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4분기와 함께한 책

소설

은하수의 저주 (★★★✩✩)

용왕, 선녀, 그리고 날개옷 설화등을 적당히 차용한 소설인데, 억지로 끝까지 읽긴 했지만 그다지 마음에 들지 않았다. 인물 이름이 우선 다 비슷비슷해서 구별이 잘 되지 않았고, 세월호를 연상시키는 “인생호 사건”은 굳이 등장하지 않았어도 되었고, 등장 인물들의 동선과 스토리텔링도 썩 만족스럽지 않았으며, 데우스 마키나 식의 전개도 마음에 들지 않았다. 비추.

기묘한 러브레터 (★★★★✩)

2명이 장문의 페이스북 메세지를 (일종의 편지처럼 보면 된다) 교환하면서 과거에 있었던 일들의 비하인드가 밝혀지는 구성의 소설이다. 무척 흡입력있다. 사실 내용 자체는 크게 특별하지 않은데, 오로지 엄청나게 흡입력 있는 내러티브만으로 끝까지 읽게 만드는 책이다. 추천!

목소리를 드릴게요 (★★★★✩)

정세랑의 단편 SF 모음집으로, 세기말을 다룬다. 좀비 아포칼립스를 다룬 <메달리스트의 좀비 시대>는 다른 곳에서도 많이 본 설정이어서 그렇게까지 흥미롭지는 않았지만, 거대 지렁이가 지배한 인류의 미래를 다룬 단편이라든지, 인어공주의 알레고리와 능력자물을 독특하게 결합한 <목소리를 드릴게요> 등 정교한 구성과 완성도 높은 단편들이 많이 포진해 있었다. 훌륭한 SF 모음이다. 추천!

아홉수 가위 (★★★★★)

표제작 <아홉수 가위>는 귀신 이야기를 다룬 괴이물이자 성장물적 요소가 잘 어우러져 있고, 무척 가슴 뭉클하게 만드는 작품이다. 다른 작품들도 완성도가 높고 서사가 훌륭하다. 다만 저자 본인의 말처럼 “네거티브한 에너지”라는 주제에 맞춘 단편들이어서 그런지, 좀 청승맞다는 느낌이 들 때가 있었다. SF 라기보다는 어반 판타지가 조금 더 가까운 장르에 속하지 않나 싶다. 추천!!

로스트 라이트 (★★★★★)

역시 믿고 읽는 <해리 보슈> 시리즈이다. 이 작품은 특히 반전이 많은 편인데, 필력과 구성에서 형사 스릴러의 정수를 맛볼 수 있다. 추천!

순수한 관찰자 시점 (★★★✩✩)

SciFan 으로 나온 책들 공통적으로 느끼는 감상인데, 번역이 대부분 직역체여서 읽기가 힘들다. 원문의 뉘앙스를 잘 살리지 못하고, 문장 끊기의 호흡도 이상하다. 이 책도 마찬가지로 나와 잘 맞는다는 느낌이 없었다. 내용도 크게 남는 것이 없고.

초능력 병아리 (★★★★✩)

384

밀수꾼이 여자 친구를 위해 초능력 병아리를 밀수해서 들어오면서 사건이 벌어진다. 초능력 병아리의 활약이 좀 더 유쾌하게 그려지지 않았다는 아쉬움이 있다.

대멸종 (★★★★✩)

SF 의 명가로 새로이 발돋움하고 있는 출판사 “안전 가옥”에서 “대멸종”이라는 주제의 공모전에서 수상한 작품들을 모은 책이다. 늘 안정적인 퀄리티를 자랑하는 안전가옥에서 나온 책이어서 역시 기대한만큼 만족스럽게 읽을 수 있었다. 감마선 폭발로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가 멸종되고 이를 다루는 저승 사자들의 이야기를 다룬 <저승 최후의 날에 대한 기록>이 가장 독특했고 인상적이었으며, 아포칼립스 좀비물을 다룬 다른 단편들은 다소 식상했다.

다섯 번째 감각 (★★★✩✩)

김보영의 소설은 내 취향이 아니다. 청승맞고 신파적인 분위기가 강하다고 느끼는데, 그게 영 거슬린다. 이 책도 억지로 다 읽기는 했는데, 내 취향에는 맞지 않았다.

좀비즈 어웨이 (★★★★✩)

한국형 좀비 사태를 배경으로 한 좀비 단편들의 모음집이다. 그런데 좀비물들이 대부분 비슷비슷한 배경의 비슷비슷한 서사를 가지고 있어서인지 크게 특별한 내용은 없었다. 즉 어디서 많이 보았던 느낌의 단편들이 많다. 킬링 타임용으로는 나쁘지 않다.

우아한 우주인 (★★★★✩)

SF 단편선 모음집이다. 대상을 받은 “우아한 우주인”은 넷플릭스의 <러브,데스+로봇>의 “독수리자리 너머” 에피소드가 연상되었고, “침묵만이 들렸다”는 유전자 맞춤 인간의 법정 변론이라는 흥미로운 구성과 서사가 돋보였다. 한국 SF의 질적 및 양적 발전은 무척 고무될만한 현상이다. 추천!

신더 / 스칼렛 / 크레스 / 윈터 (★★★★★)

양어머니로부터 학대받는 수리공 “신더”에게 어느날 제국의 황태자가 찾아와서 고장난 안드로이드의 수리를 맡긴다. 신데렐라가 연상되었다면, 당신의 추측이 맞다. 신데렐라, 빨간모자, 라푼젤, 그리고 백설공주에서 모티브를 따온 캐릭터와 갈등관계를 먼 미래로 옮긴 SF <루나 크로니클>의 내용이다. 이러한 동화적 배경에 더해, <루나 크로티클>만의 독특한 SF 설정, 즉 달에 사는 인간들의 국가인 “루나”와 치명적인 전염병의 위협이 소설을 더욱 흥미롭게 만든다. 간결하게 잘 읽히는 필체, 매력적인 주인공, 강력한 악당, 흥미로운 서사, 성장물적 요소, 미스터리 등등 여러가지 요소가 잘 버무러진 훌륭한 판타지 소설이다. 아무런 생각없이 읽기 시작했다가 정신이 들어보니 나도 모르게 마지막 권을 읽고 있을 정도로 무척 재미있었다. 아쉬운 점이라면 마지막 권에서 지나치게 “뭔가를 시도하다 – 누군가 잡히고 – 도망가고 – 다시 돌아오는” 구조의 원패턴이 반복되는 점이지만, 재미는 확실히 보장한다. 추천!

작가 형사 부스지마 (★★★★✩)

소설 작가들이 사건에 휘말려 살해당한다. 이 사건들의 진상을 작가이자 형사를 겸직하는 주인공 “부스지마”가 파헤친다. 단편 에피소드들로 구성되어서 부담없이 읽을 수 있다. 정통파 추리소설이라기 보다는 캐릭터가 강조된 라이트 미스터리라고 볼 수 있다.

마법 서점 라라 북스 (★★★✩✩)

단편 모음집이다. 다 읽기는 했는데, 특별히 기억에 남는 내용은 없었다.

근본 없는 월드 클래스 (★★★★★)

모종의 이유로 축구가 4대 사회악이 되어 근절되어 버린 2030년 미래에서, 대학교 조별과제로 과거 월드컵 선수를 인터뷰하는 주제를 맡게 되는데… 블랙코미디적인 배경과 재미있는 캐릭터들, 무겁지 않은 분위기와 인터뷰로만 풀어나가는 문체, 수많은 동시대 패러디 요소들로 가득찬 신선한 소설이다. 추천!

여덟 건의 완벽한 살인 (★★★★★)

미스터리 팬에게 추천하는 심리 미스터리 스릴러다. 한 책방 주인이 과거에 “여덟 건의 완벽한 살인”이라는 글을 올렸다. 그런데 누군가가 그 글대로 실제로 살인을 벌이기 시작하고, 이를 조사하러 FBI 조사관이 파견되어 나오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각종 고전 미스터리에 대한 진한 오마주가 묻어나오는 책으로, 애거사 크리스티의 미스터리, 그중에서도 <ABC 살인사건>, <애크로이드 살인사건>,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를 한 번씩 읽어보았다면 더욱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심리 스릴러 요소도 무척 강해서 끝까지 긴장감있게 읽을 수 있었다. 추천!

기파 (★★★★✩)

조난당한 우주선에 있을 지 모르는 생존자를 찾아 탐험하는 SF이다. 게임에서 나 와 같은 비슷한 장르의 작품이 많아서 독창적이라고는 느끼지는 못했지만, 안정적인 내러티브를 만들어나가는 솜씨가 좋다고 느꼈다.

노사이드 게임 (★★★★★)

대기업의 경영전략실에서 근무하는 엘리트 기미시마는 사내 정치에서 밀려 요코하마 공장의 총무부장으로 좌천된다. 요코하마 공장은 프로 럭비팀을 운영하고 있는데, 강등을 겨우 면하는 실력의 팀이고 게다가 감독을 새로 뽑아야 한다. 럭비팀의 제네럴 매니저도 겸하는 총무부장으로서, 기미시마는 럭비팀을 재건하는 사명을 떠안게 된다. 이 책은 독특하게도 선수나 감독이 아니라 일종의 구단주격인 “제네럴 매니저”의 입장에서 팀을 재건하는 스포츠 소설이다. 스포츠 팀의 재건, 회사 이사진의 예산 절감 압박과 암투, 기업 인수 합병과정의 의혹, 그리고 클라이맥스의 가슴 뜨거워지는 명승부 등을 간결한 문체로 풀어낸 책으로서, 스포츠 소설로도, 미스터리로도, 스릴러로도 작품의 완성도가 무척 높아서 책을 손에서 떼기 힘들게 만드는 흡인력이 정말 대단하다. 단연 이케이도 준의 작품 중에서도 최고인 것 같다. 이 책을 재미있게 읽었다면 <만약 고교야구 여자 매니저가 피터 드러커를 읽는다면>, <머니볼>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강력 추천!

