책 형태의 악보집

2세대 – CD 프로그램 형태의 악보집

3세대 – 인터넷 상의 악보집

4세대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서의 악보집

과 같은 형태가 되지 않을까 싶다.

현재 국내에서는 2세대까지가 활성화 된 단계이고, 미국 등 해외에서는 3~4세대까지 활성화가 된 상태이다.

그리고 4세대의 도래를 가능하게 할 도구로는, 역시 애플의 iPad를 들 수 있다.

애플의 iPad와 같은 기기는 컨텐츠 중심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최적의 도구라고 생각한다. 기존의 iPhone이 다소 작은 화면 때문에 악보집 및 콘티 작성에 필요한 기능을 모두 구현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반면 iPad는 훨씬 더 넓은 화면으로 쾌적한 콘티 작성을 가능하게 한다.

Cellvic 및 PocketPPC로 이런저런 어플을 작성해 본 경험이 있는지라 모바일 프로그래밍에 대해 대충은 알고있다. 그 시절에는 불편한 인터페이스 때문에 사용자 친화적인 프로그램 설계에 어려움이 많았지만, 애플 iPhone이 불러운 혁신으로 인해 좀 더 사용자가 다가가기 쉬운 모바일 컴퓨팅이 가능해졌다.

다만 문제는 악보 저작권 업체들과의 관계이다.

현재의 악보집 산업 구조에서는 아직 악보 저작권 업체들이 큰 힘을 발휘하고 있으며, 여기에 부여된 각종 조건들 때문에 새로운 세대를 준비하는 것이 생각보다 쉽지 않은 형편이다. 당장 악보 다운로드만 해도, 악보를 구매한 이후 7일간만 다운로드가 가능하게 하는 등 제약 조건들이 많다.

게다가 미국의 CCLI 처럼 일원화된 곡 관리체계가 있는 것도 아니고, 다소 중구난방 식으로 흩어져 있다보니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를 모두 만족시키는 것이 쉽지 않은 형편이다.

일단은 저작권 업체들의 공통된 인식이 제일 중요할 것 같다. 이러한 공통된 합의 아래에서 다음 세대를 위한 새로운 악보집 서비스들이 더 많이 나올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우리는 왜 사는가?” –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통해 결론내린 인간의 존재 목적

1.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이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와 요리문답은 1643년 7월 1일부터 1648년 2월 22일까지 영국의 장기의회가 영국 웨스트민스터에 소집한 성직자들과 의회원들의 유명한 전국적 회의에서 작성되었다.

처음에 상원의원 10명, 하원의원 20명, 그리고 성직자 121명이 소집되었으나, 후에 결석자들을 보충하기 위해 21명이 추가되었다. 수년에 걸쳐 지속된 이 회의들의 평균 출석수는 60~80명이었다.

소집된 인사들은 각각 감독교회, 장로교회, 독립교회, 에라스투스 제도를 대표하였으나, 1643년 영국과 스코틀랜드 양국간에 ‘엄숙한 동맹과 언약(Solemn League and Covenant)’이 서명된 후 감독교회 인사들이 물러가고 출석자의 대다수는 장로교파였다. 독립파와 에라스투스파로 인한 끊없는 논쟁은 회의 진행을 1644년 말까지 지연시켰다.

결국 1646년 12월 3일에 신앙고백서가 의회에 제출되었으며, 의회의 지시에 따라 1647년 4월 29일에는 각 명제에 대한 성경구절 주석이 첨부되었다. 그 뒤를 이어 소요리문답은 1647년 11월 5일에, 대요리문답은 1648년 4월 14일에 보고되었다. 이 문서들은 영국 의회뿐만 아니라 완성되는 대로 스코틀랜드 총회가 비준했다.

그러나 크롬웰 군대에 의해 의회가 예속되자 곧 장로교 목사들이 축출되었다. 그는 강제로 장기의회를 해산시켰으며, 그에 따라 위원회는 해체되었다.

미국의 처음 지방노회가 1729년에 이 신앙고백서와 요리문답을 교회의 신앙고백으로 채택해으며, 이 문서들은 스코틀랜드와 영국과 아일랜드와 미국의 모든 장로교회들이 받아들이게 되었다.