사회

민주주의 공부 (★★★★✩)

민주주의의 약점과 도전에 대해 심도 있게 고찰하고 있는 책이다. 민주주의의 내재적인 취약점, 선거를 통한 구조화되고 제도화된 불확실성, 포퓰리스트가 왜 득세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인지, 그리고 일종의 정보 브로커로서의 언론의 역할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인상깊은 책이었다. 단점은 문장이 어렵게 번역되어 있다. 더 쉽게 끊어서 번역했어야 했다. 또한 대부분의 정치 교양서가 그렇듯, 특별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끝난다는 점도 다소 아쉬웠다. 정치학 책을 좋아한다면 한 번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지식의 착각 (★★★★✩)

왜 사람들은 그토록 가짜 뉴스나 헛소문, 음모론처럼 비합리적인 것들에에 열광할까? 왜 이성이 작동하지 않을때가 더 많을까? 이 책에서는 인간의 이성이 작용하지 않는 각종 사례들과 이유들, 즉 무지, “모르는 것을 모르는 것” (unknown of unknown), 인과 관계의 혼동, 확증 편향, 공동체의 압박, 사실보다 가치관에 대한 우선순위 등등을 설명한다. 스티븐 핑커의 와도 맥을 같이 하는 책으로 같이 읽으면 좋다.

경제

돈의 역사는 되풀이된다 (★★★★✩)

투자 교양서로는 괜찮다. 기본적으로 복리 투자, 포트폴리오 이론, 가치 투자 v. 모멘텀 투자 등에 대한 투자에 대한 전반적인 상식을 얻기에 좋은 책이다. 유명세(?)에 배해 깊이 있는 내용까지 다루지는 않는다.

화폐이야기 (★★★★✩)

경제학의 다양한 토픽들 중에서 “화폐”에 대해서 집중하고 화폐 역할의 변천사를 깊이 있게 탐구한 책이다. 금 본위제, 기축 통화, 영국의 영란은행이 중앙은행의 발전에 끼친 기여, 케인즈의 통화론,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등등의 이야기를 깊이 있기 풀어낸다. 단점이라면, 교과서처럼 사실 관계 위주의 나열이 많아서 교양서로는 조금 지루하다는 점이고, 공저자가 여러명이어서 내용이 중복되는 부분들이 많다는 점이다. 그 점을 제외하면 화페의 역사를 다룬 훌륭한 책이다.

경영

일본에서 가장 수익률 높은 공장 에이원 이야기 (★★★★✩)

이 책을 읽으면 왜 일본이 중소기업 강국인지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에이원 창업자가 직접 회사의 경영 철학과 전략을 설명하는 책인데, 작년에 읽었던 <더 골>의 내용이 연상되어서 무척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즉 재고를 최대한 줄이고, 고객 턴오버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서 엄청난 수익률을 거두는 중소기업 제조공장의 이야기이다. 기업의 운영 철학과 중소기업 운영이 대기업과 어떤 면에서 다른지 등등도 알 수 있어서 흥미로웠다. 추천!

픽사 스토리텔링 (★★★★✩)

픽사의 스토리텔러가 스토리텔링의 기술을 직접 전하는 책이다. 가벼운 자기계발서로 추천한다.

도요타의 원가 (★★★★✩)

도요타의 경쟁력은 철저한 원가 계산에 있다. 도요타는 제품을 먼저 설계하고, 원가를 산정한 다음, 거기에 이익을 더해서 가격을 산출하지 않는다. 대신 도요타는 거꾸로 시장과 가격을 먼저 산출하고, 거기에 맞춰서 원가를 정한다음, 그 원가에 맞춰서 모든 팀이 적절한 부품과 원가 절감 노력을 한다. 그 과정이 무척 흥미로웠고, 한편 마케팅 측면에서 합리적이라고 느꼈다. 공장에서 쓰이는 연필 하나까지도 원가로 산정하는 집요함에서는 혀를 내두를수 밖에 없었고, 도요타의 차들이 왜 가격 경쟁력이 있는지 그 이유를 충분히 알 수 있었다. 추천!

자기 계발

빠르게 실패하기 (★★★✩✩)

제목(fail fast)이 마음에 들어서 무언가 영감을 주는 사례들이 많을까 싶어서 책을 읽었는데, 사실 책 내용은 그냥 평범한 자기계발서였다. 내용도 얄팍하고, 굳이 읽을 가치는 없는 책인 것 같다.

투자

동일비중 포트폴리오 전략으로 가치투자하라 (★★★✩✩)

사실 나도 취하고 있는 전략이다. 핵심은 (1) 장기 투자 및 (2) 리밸런싱이다. 사실 나도 리밸런싱을 가끔 하고 있기는 한데, 월별 기본 투입금이 있는 경우 (월급 일부를 항상 투자한다든지) 굳이 리밸런싱을 할 필요까지는 있을까 싶다. 또한 책에서 나온 리밸런싱 예제, 즉 규칙적으로 주가가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는 것이 현실적이지 않다고 본다. 백테스트 혹은 power law에 따른 random walk를 반영하였다면 다른 결과가 나오지 않았을까 싶다.

심리학

잡동사니의 역습 (★★★★✩)

저장 강박증을 지닌 사람들, 일명 “hoarder”를 다룬 일종의 심리학 책이다. 책 처음에 등장하는 중증 저장 강박증 대표 사례인 콜린스 형제 이야기가 흥미로웠고, 이런 비슷한 사례가 많다는 점, 그리고 유전적 관련성이 크게 의심된다는 점도 유전적인 원인이 있지 않을까 싶었다. 다람쥐가 겨울을 대비하기 위해 도토리를 모아놓는 본능이 있는 것처럼, 저장 강박도 인류 조상이 가졌던 일종의 생존 기제의 흔적이 아닐까.

어떻게 죽을 것인가 (★★★★★)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죽음에 대해 거의 생각하지 않는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호스피스 병동에서 일한다든지) 죽음을 매일 접할 기회도 많지 않다. 오늘날 대부분의 죽음은 고령에 의한 질병이며, 많은 노인들이 중환자실에서 홀로 쓸쓸히 죽음을 맞이한다. 이러한 죽음이 등장한지는 100년도 채 되지 않았다. 이 책은 죽음을 정면으로 다루는 책이다. 삶의 마지막 단계에 들어선 다양한 노인들과 사례들, 그리고 사회 시스템의 발전 — 구빈원, 호스피스, assisted housing 등 –을 다루면서 삶의 끝맺음과 죽음을 준비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한다. 말기 암 환자의 의미없는 항암 치료, 이미 죽음의 단계에 들어선 사람에 대한 소생술과 DNR (do not resurrect)과 같은 이야기를 읽으면서, 죽음에 대해 미리 고민하고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던 것 같다. 특히 의사의 역할에 대해서도 공감할 수 있었는데, 사실을 말하지 않고 여러가지 정보만을 주면서 결정을 환자에게 넘기면서 의미없는 항암치료를 권하는 것보다, 실제 환자의 삶의 질과 의미에 대해서 깊이 있게 공감해주는 의사가 필요하다는 것에 대해서도 고민하게 되었다. 죽음은 패배가 아니라 또다른 과정이자 관문이라는 것을, 환자만이 아니라 의사도 함께 이해하고 맞닥뜨리는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었다. 책에서는 작가 본인의 아버지의 죽음에 대해서도 이야기하는데, 무척 개인적이어서 가슴 뭉클했다. 본인이 죽음을 준비해야 하는 입장이라면, 자녀들과도 함께 한 번 읽고 진솔하고 죽음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면 좋으리라 생각한다.

인문

세계문학 브런치 (★★★★✩)

세계 문학이라기 보다는 서양 문학 브런치에 더 가깝다. 유명한 서양 문학 작품들을 원문과 함께 간략하게 소개하고,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역사

석유는 어떻게 세계를 지배하는가 (★★★★✩)

석유를 지배하는 자가 세계 패권을 지배한다는 말이 크게 틀리지 않는 것 같다. 미국과 사우디의 관계, 석유 금수 조치와 일본의 진주만 공습, OPEC, 셰일 가스, 그리고 국제 석유 기구 등등 세계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석유에 대해 잘 알 수 있는 책이다. 추천!

조선 정치의 꽃 정쟁 (★★★★✩)

조선시대의 붕당정치에 대한 오해가 많다. “쓸모없는 분쟁”이자 “폐단” 정도로만 이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 이는 일제시대 식민사관의 영향이다. 이 책은 조선시대의 정쟁이 어떠한 배경에서 이루어졌는가를 역사 소설 및 해설의 문체를 빌어 딱딱하지 않게 풀어나간다. 대표적으로 예송논쟁의 경우 “어떻게 상복을 1년 입느냐 3년 입느냐 같은 쓸모없는 것으로 싸우느냐”고 오해하기 쉽다. 하지만 철학적, 시대적, 사회적, 정치적 맥락을 이해한다면, 정쟁의 의미와 배경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 책은 그 가교 역할을 충실히 하는 책이다. 다만 책의 단점도 있는데, 교차검증되지 않은 야사에서 온 이야기 (예를 들어서 장녹수가 인현황후를 저주했다는 등의 이야기), 그리고 시스템의 결함 혹은 왕의 문제 (숙종의 잘못)를 거론하지 않고, 여성에게만 가혹한 잣대를 들어 한 개인의 잘못(장녹수의 개인 패륜)으로 재단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여겼다. 추천!

네모에 담은 지구 (★★★★✩)

메르카토르의 업적과 배경, 메르카토르 도법의 유용성과 한계, 그리고 최근의 페터스 논쟁까지 다루는 책이다. 책의 토픽이 흥미롭고 구성이 좋은 편이다. 다만 글의 호흡이 길고, 너무 지엽적인 디테일까지 다루고 있어서 자칫 길을 잃기 쉬운 점이 단점이다. 메르카토르에만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다양한 다른 지도 도법들도 함께 이야기하면서 페터스 이후의 실제적인 논의와 일상 생활에서 만나는 지도 (구글 지도나 위성 지도같은)에 대한 이야기를 심도 있게 풀어나갔다면 더 좋은 책이 되었으리라는 아쉬움이 있다.

온돌, 기원과 역사 (★★★✩✩)

온돌의 기원과 역사를 소개하는 책이다. 다소 짧다는 점이 아쉽다.

교양과학

외계생명체 탐사기 (★★★✩✩)

외계 생명체 탐사를 다룬 가벼운 교양 과학서이다. 깊이가 좀 얇다는 점이 아쉽다.