국가적 교회에 대한 견해를 거부했던 미국의 지방노회는 신앙고백서 제20장, 제23장, 제31장 등의 일부를 수정했다. 이렇게 변경되고 수정된 신앙고백과 요리문답들이 미국 장로교회 교리 부분이 되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위원회는 처음에 신앙고백과 요리문답들을 동시에 준비했으나, 얼마 진행한 후 우선 신앙고백서를 필하고, 그것을 표준으로 삼아 요리문답들을 작성하기로 결의했다.

1646 년 12월 3일에 완성된 신앙고백서를 회의의 이름으로 국회에 제출했고, 국회는 그 각 부분에 성경구절을 난외(欄外)에 방주(傍註)를 달라고 지시했다. 회의는 마침내 각 명제에 대한 성경구절을 완전히 첨부해서 1647년 4월 29일에 의회에 보고했다.

2.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의의는?

장로교의 신학적 근거는 바로 여기에서 나왔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요약한 것이 “소요리문답”으로서 다루는 대상은 매우 광범위한데, 그 첫번째 질문과 대답이 인상적이다. 소요리문답에서는 인간의 존재 목적을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소1. 사람의 첫째되는 목적은 무엇인가?

☞ 사람의 첫째되는 목적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과 영원히 그를 즐거워하는 것이다.

기독교에서 “인간은 왜 사는가?”는 질문에 대해 내린 가장 명쾌한 답이자, 크리스천의 신앙 원리와 핵심을 말한다고 볼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인간의 삶의 목적을 다른 무언가를 이루는 것으로 정의하곤 한다. 인간은 어떠한 “사명”을 가지고 이 땅에 태어났으며, 그 사명을 이루기 위해서 살아간다고. 그것이 때로는 전도, 혹은 선교라는 이름으로 치환되기도 하고, 직업적 소명으로 귀결되기도 하지만, 나는 그것은 수단이 될 수 있을지는 몰라도 목적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것은 우리가 삶의 목적을 추구하면서 나오는 부차적인 산물일 뿐이지, 삶의 목적 그 자체는 아니다.

인간의 삶의 목적은 간단하다. 하나님께서 인간을 창조하신 이유는, “일을 시키시기 위해서”가 아니다. 하나님께서는 아담을 노예로 창조하지 않으셨다. 하나님께서는 아담을 자유인으로 창조하셨다. 인간의 죄 때문에 노동이라는 굴레를 부여하셨지만, 그렇다고 일을 하는 것, 무언가 사명을 이루는 것 자체가 우리 인간의 목적은 아니다. 하나님께서 인간을 창조하신 이유는,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과 그를 영원히 즐거워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서 충격일 수도 있다.

한 남자가 한 여자를 사랑한다고 해 보자. 그런데 그 남자는 여자에게 자꾸 무엇인가를 해 주려고 한다. 그럴때면 이렇게 말하지 않겠는가? “그런거 없어도 네가 나 사랑하는 거 알아. 그냥 나에게 사랑한다고 고백해주고, 나로 인해서 기뻐해주기만 하면 돼”라고 말하지 않겠는가?

하나님과의 관계도 그와 같다. 하나님을 위해서 너무 많은 “무엇인가를 해 드리려” 할 필요 없다. 하나님은 그런 것 없이도 충분히 영광스러우신 분이고, 부족함 없으신 분이다. 그러니 그냥 하나님을 인해서 기뻐하고 즐거워하면 된다. 많은 것을 하려고 노력할 필요 없이, 그냥 그 분의 존재를 영광스럽게 높여드리고, 그 분을 인하여 기뻐하고 즐거워하면 된다. 그것이 바로 예배이다. 그리고 그것이 바로 인간의 삶의 목적이다.

거기에 비전, 삶의 목적, 소명, 그러한 말을 덧붙일 필요 없다. 그런 것 없어도, 단지 하나님을 영광스럽게 하고 즐거워하는 것 만으로도 우리 인간은 이미 충분히 자신의 삶의 목적을 다 한 존재인 것이다. 그것이 바로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의 첫번째 되는 질문이자 답변이다.

*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에 대한 설명 참조 : http://www.nazuni.pe.kr/faith/creeds/westminster/

[예배] 제발 예배 중에 회중을 카메라로 잡지 말아주세요!

많은 큰 교회에서는 예배 실황을 영상으로 만듭니다. 오늘은 그 카메라 샷에 대한 이야기를 한 번 해보고자 합니다.

악보 편집 작업중에 이번에 신곡으로 추가된 Paul Baloche의 “Wonderful God” 영상을 보는 중이었습니다.

Youtube : http://www.youtube.com/watch?v=7yPX1AJzgcY

영상을 보는데, 뭔가 한국의 예배랑 많이 다른 것 같더군요. 뭐가 다르지? 하고 곰곰히 생각해보니 바로 카메라 앵글이었습니다. 한국에서 드려지는 예배와는 다르게 회중을 카메라에 담지 않고, 처음부터 끝까지 예배 인도팀에게 초점을 맞추더군요.

그리고 제게는 그것이 매우 편하게 다가왔습니다. 무엇보다도 정말 예배에만 집중할 수 있었습니다.

제 한국 출석교회는 여의도순복음교회입니다. 한국에 가서 예배 드릴때마다 적응이 잘 안되는 부분이, 바로 큰 스크린으로 회중의 얼굴을 비춰주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비중이 무척 높습니다. 적어도 50%의 시간은 이른바 “은혜롭게 찬양하는 회중들”의 모습을 잡아서 비춰주었던 것 같습니다.

저는 그게 불편했습니다.

뭐랄까요, 사람마다 반응이 다를 수 있겠지만, 저는 솔직히 “민망하다”고 느낍니다. 익숙해지신 분들이 있을수도 있고, 다른 회중들이 “은혜롭게” 예배하는 모습을 보고 도전을 받으시는 분들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저는 불편하고 민망합니다.

왜 예배중에 제가 생판 모르는 남 얼굴을 감상하고 있어야 하나요? 그 사람이 예배를 드리건 지지고 볶던간에 하나님과 개인의 관계가 아닌가요? 무엇보다도 다른 회중들의 모습을 보면서 더 하나님께 잘 집중할 수 있는 사람이 있나요? 얼굴이 잡힌 사람들이 그나마 멀쩡히(혹은 담담한 척 하며) 예배를 드리고 있으면 그래도 조금은 낫습니다. 몇몇 회중들은 “당황해서” 급히 얼굴을 홱 돌리거나, 손으로 얼굴을 가리거나, 심지어는 실소를 터트리기도 합니다.

그리스도인은 예배에는 초상권도 가질 수 없습니까? 왜 동의도 없이 지멋대로 얼굴을 찍어가는 겁니까? 조금이라도 아는 지인이 예배중에 스크린에 나오면 얼마나 방해가 되는지 촬영 담당 팀들은 아는지나 모르겠습니다. 아, 모를려나요. 그 사람들은 저 뒤쪽에 앉아서 카메라 돌리라고 지시만 하는 사람들이니까요.

더 분통터지는 것은 자꾸 사람들이 민망해하니까 아예 예배 시작할 때 공지를 띄우더군요.

“예배 중간에 카메라에 얼굴이 잡히더라도 평상시처럼 예배드리시기 바랍니다.”

아, 알겠습니다. 우리에게 인내심과 평정심을 훈련시키려는 것이군요. 그래서 어떠한 카메라 앵글이 와도 당황하지 않게끔 하는 것을 연습시키려는 것이었군요. 몰랐습니다. 죄송합니다.

사람들이 민망해하는 이유는 딱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예배중에 회중이 원하지 않는 것을 억지로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동의도 없이 강제로 얼굴을 찍어가니까 민망한 것이지요. 그 어색한 반응을 보는 사람들도 민망하기는 마찬가지이구요.

까놓고 말하겠습니다. 저도 남자이니까요. 솔직히 말하자면 화면에 자매들 얼굴이 나오면 집중이 안 됩니다. 그건 제 의지와는 관계없는 겁니다. 지나가는 여자들 있으면 아무래도 남자들이 한 번 힐끗 보게되지 않습니까? 그리고 주의력이 흐트러지고 집중이 분산됩니다. 한 번이면 괜찮습니다. 문제는 그걸 예배 내내 경험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예배를 드리고 나면 괜히 열받습니다. 나는 조용히 곡에 집중하고, 가사에 집중해서 예배를 드리고 싶은데, 자꾸 화면이 나를 방해합니다. 저만 그런건가요?

짜증이 나서 요즘은 아예 예배를 처음부터 끝까지 눈감고 드립니다. 그런 분들 요즘 많이 생기신 것 같더군요. 아, 생각해보니 영상으로 자꾸 비춰주는 것은 눈감고 집중해서 예배드리라는 말인지도 모르겠군요. 아예 곡이랑 가사도 다 외우는 효과도 있겠군요. 가사 모르면 눈감고 부를 수 없으니까요. 감사합니다. 덕분에 곡 가사까지 암기하게 되었네요. 그런 의도가 있었는지 몰랐습니다.