위대한 생존 (★★★★✩)

지구상에서 오랫동안 살아온 생물들, 예를 들어 웰위치아나 뇌산호, 캘리포니아 레드우드 트리 등을 사긴과 함께 간략한 배경을 작가 본인의 여행기와 함께 다룬 독특한 생태 에세이이다. 다큐멘터리를 “읽는” 느낌이 드는 책이다. 추천!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

책 제목을 보면 도대체 무슨 내용인가 혼란에 빠지기 쉽다. 무척 독특한 논픽션 과학 에세이다. 이 책은 우리가 생물학 그리고 진화론에서 흔히 접하기 쉬운 오류, 즉 어느 한 종이 다른 종보다 우월하다는 생각이나 진화의 “사다리”라는 개념이 왜 위험한지를, 성소수자인 저자 본인의 삶과 함께 저자가 발견한 독특한 과학 빌런 데이비드 조던의 생애와 업적, 그리고 살인 의혹과 우생학 옹호자로서의 흑역사를 이야기하면서 함께 다룬다. 무척 재미있게 읽었던 책으로, 책 제목의 의미는 마지막에 가서 풀리게 된다. 강력 추천!

복잡계 개론 (★★★✩✩)

요즘은 “네트워크 역학” 혹은 “네트워크 효과”로도 유명한 복잡계 (카오스 이론)에 대한 이론적 프레임을 제공하는 책이다. 대학 교재 같은 구성이어서 다소 딱딱한 편이지만, 복잡계에 대해 충실하게 설명하고 있다. 다만 10년 전에 나온 책이어서 예제들이 낡았다는 느낌을 받았다.

바늘잎나무 숲을 거닐며 (★★★★✩)

한국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침엽수들을 주제로 다룬 교양 과학서이다. 생태학적 부분들도 충분히 다루고 있는 책으로, 적당한 넓이와 깊이를 갖추고 있는 교양 과학서이다. 추천!

마법의 비행 (★★★★✩)

생물의 비행에 얽힌 진화를 다루는 리처드 도킨스의 책이다. 흔히 진화 반대론자들의 주된 논거 가운데 하나가 “날개는 무척 복잡한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점진적인 진화로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인데, 이 책에서는 이른바 “제한된 비행 능력을 갖춘 날개”도 여전히 진화상 유용한 측면이 있다는 이야기를 흥미롭게 풀어 나간다. (하늘 다람쥐처럼 글라이드하는 경우) 다만 나는 리처드 도킨스 이 양반을 썩 좋아하는 편이 아닌데, 기본적으로 유신론자들은 모두 멍청이 정도로 취급하는 엘리티시즘이 싫다. 나는 리처드 도킨스는 그냥 똑똑한 트럼프, 고상한 척 하는 유신론 혐오론자로 본다. 그 역겨움을 참을만 하다면 나쁘지 않은 책이다.

공룡 사냥꾼 (★★★★✩)

자연사 박물관에서 볼 수 있는 공룡뼈들의 상당수는 고생물학자가 아니라 전문적인 “화석 수집꾼”들에 의해 발견되고 상업적으로 경매에 붙여져서 거래된다. 그 화석 중에서도 이른바 성배에 가까운 T-Rex 의 화석의 가격은 무척 높은 편인데, 이런 화석을 몽골과 같은 해외에서 발굴하여 미국으로 들여오는 과정에서 상당수 합법과 불법의 경계를 넘나들게 된다. 이 책은 그 중에서도 이른바 공룡뼈 소송으로 유명해진 에릭 프로코피의 이야기를 다룬다. 꽤 흥미로운 주제를 다룬 책인데, 문체가 정돈되지 않고 산만한 것이 약점이다. 공룡 화석을 좋아한다면 한 번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나무가 자라는 모습을 보았다 (★★★★★)

목수의 입장에서 저술한 산림학 책이자 생태 에세이로도 볼 수 있는 독특한 책이다. 나무는 어느 계절과 시점에 베는 것이 가장 좋은가, 벤 나무의 우듬지는 어디를 향해야 하는가, 자연 건조 및 야적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등등 기존에 접해보지 못한 이야기들이 많이 있어서 무척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건축 자재로서의 목재가 가진 매력에 대해서도 잘 알게 되었다. 추천!

뼈가 들려준 이야기 (★★★★✩)

뼈를 주제로 삼은 교양과학서 + 에세이이다. 가장 인상깊었던 챕터는 어린이 학대 사망 사건의 진실을 가리기 위한 뼈의 역할을 이야기하는 챕터였는데, 가슴 묵직하게 다가왔다. 단점이라면 개인 의견과 회고가 많은 편이어서 교양과학서로의 정체성을 흐린다는 점이다. 다소 난삽한 구성과 창조론 및 진화론 논쟁이 책 주제에 썩 어울리지 않아서 이 책에 없어도 괜찮았을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기술

NFT 실체와 가치 (★★★★✩)

NFT란 무엇인가, 특히 이 책은 그 중에서도 Token 에 대해 중점을 두어 설명하고 있다. 나도 NFT는 일종의 마케팅 용어이며, Token 이라는 표현이 더 맞다고 본다. 개인적으로 비트코인 및 NFT에 대해 회의적인 편이다. Immutability, distributed consensus 등에 대한 몇몇 점을 제외하고 NFT가 가지는 크게 특별한 점은 없다고 생각하고, 투자 가치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비관적인 입장이며, 중간 거래의 투명성을 제외하고는 크게 신선한 점이 없다는 입장에 서 있지만, NFT 가 무엇인지에 대해 궁금하다면 읽어볼만 하다.

의학

우리 역사 속 전염병 (★★★★✩)

책 제목과 내용이 따로 노는 책이다. 전염병보다는 의녀 제도에 대한 고찰, 허준과 동의보감 등 조선시대의 의료 기관 및 의료 체계를 주제로 다룬다. 전염병도 다루기는 하는데, 아무래도 증상이 다 비슷비슷하고, 해결책도 격리 및 대증 요법으로 다 거기서 거기다보니 비슷비슷하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

도시

미국을 더 깊이 알 수 있는 핫스팟 (★★★★✩)

미국의 각 도시들을 중심으로 도시에 얽힌 미국사를 풀어낸 책이다. 철도, 이민, 노예제, 침탈 등등 미국사의 주요 역사를 샌프란시스코나 하와이와 같은 도시를 통해 비추고 있다. 꽤 훌륭한 책이다. 추천!

슈퍼 라이브러리 (★★★★✩)

도서관의 “공간”에 대해 고민하는 책이다. 어떻게 하면 섬과 같이 외따로이 떨어진 도서관이 아니라, 주변 환경과 지역에 더 어울린 도서관을 만들 수 있을 것인가? 그리고 미래의 도서관은 어떤 모습이 될 것인가를 고찰하는 책이다. <뮤지엄X여행>을 재미있게 읽었다면, 이 책도 취향에 맞을 것이다.

종교

종교개혁, 그리고 이후 500년 (★★★★★)

루터의 종교 개혁이 촉발된지 500년이 흘렀다. 이 책은 그 500년의 시간을 반추하며 개신교회사, 한국 기독교사, 그리고 현재의 한국 기독교를 진단하는 3부로 이루어진 책이다. 책의 구성이 알차고 심도있다. 종교 개혁은 단순히 교리 다툼에서 시작된 것이 아니라, 가톨릭 교회에 대한 근원적인 회의와 비판, 그리고 무엇보다 민중들의 뒷받침이 있어서 이루어질 수 있었다는 점이 마음에 와닿았고, 그런 지점에서 일반 시민들의 뒷받침을 얻지 못하고 있는 한국 기독교를 조망하는 부분도 시사하는 점이 컸다. 한국 기독교가 욕을 먹는 것에 대해 단순히 “일부의 잘못이다”, “우리가 지금까지 해온 것을 좀 더 잘하면 된다”하고 받아들이는 개교회의 시각은, 물밑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거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을 놓치고 있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문제 의식도 깊게 다가왔다. 추천!

생명공학에 대한 생명신학적 비판 (★★★✩✩)

생명공학에 대한 1차원적인 주장만 담겨 있다. 대표적으로 GMO에 대해서 위험하니 무조건 먹지 말라는 논조라든지, 기독교가 “세력을 모아서” 반대 세력에 대해 대항세를 키워야 한다느니 하는 시대의 맥락을 읽지 못하는 일차원적인 접근만이 열겨되어 있고, “왜”에 대한 깊이 있는 고민은 부족한 책이다.

한국교회 분단과 분열의 트라우마를 넘어서 (★★★★✩)

한국 교회의 문제점, 그 중에서도 특히 세습과 관련된 문제를 다룬다. 교회 세습을 앞두고 온 교인들이 서로를 비난하고 분열되게 된 교회를 겪어본 교인의 입장에서, 이로 인한 트라우마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깊이 있게 이야기하고 있다. 다소 아쉬운 점은 다양한 인터뷰나 폭넓은 데이터에 기반한 근거가 부족하다보니, 주관적인 논증으로 그친다는 인상을 받았다는 점이다.

하나님의 이름은 하나다 (★★★★✩)

성경 속의 인물과 사물의 “이름”에 부여되는 의미를 해석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 그리고 히브리 원어에 대한 이해가 선행된다는 사실을 배울 수 있었다. 즉 이름 그 자체가 의미를 가진다는 점이다. 5000년 전의 언어와 컨텍스트를 현대의 언어로 온전히 옮겨내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왜 어느 정도의 의미가 소실될 수 밖에 없는지도 알 수 있었다. 추천!

예술

히사이시 조의 음악일기 (★★★✩✩)

지브리 애니메이션의 메인 작곡가로도 유명한 히사이시 조의 음악 에세이 모음이다.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보니 통일성은 다소 떨어지는 편이다. 하지만 작곡가를 겸하고 있는 지휘자가 느끼는 클래식 음악과 모던 음악에 대한 생각들을 엿볼 수 있는 점이 좋았다. 지휘에 관심이 있다면 한 번 읽어볼만하다.

빛이 매혹이 될 때 (★★★✩✩)

미술사의 주요 작품들을 빛의 관점에 초점을 맞추어서 설명하는 책이다. 즉 카메라 옵스큐어와 같은 도구들이 어떤 도움을 주었나, 왜 유화의 색채가 더 다양한가 등등 일종의 광학을 주제로 한 교양 과학 + 미술사 같은 책이다. 교양서로는 유용한데, 개인적으로는 새로운 내용이 없는 점은 아쉬웠다.

2022년 3분기와 함께한 책

소설

서부 해안 연대기 (★★★★✩)

처음으로 끝까지 읽은 어슐러 르 귄의 장편작이다. 총 3가지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 에피소드 “기프트”와 두 번째 에피소드 “보이스”는 긴장감있게 재미있게 읽었다. “기프트”는 고원지대 유목민들을 보는 듯한 현실적인 분쟁이 흥미로웠고, “보이스”도 그럭저럭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다만 마지막 에피소드 “파워”는 내 취향이 아니어서 설렁설렁 읽었다. 전반적으로는 SF 라기보다 청소년 성장소설에 더 가까운데, 소설의 배경이 암울하다보니 등장인물들의 고난이 상당히 강조되었다.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

소설 초반 삼미 슈퍼스타즈의 삽질(..)을 설명하는 파트가 무척 유쾌하다. 롯데 팬들이 암 걸린다는 심정이 뭔지 알 것 같았다. 소설의 후반부에서는 이를 핵심 소재로 활용해서 캐릭터의 내면과 성장을 이야기하는데, 개인적으로 다가올 수 있는 부분들이 많아서 좋았다. 다소 자기 계발서 같은 메시지가 있긴 하지만 (하고 싶은 대로 살라), 전체적인 호흡과 흐름이 좋은 편이다. 다만 표절 의혹이 있는 작품이다보니 (의혹이라기보다는 거의 사실이라고 봐야한다), 누군가에게 선뜻 권하기에는 좀 꺼려지는 부분이 있다는 점이 아쉽다. 추천!

나쁜 토끼 (★★★★★)

훌륭하게 잘 쓰인 추리 스릴러이다. 실종에 얽힌 진실이 풀려 나가는 진행 과정이 무척 흡인력있고, 시나리오 빌드업의 관점에서도 중간중간 지루하지 않게 사건이 적절히 뻥뻥 터져주며, 캐릭터들도 매력적으로 잘 살려두었다는 점이 장점이다. 후속작이 나와도 재미있게 볼 수 있을만한 이야기이다. 다만 종반의 “토끼 사냥” 진상 사건은 오징어 게임마냥 다소 작위적이고 불편한 점이 있었는데, 이게 소설의 전체의 다소 가벼웠던 분위기와는 썩 잘 어울리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었다.

콘크리트 블론드 (★★★★★)

역시나 <해리 보슈 시리즈>의 소설로 엄청난 흡입감을 자랑한다. 아마존 드라마 시즌 1의 메인 빌런(?)이기도 했던 허니 챈들러가 이 책에서 등장하는데, 소설에서는 의외로 죽는 반면 드라마에서는 캐릭터를 살려서 쭉 가지고 간 결정이 주효했다고 본다. 책에서 드러나는 진범도 드라마의 진범과는 다소 다른데, 꽤 괜찮게 각색했다고 본다. 법정 다툼이 메인이기도 한데, 긴박한 법정 공방을 잘 그려냈다는 점에서 추천한다.

연옥의 수리공 (★★★★★)

간만에 읽은 훌륭한 SF 이다. 어디서 많이 본 듯한 가상현실을 주제로 한 소설이어서 특색이 있지는 않지만, 의료보험금과 같은 현실적인 사회 요소들이 반영된 한국적 배경이 흥미롭다. 사후세계 가상현실이 주된 내용인데 (블랙 미러에도 비슷한 에피소드가 있다) 극의 전개가 흥미진진한 편이어서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단점이라면, 반전이 좀 억지스럽다는 점이다. 교수가 굳이 체커들을 죽일거라면 훈련까지 시켰어야 할 필요가 있나? 내 생각에는 다른 결론을 두고 캐릭터를 짜다가 마지막에 급작스럽게 진범을 바꾼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그것을 빼고는 꽤 흥미진진하게 읽은 소설이다. 추천!

백은의 잭 (★★★★★)

스키장에 폭발 협박 이메일이 오면서 사건이 시작되는 스릴러이다. 역시나 “히가시노 게이고”라는 말이 나오는 작품으로, 여러 인간 군상들을 깔끔하게 잘 그려낸 점이 대단한 오락 소설이다. 추천!

금색기계 (★★★★★)

일본 에도 시대 + SF + 미스터리가 결합된 독특한 복합 장르 소설이다. 문체가 간결하고 깔끔해서 읽기 쉽고, 등장인물들도 잘 조형되어 있어서 감정 이입하기가 쉽다. 단점으로는 책의 마지막까지 세계관의 모든 비밀들이 밝혀지지 않고, 왜 극락원이 타락했는지에 대한 설명이 부족했다고 느꼈지만, 소설의 핵심 포인트는 아니니 이영도 말마따나 “모든 비밀이 드러나지는 않는” 세계관으로 이해하고 넘어가면 괜찮을 듯 하다. 한 순간도 손을 떼기 힘든 군상극적인 요소도 마음에 들었다. 강력 추천!

헬릭스 (★★★✩✩)

새로운 지구가 등장하는 SF는 많이 다루어진 영역이다. 따라서 이 소재를 어떻게 다루느냐가 작가의 역량에 좌우되는데, 개인적으로는 썩 만족스럽지는 않았다. 내용 자체는 흡입력 있게 흘러가는데, 전반적인 구성이 엉성하다. 캐릭터의 배경과 행동원리에 대한 설명도 썩 마음에 드는 스토리텔링 방식은 아니었고, 그리고 알파 지구라니 너무 비현실적인 설명이다. 초반에 “거의 현실과 같은 가상현실”이라는 떡밥이 나왔을 때, 아슈발꿈 엔딩이 될 것 같았는데, 그게 아니어서 오히려 더 아쉬웠다.

외계에서 온 신호 (★★★✩✩)

영화 <컨택트>를 연상시키는 내용인데, 마지막 반전으로 그냥 없던 일처럼 되는 단편 소설이다. 썩 완성도가 있는 것 같지는 않았다.

명왕성 횡단기 (★★★✩✩)

명왕성 횡단을 다룬 SF 작품으로, 로버트 스콧의 남극 탐험을 연상다면 도움이 될 듯 하다. 마지막에 살짝 반전이 있기는 한데, 흥미로운 단편은 아니었다.

갈증 (★★★✩✩)

예수의 입장에서 마지막 하루를 그린 작품이라고 해서, 살짝 기대하고 읽었다. 그런데 억지로 끝까지 다 읽긴 했는데.. 예수의 시니컬한 독백체가 마음에 들지 않았다. 내용도 신선한 부분이 없었고.

히페리온, 히페리온의 몰락 (★★★★★)

여섯명의 순례자가 서로의 사연을 품고 “히페리온”이라는 행성에 소원을 품고 찾아오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호기심을 자아내는 매력적인 배경 설정과 낭만적이면서도 SF의 기본을 탄탄하게 풀어내는 점, 미스터리와 스릴러, 로맨스, 종교와 상징, 사랑과 희생 등의 군상극적인 요소를 고루 갖추고 있는 대단한 소설이다. 이 책을 올해 와서야 읽게 되다니, 뒤늦은 후회가 들었다. 초반 50페이지 정도가 살짝 난관인데, 자세한 배경 설명 없이 너무 던져진 느낌이 강해서 제대로 읽지 않고 있었는데, 다시 읽게 되니 걸작이라는 말이 부족하지 않았다. 이 책의 유일한 단점은 절판되었다는 점이다. (!) 전자책도 없어서 중고책으로밖에 구할 수 없으니 유의하자. 본인도 한국 방문중에야 겨우 구할 수 있었다. SF 팬이라면 죽기 전에 꼭 읽어볼 것을 권한다.

시인 (★★★★✩)

<해리 보슈 시리즈>로 유명한 존 코넬리의 <존 매커보이> 시리즈의 첫 작품이다. 공포 소설, 추리, 미스터리, 그리고 스릴러가 결합된 소설이다. 소설의 진행 자체는 괜찮았는데, 몇몇 거슬리는 부분들이 있었다. 첫째는 기자가 과연 FBI 수사에 참여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었고, 둘째는 진범의 정체였는데, 개인적으로 너무 뜬금없었다. 극적 임팩트를 위해서 일부러 진범을 바꾼 것 같은 느낌이 있었는데, 그 과정이 잘 설득되지 않아서 크게 다가오지 못했던 것 같다. 전체적으로는 괜찮은 추리소설이다.

웨어하우스 (★★★★✩)

Amazon을 모델로 한 “클라우드”라는 기업이 지배하는 미래를 다루고 있다. 진행, 발단, 캐릭터 등등 모두 나무랄 것이 없다. <노마드랜드>를 읽었거나, 아마존 웨어하우스에서 일어나는 신문 기사들을 유심히 봤다면 재미있게 읽을만한 포인트들이 많다. 드라마화되면 무척 재미있을 것 같다. 사실 결말만 아니면 5점인데, 너무 <블랙미러>스러운 엔딩이어서 약간 별점을 내린다. 추천!

기이현상청 사건일지 (★★★★✩)

대한민국에 온갖 기이한 현상들 (귀신, 이종족 등)이 일어나는 가운데 벌어지는 여러 사건들을 에피소드 형태로 다루고 있는 일종의 어반 판타지 소설이다. 그런데 너무 비슷한 소재들을 비슷한 방식으로 풀어나가서인지, 중반부터 좀 질리는 감이 있다.

아무도 죽지 않는 미스터리를 너에게 (★★★★✩)

죽음이 가까운 사람을 알아볼 수 있는 “시오”와 그녀를 도와서 사망을 막으려는 “사토”를 중심으로 한 초능력 + 미스터리 소설이다. 사실 초능력은 설정상 언급만 되는 수준이고, 없다고 해도 내용 진행상에는 큰 문제가 없어서 미스터리에 가깝다고 보면 되는데, 인물의 죽음을 미리 막는다는 측면에서 기존의 미스터리와는 다른 부분들이 많아서 흥미로운 책이다. 독특한 설정이어서 장편 드라마로 만들면 재미있을 것 같다. 추천!

시체 안치선 (★★★★✩)

<화씨 451>로 유명한 레이 브레드버리의 흥미로운 SF 단편선. 짧지만 세계관을 굵직하게 잘 그려낸 점이 괜찮다.

대스타 (★★★★★)

“대스타”라는 주제로 모인 SF 단편 앤솔로지 모음집이다. 각 단편들의 퀄리티가 훌륭하다! 스타와 팬덤, 그리고 소속사를 흥미롭게 잘 풀어낸 “스타 이즈 본”을 무척 재미있게 읽었다. “증강 콩깍지”도 흥미로운 설정이었고, 초상권만 빌린 인공지능 배우의 연기를 다룬 “대리자들”도 이제 AI의 발달로 몇 년 후의 가까운 미래가 아닐까 생각하며 읽었다. 추천!