비단 이 문제는 저만 느끼는 것은 아닐 겁니다. 홀리기타에도 아래와 같은 글들이 올라와 있습니다:

http://www.holyguitars.com/home/bbs/board.php?bo_table=talk&wr_id=53336&sfl=&stx=&sst=wr_datetime&sod=asc&sop=and&page=408

예배 중의 회중의 모습을 영상으로 담고자 하는 영상팀의 욕심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좀 더 다이나믹하고 회중의 반응이 있는 영상이 만들어지긴 할 겁니다. 기록물로서의, 혹은 상영물로서의 영상의 가치는 물론 높아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요즘은 웹 스트리밍으로 예배를 드리는 경우도 있고, 또한 본 성전의 예배를 영상으로 전송해서 드려야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런 것도 간과할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예배는, “보여주기”를 위한 것이 아니라 “드려지기”위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배워온 바에 의하면, 예배를 인도하고 혹은 서포트 하는 사람들이 꼭 지켜야 할 절대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회중이 하나님께 나아가는데 장애가 되어서는 안 된다.
2. 회중이 하나님께
나아가는데 장애가 되어서는 안 된다.


3. 회중이 하나님께
나아가는데 장애가 되어서는 안 된다.



이것은 절대 원칙입니다. 어떠한 경우에라도, 그것이 음향이든, 선곡이든, 영상이든, 회중에 하나님께 나아가는데 장애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그래서 때로 필요하다면 악기마저도, 음향마저도 내려놓아야 하는 것이 예배입니다.

아쉽게도 많은 한국 교회에서 그러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우리가 드려야 할 예배는 “보여주기”를 위한 것은 아니지 않습니까? 더 좋은 영상물을 뽑아낸다고 하면서, 혹시 더 귀중한 것은 잃고 있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물론, 가끔 다른 회중들의 모습을 바라보고, 또한 그들이 은혜롭게 찬양하는 모습을 보는 것이 “도움이 되는” 회중들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설령 몇몇 사람들이 그렇게 느낀다고 하여도, 대다수의, 혹은 일부의 회중들에게 있어 그것이 예배하는 것에 있어 장애가 된다면, 하지 않는 것이 저는 옳다고 생각합니다.

예배의 대상은 하나님입니다. 그리고 그 무엇도 하나님께 나아가는데 있어서 장애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그렇지 않고 누군가가 불편함과 짜증을 느끼고 있다면, 예배를 잘못 디자인하고, 잘못 섬기고 있다는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이 글을 읽는 각 교회의 영상팀 분들께서는 한 번 생각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제발 회중을 고려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들이 집중해서 예배를 드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교회에서 한 번 논의해 볼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이 글을 읽는 분들께서는 짧게 한 번 답글 달아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Q) 예배 중에 회중을 앵글로 잡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물론 여기에서 회중을 잡는 다는 것은 전체 회중을 두리뭉실하게 잡는 것이 아니라, 한두명의 개별적인 사람들이 찬양하는 모습에 포커스를 맞추어서 보여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의미있는 토론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다른 의견들도 좋으니 남겨주시기 부탁드립니다. 🙂

[강좌] 내 마음을 가득 채운

안녕하세요,

“내 마음을 가득 채운”의 어쿠스틱 기타 버전을 올립니다.

[새 창에서 열기 – Google Drive]

음원은 좌우분리가 되어 있습니다. 왼쪽 채널에는 기타가 녹음되어 있고, 오른쪽 채널에는 보컬이 녹음되어 있습니다. 제가 노래를 못하는 편이므로 보컬을 끄고 들으시는 것이 좋을 수도 있을듯.. ^^;

홀리기타의 전성현님에게 이 자리를 빌어 감사드립니다.

기타 코드 다이어그램이 들어간 악보도 함께 첨부합니다.

7204092890.pdf

[악보] 영웅전설 6 하늘의 궤적 “Shine of Eidos” 악보

요즘 방학을 이용해서 건반 연주를 연습하는 중입니다.

교회에서 반주할 정도로 따라가는 것이 1차 목표이기는 한데, 동시에 다른 악보들도 연습하는 중이예요.

최근에는 영웅전설 6 하늘의 궤적 “Shine of Eidos”를 연습하는 중인데, 프렛이 3개 붙은 키여서 연습하기가 쉽지 않더군요.