샤일록의 아이들 (★★★★✩)

굳이 장르를 말하자면 금융계를 다룬 미스터리이다. 사실 추리 요소는 크게 강하지 않고, 군상극적인 요소에 약간의 미스터리 요소가 가미되었다. 문제라면, 등장인물들이 대부분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성공지상 (승진 지향주의)주의적인 부분들이, 물론 사실적이긴 하겠지만, 내게는 다소 피곤하게 다가왔고, 워낙 등장인물들이 많다보니 각각의 인물들의 개성이 뚜렷하게 잘 드러나지는 않았다. 또한 각각의 인물 시점으로 챕터가 진행되다보니 시점이 바뀔때마다 흡인력이 확 떨어진다는 느낌도 강했다. 즉 실험적이고 독특한 설정의 미스터리라는 점에서는 동의하는데, 내러티브가 다소 약하다보니 작품에서 이를 썩 잘 녹여냈다는 느낌이 들지 않았다. 끝까지 읽기는 했다.

환생 릴리스 (★★★✩✩)

뭔가 마틴 스콜세지 같은 느낌의 책인데, 일명 lapsed christian 의 시각에서 쓰여진 책인 것 같다.

“아담”이라는 이름의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몰몬교)에 다니던 성실한 청년이, “루시퍼”라고 불리는 여자를 만나면서 시작되는 소설이다. 종교적 알레고리(라기에는 무척 직접적이지만)로도 읽힐 수 있고, 성장물 및 영 어덜트 소설의 계열에도 속한다고도 볼 수 있는 책이다. 마틴 스콜세지의 느낌이 강하게 묻어나오는데, 즉 lapsed Christian의 시각에서 쓰여졌다고 볼 수 있다. 신실한 청년들이 품을법한, 특히 성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질문들을 잘 담고 있고, 무신론적 입장에서도 무엇이 모순인지를 흥미롭게 짚고 넘어가는 책이다. 다만 개인적으로는 아담 및 루시퍼 캐릭터가 이해가 안 되는 측면이 많아서 아쉬웠고, 종교 (기독교)가 비록 모든 질문에 대한 답은 해주지 못하더라도, 대답을 줄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고민들도 함께 다루었다면 더 깊이가 있지 않았을까 싶다.

베르티아 (★★★✩✩)

캐릭터가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고, 배경 설명을 대사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으며, 흥미로울법한 설정을 클리셰 범벅으로만 만든 것이 아쉽다.

새벽 3시, 마법도구점 폴라리스 (★★★✩✩)

가볍게 읽을 수 있는 라노벨 미스터리. 고객들이 마법 도구에 얽히면서 벌어진 사연과 비밀들을 풀어나가는 내용으로, 마법도 등장하다보니 미스터리의 요소는 크게 강하지는 않다. 그럭저럭 가볍게 읽을 수 있는 킬링타임용 라노벨.

추락하는 우주 정거장 (★★★★✩)

발암에 걸릴 것 같은 정치인의 삽질 때문에 지구에 추락하게 된 우주 정거장을 다룬 SF 이다. 꽤 재미있게 읽은 SF 단편이다.

수퍼 깡통따개 (★★★★✩)

한 연구자가 이른바 “슈퍼 깡통따개”를 개발한다. 깡통을 따면 뚜껑이 어디론가로 사라지는 엄청난 깡통따개인데, 과연 이 뚜껑들은 어디로 갔을까? 재미있게 읽은 SF 단편이다.

이노센트 와이프 (★★★★✩)

이른바 “모던 고딕” 장르에 속하는 소설이다. 연쇄 살인 혐의로 수감중인 사형수와 사랑에 빠져 결혼하게 되는 여인이 주인공이다. 물론 주인공은 그 사형수가 무죄라고 확신하고 있고, 결정적으로 증거 가운데 하나가 잘못된 것이라는 점이 밝혀지면서 석방되게 된다. 그리고 주인공은 남편이 정말로 연쇄 살인범은 아니었을까 의심하기 시작하는데.. 마치 <잭 리처 시리즈>를 연상시키는 것처럼 무척 흡입력 있게 쓰인 소설이다. 단점이라면, 책의 마지막에 너무 많은 정보가 모여 있고, 클라이맥스의 진행이 지나치게 빠르다는 점이다. 굳이 모던 고딕 장르의 팬이 아니어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과학

바이오센트리즘 (★★★✩✩)

“생물 중심 주의” 정도로 번역될 수 있는 바이오센트리즘을 소개하는 책으로서, 의식의 근원과 과학을 결합하려는 시도라고 볼 수 있다. 에세이 + 과학 철학책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설득될만한 책은 아니었는데, 독자 연구에 가깝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즉 이중 슬릿 실험과 같은 내용도 자신이 원하는 내용을 짜집기한 느낌이었다. 또한 나는 의식이란 외부 세계에 대한 모델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런 점에서 책의 내용에 대해서는 크게 동의하기 힘든 부분이 많았다.

약국에 없는 약 이야기 (★★★★✩)

정말로 약국에 없는 약 (마약.. 이나 가짜약)을 다루는 책이다. 간결한 라이팅으로 흥미로운 주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부담스럽지 않게 읽히는 책이다. 중독성이 강하지 않은 일부 약물 (대마와 LSD)은 의료 혹은 오락 목적으로 규제를 풀어줘도 괜찮을 것 같기는 한데, gateway drug 가 될 수도 있어서 조심해야 하는 부분인 것 같다. 추천!

세계사를 바꾼 10가지 약 (★★★★✩)

페니실린이나 진통제와 같이 세계사에 큰 영향을 끼친 약 10가지를 소개하는 책이다. 사실 약학 관련 책을 최근에 너무 많이 봤더니 내용이 다 비슷비슷한 것 같다.

세계사를 바꾼 10가지 감염병 (★★★★✩)

책 자체는 괜찮은 편인데, 워낙 비슷한 주제들의 책을 최근에 많이 읽었던지라 내용이 반복적이어서 집중하지 못했다.

곽재식의 아파트 생물학 (★★★✩✩)

“생물학”을 다루는 책이기는 한데, “아파트 생물학”과는 거리가 있다. 즉 아파트에 관련된 생물들을 자세히 다루고 있는데, “아파트”와의 연결 고리가 약하다보니, 그냥 생물학 책이라는 느낌이다. 라이팅도 크게 흥미를 끄는 요소가 없었다. 끝까지 읽기는 했는데, 굳이 안 읽어도 되었을 것 같다.

이렇게 흘러가는 세상 (★★★★✩)

일상에서 만나기 쉬운 사물과 현상에 대해 (골프공, 금융 공학 등등) 유체 역학적 관점에서 설명하는 책이다. 사실 유체 역학이라기 보다는 네트워크 물리학에 더 가까울 것 같은데, 네트워크 물리학 자체가 역학에서 크게 유래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쉽게 읽을 수 있는 교양 과학서로서, 유체 역학과 실생활의 만남을 잘 풀어내고 있다. 추천!

나는 농담으로 과학을 말한다 (★★★★✩)

훌륭한 교양 과학서이다. 먼저 문과가 쓴 과학 교양서라는 점에서 흥미롭고, 책을 재미있게 만들기 위해 입담으로 풀어나가는 솜씨가 좋아서 책을 끝까지 읽을 수 있도록 한 점이 좋았다. 다만 챕터별로 퀄리티가 들쭉날쭉했고, 점점 뒤쪽으로 갈수록 유머스러움이 줄어들었으며, 가끔 유머가 좀 “과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 점을 제외하고는 심심풀이로 읽을만한 좋은 교양 과학서이다.

뉴호라이즌스, 새로운 지평을 향한 여정 (★★★★✩)

명왕성 탐사선으로 잘 알려진 뉴 호라이즌스 호의 여정을 담고 있는 논픽션이다. 뉴 호라이즌스 호의 예산을 마련하기 위해 어떤 어려움이 있었는지, 어떻게 NASA가 제트추진연구소(JPL)가 아닌 APL사의 명왕선 탐사선을 선정했는지, 프로젝트 계획에 어떤 어려움들이 있었는지, 플라이바이 준비 과정은 어떻게 준비되는지, 그리고 플라이바이 3일 전에 심장 쫄깃해지는 (..) 컴퓨터 다운 사건과 같은 일화들을 읽다보니, 정말 우주 탐험은 쉽지 않은 일이구나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개인적으로는 JWST의 개발 비화를 담은 이야기도 책으로 나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을 재미있게 읽었다면 <나는 어쩌다가 명왕성을 죽였나?>도 함께 읽기를 추천하는데, 흥미롭게도 이 책에서는 명왕성의 왜행성 강등 사건을 반대하는 뉘앙스여서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푸른 석양이 지는 별에서 (★★★★✩)

화성 로버 과학자가 직접 설명하는 화성 탐사에 얽힌 역사와 개인사, 그리고 탐사선의 과학적 성과를 짚어가는 교양 과학서이다. 개인적으로는 개인사가 <랩 걸>과는 다르게 썩 잘 어울리는 것 같지는 않았다. 우주 탐사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추천한다.

곤충의 진화 (★★★★✩)

딴지일보에서 연재되었던 “갈로아” 작가의 곤충의 진화에 대한 만화를 책으로 엮어냈다. 곤충을 좋아하고, 이에 얽힌 진화적 함의에 대해 궁금하다면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튀김의 발견 (★★★★✩)

이른바 분자요리 책인데, 흥미롭게도 이 책은 튀김에 대해서만 집중한다. 튀김의 기원부터 시작하여 대표적인 튀김 음식들 (치킨, 돈까스 등등)의 역사와 유래를 설명하고, 마지막으로 튀김에 관여된 분자 화학적 비밀들을 이야기한다. 평소 치킨을 좋아하면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낙타는 왜 사막으로 갔을까 (★★★★✩)

낙타, 고래, 원숭이와 같은 동물들이 어떻게 환경의 영향을 받아왔는지, 그리고 어떻게 환경을 극복하는지를 이야기하는 동물행동학 및 생태학 책이다. 추천!

기술

도메인 주도 설계로 시작하는 마이크로서비스 개발 (★★★✩✩)

마이크로 서비스 개발을 메인으로 다루는 책 같은데, 사실 도메인 주도 설계가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지는 모르겠다. 문제 해결 과정에 좀 더 집중하면 책이 나아졌을지도.

오토 워 (★★★✩✩)

요즘 자동차 업계 근황이 어떤가 정도를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크게 새로운 내용은 없고, 너무 테슬라 빠 같은 시선이 좀 거슬린다.

이야기로 배우는 구글 빅쿼리 (★★★✩✩)

큰 영양가는 없는 책이다.

인문학

율리시스(제4개역판) (★★★✩✩)

모더니즘 영문학의 결정체라고 불릴 대작이지만, 나같은 일반인은 절대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책이 아니다. 현대 문학에 도전해보고 싶은 욕구가 충만하지 않다면 비추.

프리먼 다이슨의 의도된 실수 – 과학과 인문학의 논쟁 그리고 미래 (★★★★✩)

SF에서 자주 등장하는 “다이슨 스피어”를 창안한 프리먼 다이슨의 에세이 모음집이다. 과학과 인문학 사이에서 논쟁거리가 될 법한 흥미로운 주제들, 즉 기후 과학, 오펜하이머, 그리고 핵무기에 대한 과학자 관점에서의 인문 논쟁을 다루는 책이다. 개인적으로는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탄소세(carbon price)에 대한 이야기가 흥미로웠다. 독후감에 가까운 글도 있고, 몇몇 흥미로운 관점을 다루는 글들도 있는데, 다양한 주제를 다루다보니 책 전체적으로 통일된 느낌이 없다는 점이 단점이었다.

청춘의 독서 : 세상을 바꾼 위험하고 위대한 생각들 (★★★★★)

역시 유시민의 책이다. 중요한 고전들 (멜서스의 <인구론>, 이반 톨스토이의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E.H.카의 <역사란 무엇인가> 등등)에 대해 발췌, 감상 및 요약을 깔끔한 문장으로 해 둔 책이다. 다만 유시민의 책 중에서 비슷한 주제를 다룬 책을 몇 번 읽었던 것 같기는 하다. (아니면 한 번 읽었는데 내가 잊어버렸을수도) 마블 빌런 “타노스”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멜서스의 음울한 <인구론>을 읽다보면, 19세기의 진정한 지성인 빌런이라는 생각이 든다. 추천!

사회, 사회과학

코로나 이후의 세상 (★★★★✩)

말콤 글래드웰 사진이 표지에 떡하니 찍혀 있어서 말콤 글래드웰 신작인 줄 알았는데, 여러 명의 전문가 대담집이다.. 출판사가 그러면 안 되지! 대담집으로서는 꽤 괜찮은 편이다. 인터뷰어의 질문들도 날카롭고 적절하다. 다만 마지막 인터뷰이인 빅터.. 어쩌고는 중국 정부의 입장만 앵무새처럼 반복 대답하는 것이 꽤 거슬렸다. 그리고 코로나가 한창 진행중일때의 대담인지라, 이미 코로나 3년차에 접어든 지금 읽기에는 철지난 느낌이 든다.

Rationality (★★★★✩)

“합리성”에 대해 날카롭고 심도있으면서도 재치있게 파고든 스티븐 핑커의 책이다. 합리성/이성의 철학적 정의부터 시작하여 형식 논리학, 통계학, 베이지안, 확률론, 게임 이론 등 왜 인간이 합리적이라고 자인하면서도 오류에 빠지기가 그토록 쉬운지 흥미로운 예제들과 연구 사례들로 설명하는 책이다. 특히 베이지안 계산에서 base rate 가 낮은 경우 — 유방암 진단과 같은 — 위양성 확률을 계산할 때 전문가들마저도 대부분 “속아서” 비합리적인 결론을 만들어내는 사례를 통해 왜 합리성이 그토록 달성하기 어려운지를 설명하는 파트가 인상적이었다. 2개의 bell curve 로 type 1, type 2 error 를 보여주는 것도 훌륭한 설명이었고. 문제를 다르게 프레이밍 함을 통해 쉽게 문제를 풀 수 있다는 점은, 우리가 합리적인 결정을 내리기 위해서 늘 항상 문제를 어떻게 프레이밍할지를 한 번 더 생각해보아야 하는 것은 아닌지 고민해보게 되었다. 훌륭한 책이다. 추천!

신의 화살 (★★★★✩)

훌륭한 코로나 분석 책이다. 2020년 6월에 쓰였기에 백신이 빠진 것은 아쉽지만, 역학적 관점에서 판데믹에 대한 각국의 대응, 분석, 효과, 그리고 예측을 훌륭하게 풀어나가고 있다. 안타까운 사실은 현재의 미국 정치 지형에서 코로나가 다시 온다면 과연 그때보다는 더 잘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는 점이다.

진실의 흑역사 (★★★★★)

언론에 왜 그토록 가짜 뉴스가 판칠까?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penny newspaper를 비롯한 근대 언론의 탄생 과정부터 살펴보아야 한다. 왜 그것이 구조적인 문제인지, 왜 기사에서 중요치 않은 세부사항을 맛깔내게 “꾸며내는지”, 취재와 편집이 왜 따로 노는지 등등 뉴스에서 탄생하는 “거짓”에 대해 층미로운 입담으로 풀어나가는 책이다. 그 핵심은 결국 “거짓이 따분한 진실보다 더 재미있기 때문이다.” 전설 속에 존재하는 아프리카의 “콩 산맥”이 어떻게 탄생하게 되었나에서부터, 미국 욕조 도입의 역사를 날조해낸 [1] 거짓 소문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거짓이 피드백 루프를 통해서 확장되는지를 흥미로운 사례를 통해 다루는 책이다. 문체도 간결하고 재미있다. 다만 다소 트렌디한 책 제목이 오히려 책의 내용을 깎아먹는 느낌이 있다.

개는 천재다 (★★★★✩)

인상깊게 읽은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의 브라이언 헤어/버네사 우즈의 후속작이다. 이 책은 가축화에 대한 영향을 개에 한정시켜서 서술한다. 왜 개와 보노보가 다른 가축들과는 달리 사람과 더 친화적인지에 대한 다양한 가설과 동물 연구 사례들을 이야기하고 있다. 견종에 따른 개의 지능 차이가 거의 없다는 점도 흥미로웠다. 다만 개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서, 전작만큼의 강렬함은 덜하다.

빌 게이츠 넥스트 팬데믹을 대비하는 법 (★★★★★)

판데믹 예언으로 더욱 유명세를 타게 된 빌 게이츠가 코로나를 되짚어보는 책이다. 왜 판데믹에 대한 재난 대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는지, 어떤 부문들이 약한 취약 고리인지, 그리고 이를 위해 공공보건 부분에서 일어나야 하는 변화들을 잘 짚어서 설명하고 있다. 백신의 개발과 제조의 실제적 어려움과, 왜 “백신에 대한 지적 재산권을 포기하는 것”이 실제로는 공공보건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지에 대한 이야기도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다독가여서 그런지 문장이 좋고 (물론 좋은 편집자도 있었겠지만), 잘 읽힌다. 믿기지는 않지만 빌게이츠 본인은 땅에 떨어진 100달러를 발견하면 줏어서 기부할 것이라는 이야기를 비롯해 책 곳곳에 위트가 묻어있다. 역시 믿고 보는 게이츠 형님의 책으로, 추천!

역사

오스만 제국 찬란한 600년의 기록 (★★★★✩)

서양 역사에 길들여져 있어 제대로 접해볼 기회가 없었던 오스만 제국의 역사를 이 책을 통해 깊이 있게 만나게 되었다. 충실하게 오스만 제국의 건국 배경과 변천사를 잘 설명하고 있지만, 아무래도 지도층의 권력 변화 위주 설명 + 익숙하지 않은 인명이 많다보니 국사책을 읽는 느낌이었지만, 그럭저럭 흥미롭게 읽을만한 점도 많았다. 특히 시대적 변화가 어떻게 오게 되었는지, 예를 들어 예니체리 군단이 여론을 모으는 일종의 장의 구실을 하게 된 것이 근대의 막을 여는 중요한 키포인트라는 점을 알게 된 점도 흥미로웠다. 추천!

음식을 공부합니다 (★★★★✩)

각종 음식의 “어원”과 “기원”을 무척 심도있게 풀어낸 책이다. 특히 “라멘”의 어원을 실제 고서적과 자료들을 심도있게 파헤쳐서 셜록 홈즈처럼 풀어낸 점에서 대단하다고 느꼈다. 각종 문헌에 근거한다는 점에서 잘 쓰여진 책이라고 보았다. 추천!

위대한 공존 – 숭배에서 학살까지, 역사를 움직인 여덟 동물 (★★★★✩)

동물과 인류의 공존은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 긴 시간 속에서도 성공적으로 가축화된 동물들은 그리 많지 않다. 이 책에서는 그 핵심적인 가축들 — 소, 말, 양, 개 등등 –을 역사적 및 고고학적 자료들을 바탕으로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한편으로는 “공존”이라고 말하지만, 사실 “착취”의 역사가 아니었나 싶기도 하다. 문장이 다소 거칠고 혼란스러울 때가 많다는 것이 단점이다.

세책, 도서 대여의 역사 (★★★★✩)

지금의 우리는 도서 대여점 하면 만화책 및 소설 대여점을 떠올리지만, 사실 도서 대여점의 역사는 무척 오래되었다. 수백년 전 조선 시대에도 도서 대여가 있었고, 이를 세책이라고 한다. 이 책은 공공도서관 설립 전 일종의 유료 민간 도서관 역할을 했던 세책방에 대해 각 나라의 역사를 탐구한다. 약간 논문같은 느낌이 드는 미시사 책이지만,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다는 점이 좋다. 추천!

역사 삼국지 (★★★★★)

간만에 무척 재미있게 읽은 삼국지 역사서이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소설 삼국지, 이른바 <삼국지연의>와, “정사”로 알려져 있는 진수의 <삼국지>가 어떠한 시대 배경에서 쓰여지고, 어떻게 실제 역사를 “뒤틀어서” 보여 주었는지를, 즉 역사적 사실과 다르게 극적 재미를 위해 더한 부분들이나, 정치적 이유로 왜곡하거나 뺀 부분들도 잘 설명하고 있다. 실제 역사 속에서는 조운의 비중이 생각보다 크지 않았다든지, 유비의 이릉 전투의 배경을 단순히 “복수전”이라고만 볼 수 없이 일종의 “임협 집단의 의리”라는 키워드로 보아야 한다는 점이라든지, 조조의 뛰어난 인재 등용 능력과 높은 전투 승률 등 흥미로운 점들을 많이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삼국지가 쓰여진 역사적 배경에서 왜 조조가 더욱 돋보이게 기술되었고, 그에 반하는 전투, 예를 들어 적벽대전은 왜 진수의 <삼국지>에서는 대폭 축소되고 반대로 <삼국지연의>에서는 대폭 확대되었는지에 대한 정치적 배경도 다루고 있다. 연의가 왜 진수의 삼국지와 다르고, 진수의 삼국지는 <배송지주>를 비롯한 레퍼런스와 어떻게 다른지, 무엇이 누락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무척 흥미롭게 풀어나가고, 이에 대한 여러가지 쟁점들을 잘 정리해둔 점이 이 책의 훌륭한 점이다. 삼국지를 좋아하는 팬이라면 한 번씩 꼭 읽어보기를 권한다. 추천!!