그래서.. Sibelius로 모두 입력한 다음에 C key로 전조해버렸습니다. 그래도 여전히 낮은음자리 보표가 있는 악보는 읽고 연주하기가 쉽지 않더군요. 피아노 전공하시는 분들 역시 대단하신듯..

여하튼 악보를 C key로 transpose 한 버전을 올립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악보 다운로드 : 1070444261.pdf6332794827.pdf

들어보기 :

p.s.) 원키 악보도 함께 올려두었습니다.

[강의] 시벨리우스 강좌 00 – 소개 및 사보 프로그램의 종류

안녕하세요, 유성환입니다.

2009년이 가기 전에 블로그에 뭘 포스팅해볼까 생각해보다가, 현존하는 사보 프로그램 중 가장 직관적이고 강력한 기능을 자랑하는 Sibelius를 사용하는 법에 대해서 배워보는 강의를 올려보기로 하였습니다. (^^)

바쁜 학생(!)인 관계로 강의는 *상당히* 비정기적으로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따라서 인내심을 가지고 따라와주시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하핫.

시벨리우스의 모든 기능을 다 배우려면 매뉴얼을 보는 것이 낫습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그런 종류의 강의가 아니라 실제로 프로그램을 사용하면서 악보를 어떻게 사보해야 하는지, 그리고 그 가운데에서 만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을 어떻게 처리하는지에 대해서 실제적으로 배우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본인은 작곡을 전공하거나 한 적은 없지만, 약 10년간 자작 악보집을 편집하면서 이에 관련된 악보들을 다양하게 다루는 방법들을 익혀왔습니다. 따라서 본 블로그 강좌에서는 오케스트라 단위의 총보(score)를 다루는 것 보다는 단선율 악보(lead sheet)를 어떻게 제작하는지에 대해서 초점을 맞추고자 합니다. 그리고 실제로 실용 음악 혹은 교회 음악에서 일반인들이 가장 흔히 접할 수 있는 형태의 악보가 이러한 단선율 악보이기도 합니다. 물론 강의의 후반부에 총보와 파트보에 대한 내용도 다룰 예정입니다. 기본은 크게 다르지 않으니 어렵지는 않을겁니다.

그리고 조금 편한 강의의 형태를 가지기 위해서, 선생과 학생의 문답 형식으로 포스팅을 구성하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선문답이 되지 않도록 유의하도록 할께요. (^^)

Q: 안녕하세요, 선생님. 만나서 반갑습니다.

A: 반갑습니다.

Q: 먼저 질문이 있는데요, 사보 프로그램이란 것이 뭔가요? 악보 만들어 주는 프로그램을 말하는 건가요?

A: 예. 사보 프로그램은 “복사” 할 때의 “사” 글자와 “악보”에서의 “보” 글자를 합쳐서 “사보 프로그램”이라고 합니다. 즉 악보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영어로는 music notation software 혹은 scorewriter라고도 하는데요, 간단하게 말하면, 악보를 편집, 인쇄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그런데 요즘은 점점 기능이 확장되어가는 추세에 있습니다. 따라서 최근의 사보 프로그램들은 전자음악 제작 프로그램의 기능들을 점점 더 수용하고 있는 추세인데요, 예를 들어 Sibelius 5부터는 악보를 연주할 때 “가상 악기”라고 불리는 VSTi 도 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 나온 Sibelius 6과 같은 경우에는 실제 악보를 바탕으로 지휘자의 템포 변화에 맞추어 연주할 수 있는 기능까지도 제공하고 있어요.

물론 본 강의에서는 그런 부분들 보다는 사보 프로그램의 기본 기능을 좀 더 충실하게 다룰 예정입니다.

Q: 아 그렇군요. 그럼 사보 프로그램에는 어떤 종류가 있나요? 다 돈 내고 사서 써야 하나요?

A: 음, 사보 프로그램에는 상당히 많은 종류가 있습니다.(참고) 그 많은 종류의 프로그램들을 다 나열하는 것은 쉽지 않구요, 대표적인 몇몇 프로그램들을 소개해보도록 할께요.

먼저, 시벨리우스(Sibelius)가 있습니다. 2000년 이전까지는 대부분 사람들이 피날레(Finale)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는데, 2000년도 이후에 넘어오면서 시장 점유율이 달라졌습니다. 물론 시벨리우스와 피날레가 양대 산맥이기는 하지만, 주도권은 이미 시벨리우스 쪽으로 넘어오지 않았나 싶습니다. 2009년 10월 현재 Sibelius 6.1 버전까지 발표된 상태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Sibelius 6.x
그리고 피날레(Finale)란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시벨리우스 이전에는 거의 독보적인 존재였구요, 역시 많은 음악인들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악보 사보에 필요한 모든 기능들은 다 갖추어져 있습니다. 다만 다소 불편한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고, 많은 버그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약점이 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또한 Noteworthy Composer 란 프로그램이 있는데요, 줄여서 NWC라고 할 때도 많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접하신 분들도 꽤 많을 것이라고 생각하는데요, 무엇보다도 간단하고 배우기 쉬운 인터페이스를 갖추었기 때문입니다. 저 역시도 처음에는 NWC부터 접했었구요. 악보 출력 품질과 관련해서 1.x 버전대에서는 여러가지 부족한 부분들이 많이 있었는데, 2.x 로 넘어오면서는 많은 기능 개선들이 이루어졌습니다. (사진은 1.75 버전입니다)

다만 마우스보다는 키보드로 입력 및 조절해야 하는 것이 많이 있기 때문에, 마우스 사용에 익숙한 사용자의 경우 배움에 대한 진입 장벽이 있을 수 있습니다.

Note Worthy Composer그리고 앙코르(Encore)란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NWC보다는 좀 더 강력한 기능을 갖추고 있구요, 품질도 괜찮은 편입니다. 많은 사람들의 평가는 NWC보다는 낫지만 피날레보다는 떨어진다.. 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Encore
이상의 프로그램들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상용 사보 프로그램들입니다. 하지만 잘 찾아보면 꽤 괜찮은 공짜 프로그램들도 많습니다.

먼저 lilypond라는 프로그램이 있는데요, 이는 TeX 이라는 과학기술/논문용 조판 프로그램에서 파생되어서 악보를 제작할 수 있도록 기능을 특화한 것입니다. 품질은 나쁘지 않지만 인터페이스가 좋지 않고, 또한 한글 지원이 다소 미흡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MuseScore 라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꽤 쓸만한 프로그램입니다. 많이 사용해 보지는 못했는데, 적어도 NWC나 Encore보다는 좀 더 뛰어난 성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useScore
국내에는 솔로몬 소프트에서 개발하고 있는 오선이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업데이트도 자주 이루어지고 있구요, NWC의 입력 방식에 NWC보다 좋은 퀄리티를 가지고 있는 것이 장점입니다.

Q: 예 알겠습니다. 아무래도 이야기를 듣다보니 저도 시벨리우스를 배워야 할 것 같네요. 그럼 시벨리우스의 장점에는 무엇이 있나요?

A: 시벨리우스의 가장 큰 장점은 역시 현존하는 사보 프로그램들 중에서 가장 나은 악보 품질을 가진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악보를 예쁘게 혹은 보기 좋게 만들어 주는 것을 조판 시스템(engraving system) 이라고 합니다.

Sibelius 5.0의 예제 :
사용자 삽입 이미지
Sibelius에서는 위와 같이 악보 상의 음표들의 위치에 따라서 자동으로 기둥(stem)의 높이들을 바꾸어 주어서 5선지 밖으로 지나치게 튀어나오지 않도록 해 줍니다.

그리고 악보상의 각 요소에 대해서 좀 더 세밀한 조정이 가능하지요. 예를 들어서 Sibelius에서는 각 음표들의 머리(notehead)의 크기나 음표들간의 간격, 악보상에 등장하는 각종 글자들의 글꼴과 크기 등등을 매우 세밀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또한 초보자가 상당히 배우기 쉬운, 사용자 친화적인(user-friendly)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습니다. 피날레와 시벨리우스 둘 다 써보신 분들은 대부분 시벨리우스 쪽에 손을 듭니다. 그리고 속도도 시벨리우스가 더 빠른 편이지요.

게다가 플러그인(plug-in)이라고 해서, 시벨리우스 자체적으로 내장된 스크립트 언어를 사용해서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만들거나 혹은 다른 사람이 만들어 둔 것을 다운받아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시간이 되면 이 부분에 대해서도 강의의 마지막 즈음에 다루어보도록 하겠습니다.

Q: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 뵙도록 하겠습니다.

A: 예. 그럼 다음 시간에는 악보의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