훔볼트의 대륙 (★★★✩✩)

인류사의 여러곳에 이름을 남긴 탐험가 훔볼트를 조망하는 책이다. 개인적으로는 훔볼트 해류와 훔볼트 오징어 까지만 알고 있었는데, 그 외에도 생각보다 많은 곳에 족적을 남겼다는 사실이 놀라웠다. 다만 책의 내용이 난삽해서 잘 읽히는 편은 아니다.

총보다 강한 실 (★★★✩✩)

역사 속의 “실”과 “천”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책이다. 흥미로울 수 있는 내용이고, 각 챕터에서 다루는 내용들, 예를 들어 미라에 쓰인 린넨과 영국의 레이스 제조 공업 등등도 흥미로운 내용들이 많다. 단점이라면 지엽적인 것을 설명하는데 많은 시간을 투자하다보니, 교양서로서는 낙제점이라는 점이다. 즉 문장 및 내용 구성이 읽기 힘들다. 그 점 제외하고는 괜찮은 책이다.

경영

카페 블루보틀 (★★★✩✩)

카페 블루보틀을 다루는 책이다. 그런데 퍼블리 혹은 브런치 글 모음인 것처럼 가볍고 인사이트가 없다. 인터뷰라도 따든지 성의도 없고.

0.1cm로 싸우는 사람 (★★★★✩)

문구 및 카드로 유명한 “바른손”의 창업자 박영춘의 자서전이다. 어떻게 바른손 카드 및 바른손 팬시를 설립하고 성장할 수 있었는지, 제품에 담긴 디자인 철학등을 풀어나가는 책이다. 다소 아쉬운 점은, “캐릭터” 산업의 중요성을 이해한 것은 좋았지만, 괜히 디즈니와 신경전을 벌일 필요까지는 없지 않았을까 싶다. 캐릭터만 만드는 것이 아니라 미디어믹스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여하튼 흥미롭게 읽었던 책이다.

닌텐도 이야기 (★★★✩✩)

닌텐도의 창업과 성장에 얽힌 이야기를 다룬다. 오래된 책이어서 닌텐도 DS 이후의 이야기를 담지 못한 점이 아쉽고, 닌텐도가 Wii U 에서 너무 기기 성능에 신경을 안써서 망할뻔한 이야기는 담지 않았다는 점이 아쉽다.

버거킹 (★★★✩✩)

버거킹 창업자의 자서진이다. 그런데 경영 전략과 같은 중요한 이야기는 별로 없고, 그다지 관심 없는 개인사에 지나치게 많은 분량을 할애한 것이 재미를 떨어트렸다. 책이 아니라 일기장인가? 그리고 흥미롭게도 와퍼가 경쟁사의 버거 (이름은 잘 모르겠지만)를 베껴서 만든 것이라는 사실도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되었다.

문샷: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든 화이자의 대담한 전략 (★★★★✩)

코로나 백신 개발에 얽힌 화이자의 배경 이야기를 CEO가 직접 저술한 자서전이다. 코로나 종식(까지는 아니다만 그래도 완화에)에 큰 역할을 했던 mRNA 백신 개발에 얽힌 비화와, 백신이 90% 효과적이라는 임상 결과를 보고받고 울먹하는 장면에서는 사실 나도 살짝 눈물이 글썽여졌다. 또한 <빌 게이츠 넥스트 팬데믹을 대비하는 법>에서도 한 번 설명된 내용이지만, 백신 자체에 특허를 걸거나 포기하는 것이 큰 의미가 없는 것이, 제조 및 생산이 가장 큰 어려운 난점이기 때문에 특허가 설령 없다고 해도 복제하는 것 자체가 쉽지 않다는 사실도 책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경제

금융투기의 역사 (★★★★✩)

역사 속의 버블 투자 (튤립 버블, south sea 사건 등등) 당시의 일들을 마치 신문 기사를 보는 것처럼 자세히 설명하는 책이다. 책 내용과 주제는 좋은데, 라이팅이 다소 무미건조하고 반복적이어서 지루했다. 조금 더 힘을 빼고 썼으면 더 읽기가 쉬웠을 것 같다.

회고록

수학자의 지도 (★★★★✩)

앤드류 와일즈의 페르마 정리 증명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타케무라-시무라 추론이라는 것이 있다. 바로 그 추론을 만든 시무라의 회고록이다. 시무라의 수학자로서의 인생 여정을 내밀하게 알 수 있는 좋은 책인데, 수학계에서 받던 질시, 동료 교수들과의 경쟁 및 협력 관계, 그리고 어떻게 연구 주제를 찾고 연구했는지 등을 충실하게 담고 있다. 전기적 구성이어서 어렸을 때의 이야기가 너무 긴 편인데, 차라리 스토리성을 강화했다면 더 좋은 책이 되었을 것 같다.

논픽션

셜록의 기억력을 훔쳐라 (★★★✩✩)

흥미로울 수 있는 소재인데, 글의 구성이 너무 산만하고 마음에 안든다. 기억술에 관심이 많다면 을 읽어볼 것을 추천한다.

문화

BTS와 아미 컬처 (★★★★✩)

BTS의 성공을 이끈 “아미”를 비롯한 아이돌 팬덤 문화를 다루는 책이다. 책을 읽고 나니 왜 BTS 가 글로벌 시장에서 먹힐 수 있었는지, 이른바 “언더독 신화”가 왜 팬덤의 네트워크 효과를 통해 확산될 수 있었는지에 대해 더 잘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팬덤 사이의 불화 –대표적으로 “날개꺾기” 사건–에 대해서도 어느정도 심도 있게 읽을 수 있었다. 책 쓴 저자는 분명 아미인듯 하다. 추천!

종교

따라 하는 기도 (★★★✩✩)

기도도 따라하면서 배우는 점이 많다는 점에서 추천. 다만 중간중간 너무 보수적인 해석이 거슬릴 때가 있다.

성경 해석 바로잡기 500 (★★★✩✩)

사실 개혁주의적 성경 해석 방식을 좋아하는 편이다. 성경 말씀 놓고 개인 QT 혹은 자기가 원하는 방식대로 해석하는 것을 크게 좋아하는 편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개혁주의적 성경 해석 방식의 단점도 있는데, 문자적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무척 근본주의적이고 보수적이다. 즉 동성애는 쳐죽일 죄(..)로 보고, 여자 목사 안수 반대라든지, 좀 눈에 거슬리는 해석들이 많다. 이러한 부분들을 개인에 따라 좀 가려듣고 난 후 괜찮게 읽은 책이다.

여행

미국 캠핑 로드 (★★★✩✩)

가볍게 읽은 미국 로드트립 이야기. 개인적으로는 “캠핑”을 메인으로 미국을 횡단했다면 무척 고생했을텐데.. 하는 생각이 들었다. 어느정도는 호텔 숙박도 섞어야 할 듯.

육아

만두아빠의 영어교육법 (★★★✩✩)

어린이 영어 교육하려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1) 영어 그림책을 읽어주고, (2) 영어 오디오북도 자주 듣게 해주자. 그 2가지 팁을 책 한 권으로 늘려놓아서 그런지 자가 반복적인 부분들이 무척 많다.

2022년 2분기를 함께한 책

소설

아찔한 비행 (★★★★✩)

근대를 배경으로 활약하는 여탐정 “프라이니 피셔”가 등장하는 라이트한 추리 소설. 여성 제임스 본드같은 느낌도 든다. 매력적인 주인공들과 가볍고 흥겨운 일상 묘사의 균형이 짜임새있고 과하지 않은 점이 좋다. 코니 윌리스가 추리소설을 썼더라면 이런 느낌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느낌이 들 정도로 작중 등장 인물들의 수다가 재미있게 흘러가는 것이 특징이다. 추천!

불편한 편의점 (★★★★★)

우리 사회에서 보기 쉬운 인간 군상을 촌스럽지 않게 그려내고 있다. 약간의 미스터리 요소가 가미된 힐링물이라고 해야 할까? 캐릭터, 필력, 구성이 정교해서 만족스럽게 읽을 수 있었다. 뻔할 수 있은 이야기를 뻔하지 않게 그려내는 점이 이 책의 강점이다. 추천!

오늘의 SF #1 (★★★✩✩)

SF 잡지이다. 듀나, 정명훈, 연상호 (영화감독이지만) 같이 이름 쟁쟁한 작가들의 인터뷰, 칼럼, 단편등을 고루 잘 담고 있는 잡지다. 아무래도 책과 같은 일관성은 부족하지만, 평소에 읽기 힘든 인터뷰나 칼럼들을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SF 팬이라면 한 번 읽어볼만한 잡지이다.

그날 그곳에서 (★★★★★)

시간 여행, 패러독스, 대형 재난 (아무래도 세월호를 떠올릴 수 밖에 없다), 가족을 구하기 위해 과거로 시간여행하는 시간 다이버 등등 흥미로운 요소들이 세련되게 잘 어우러져 있는 멋진 SF 작품이다. 드라마적 요소가 매력적인 캐릭터 조형과 잘 어우러진 것이 특징이다. 몇몇 장치들이 일회적으로만 사용된 점이 (다이빙 벨) 조금 아쉽고, 여러 시간축이 얽히면서 사건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는 단점이 있기는 하지만, 잘 쓴 SF 라는 점에서는 부정의 여지가 없다. 강력 추천!!

유리의 살의 (★★★★✩)

기억 상실에 걸린 여인이 살인 혐의를 받게되면서 벌어지는 미스터리 스릴러이다. 남편이 의외로 부인의 유죄를 인정하는 듯한 묘한 분위기 속에서 작품이 시작된다. 극의 흐름도 괜찮고, 치매 노인과 그에 따르는 간병의 어려움들도 현실감 있게 잘 묘사되어 있다. 다만 마지막 진범의 범행 이유 및 행동이 다소 억지스럽다는 점이 감점 요인이다.

여름으로 가는 문 (★★★★★)

시간 여행을 다룬 로버트 하인라인의 걸작 SF이다. 묘하게 어디서 많이 읽은 듯한 느낌이 드는데, 다른 서브 컬쳐에서 수없이 변주되어서 그런듯하다. <민들레 소녀>나 <오늘 너를 다시 만난다>도 이 책에 대한 큰 오마주라고 볼 수 있다. 추천!

떨리는 손 (★★★✩✩)

SF 단편 모음집이다. 전문 SF 작가가 아니라 과학자들이 모여서 동인지 느낌으로 집필한 것이 독특한데, 극 흐름이 부자연스럽다거나, 캐릭터를 이해하기 힘들다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다.

돌이킬 수 있는 (★★★★★)

시간여행을 소재로 한 SF는 많이 있지만, 극중 “싱크홀”이라고 불리는 대형 재난과 능력자물이 결합된 소재는 독특하다. 강풀의 <타이밍>과 같은 작품과도 비슷한 느낌이지만, 이 책은 군상극+재난 생존물에 더 초점을 둔 느낌이다. 여기에 국정원 같은 조직이 끼어드는 부분까지 더해지면서, SF, 스릴러, 스파이 소설, 미스터리, 히어로물과 같은 장르들을 독특하게 결합한다. 중반 부분의 밀도가 다소 좀 높았다는 생각이 들고, 두 조직의 암투가 꼭 그렇게 피튀기며 싸울 정도의 당위성이 있었는가는 질문이 들었지만, 현실 세계에서도 얼마든지 별 것 안되는 이유로 싸우기도 하니 극적 당위성이 아주 떨어지지는 않는다. 드라마로 만들어진다면, 윤서리 역은 <오징어 게임>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보여줬던 정호연이 꼭 담당했으면 좋을 것 같다. 캐릭터가 무척 어울린다. 조금 아쉬운 점은 세계관의 비밀이 크게 풀리지 않는다는 점인데, 즉 재난 그 자체는 일종의 맥거핀 역할만 한다는 점이다. 전반적으로는 무척 훌륭한 작품이다. 추천!

피프스 웨이브(The 5 Wave) (★★★★✩)

그럭저럭 재미있게 읽었던 포스트 아포칼립스 재난물이다. 외계인이 인류를 거의 멸종시킨 미래의 지구에서, 5번째 대멸절, 즉 5번째 웨이브가 다가오면서 벌어지는 군상극을 다룬다. 캐릭터의 감정선을 이해하기 힘든 부분들이 있고 (왜 에릭이 여주에게 사랑을 느낀 것인지 도저히 모르겠다), 외계인의 정체와 의도를 주절주절 말로 다 해설하는 것이 작품의 완성도를 떨어트리는 요인이다. 킬링 타임용으로 추천한다.

마지막 황제 (★★★★✩)

아쉽다. 즐겨 보았던 <상호의존성단 시리즈>의 마지막 권이어서 기대감이 앞섰었는데, 다소 아쉬운 결말이다. 인물들의 서사가 제대로 마무리되지 않은 것이 마치 스타워즈 에피소드 9을 보는 느낌이 들었다. 마지막 권에 너무 급하게 달리기도 했고, 캐릭터가 중요한 소설에서 캐릭터의 결말이 허망하다는 느낌도 들어서 아쉬움이 더했다. 무엇보다도 작가가 시리즈를 구상했을 때, 결말 부분을 처음부터 제대로 구상하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엔드 행성에서 백작과 그레니의 서사가 제대로 그려지지 못한 것이 아쉬운데, 개인적으로는 무언가를 계획했는데 소설을 써나가면서 이를 제대로 살려나갈 플롯을 생각하지 못한 것은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지울 수 없었다. 과정이야 어쨌든 재미는 확실히 있다.

걸스 라이크 어스 (★★★★★)

롱아일랜드에서 연쇄 살인 사건이 벌어진다. 동시에 한 FBI 수사관이 고향에 파견되어 아버지의 장례식을 치르면서 사건이 벌어지기 시작한다. <해리 보슈> 시리즈를 연상시키는 흡인력 있는 전개와 탄탄한 전개가 인상적으로, 미스터리 스릴러 형사물의 갖춰야 할 모든 좋은 요소들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마음에 든다. 추천!

위쳐. 5: 호수의 여인 (★★★★✩)

위쳐 소설 시리즈는 무척 재미있게 읽었던 시리즈인데, 대단원을 장식하는 마지막권 치고는 산만하다. 등장인물들이 이곳저곳에 너무 분산되어서 등장하고, 또한 시점 전환이 지나치게 자주 일어나면서 긴장감이 떨어진 측면이 있다. 마지막 전투만큼은 꽤 잘 그려냈지만, 밀바나 카히르 같이 매력적일 수 있던 캐릭터들이 너무 일회적으로 소모되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이 크다. 다른 말로는, 처음부터 결말을 제대로 구상하고 그리지 않은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시리즈의 마지막이라는 만족감은 있지만, 모호하게 묘사된 결말도 있어서 아쉬움이 있다.

땡스 갓, 잇츠 프라이데이 (★★★★★)

심너울의 SF 단편집 모음이다. 한국 사회와 묘하게 잘 조화를 이루고 있는 한국적 SF를 만나볼 수 있다. 단편 <땡스 갓, 잇츠 프라이데이>는 미묘하게 애플tv+의 <Severance>가 떠오른다. (아마 이 작품이 먼저겠지만) <경의중앙선에서 마주치다>는 무척 재미있게 읽었다. 정말로 경의 중앙선 배차 간격과 혼잡도가 그만큼 엉망인가 찾아보니 실제로도 그런듯했다. 한국적 SF에 판타지, 그리고 <블랙 미러>같은 블랙 코미디의 결합이 인상적이었다. 재미있게 읽었고, 단편들의 완성도가 훌륭하다. 추천!

블랙 아이스 (★★★★★)

작품 연대순으로는 <해리 보슈 시리즈>의 2번째 작품이다. 시리즈 특유의 드라이하면서도 포커스된 느낌을 잘 살리는 작품으로, 한 번 손에 잡으면 놓기가 힘들다. 다만 다른 작품들에 비해서 다소 비현실적인 부분들도 있는데, 진범 캐릭터가 다소 미묘했다. 즉 범행 동기를 이해하기가 어려웠다. 작가 본인도 쓰면서 복잡한 캐릭터라는 것을 납득했을까? 그리고 극중 등장하는 과일 파리에 대한 설정은 다소 전문적인 내용이다보니 오히려 비현실적으로 느껴졌다. 하지만 이런 점들을 제외하면 스릴러로서의 재미는 확실히 보장한다. 추천!

고양이 발 살인사건 (★★★★✩)

크리스마스를 주제로 한 흥미로운 단편들의 모음집이다. <고양이 발 살인 사건>은 전통적인 고전 추리물을 비틀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개인적으로 <동방박사들의 여정>이 기독교인으로서 가슴 따뜻하게 다가왔는데, 적절한 “결말”이 없다보니 똥싸고 마무리가 안된 느낌이 있었다. 즉 코니 윌리스 특유의 “기승전”에서 바로 끝마치는 작품들이 꽤 있고, 3인 이상의 “수다”가 좀 정신없다는 점이 장점이자 단점이 될 수 있다. 추천!

현장검증 : 케이스릴러 (★★★★✩)

기억 상실에 걸린 형사가 전면에 등장하는 스릴러물로서,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것이 특징이다. <해리 보슈 시리즈>와 같은 형사물 스릴러를 참고한 느낌의 문체라는 느낌이 들었다. 극중 등장하는 “한 형사”의 캐릭터가 잘 와닿지 않았고, 진범이 왜 이렇게 복잡한 행동을 하는지 이해하기 어렵긴 했는데, 그럭저럭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추천!

인문

제임스 조이스 문학 읽기 (★★★✩✩)

모더니즘 현대 문학을 좋아하는 변태적인 취미가 없다면 제임스 조이스의 문학은 읽기 힘들다. 이 책은 제임스 조이스의 책에 대한 일종의 가이드북인데, 관련 텍스트들을 어느정도 알고 있어야 도움이 될 법한 책이다. 너무 지엽적인 책의 디테일을 다루기 보다는, 제임스 조이스 문학 전반의 특징을 몇몇 키워드와 주제를 위주로 풀어나갔으면 훨씬 더 나은 책이 되었을 것 같다.

베스트셀러 절대로 읽지마라 (★★★★★)

제곧내. 어떻게 베스트셀러가 “만들어지고” “조작되는지”를 상세하게 이야기해주는 책이다. 동시에 왜 베스트셀러가 독서계 전반에 해가 되는지도 이야기하고 있다. 일상적으로 보여지는 아마존 리뷰 조작이 출판업계에서도 예외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개인적으로 독서의 미래는 개인화와 큐레이션이라고 보는데, 출판사 및 베스트셀러 위주로 팔려나가는 독서 시장이 아니라, 소비자 위주가 된 독서 시장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본다. 책을 많이 읽는 나로서도 무척 공감이 갔던 책이다. 참고로 yes24에서의 평점이 미묘하게 낮은 편인데, 왠지 그 이유가 씁쓸하게 짐작이 갔다.

난독 시대를 타파할 독서의 기술 (★★★★✩)

북클럽 만들기를 고려하는 중이라면 도움이 될 입문 가이드이다. 여러가지 공감하는 부분들이 꽤 있었는데, 다만 인문 고전 읽기 위주의 독서는 나와는 맞지 않는 것 같아서 패스했다. 그냥 이렇게 하는 방법도 있구나 정도로 생각하면 될 것 같다. 사족으로 독서를 취미로 접하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나는 고전을 추천하지 않는다. 시대상과 사회상황, 컨텍스트를 알아야 완전히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E. H. 카의 <역사란 무엇인가>는 사실 라디오 강연을 책으로 그냥 묶어서 낸 것이고, 유럽권 독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그리스 로마 시대의 철학사에 대한 이해도 전제로 담고 있다. 서구권 독자에게 세종대왕과 용비어천가에 대한 기본 이해를 담고 있는 한국 역사서를 읽으라고 한다면 제대로 이해하겠는가? 따라서 이러한 컨텍스트 없이 독해한다고 얻는 것이 많을지는 모르겠다. 또한 저자는 어려워야 좋은 책이고, 쉽게 쓰여진 책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전제로 깔고 있는 것 같다. 즉 요즘 책들은 중학생 수준도 읽을 수 있다고 한탄하는 듯한 내용인데.. 나는 어렵게 쓴 책이 좋은 책이 아니라고 본다. 여러가지 면에서 나와 다른 관점에 있지만 (나는 독서는 취미라고 보는 입장이다), 하나의 관점으로서는 나쁘지 않을 수 있을 것 같다.

1인 출판 입문 (★★★★✩)

1인 출판에 관심 있다면 추천한다. 출판에 관심있다면 짜임새 있게 잘 쓴 책이다. 실제로 어떻게 출판사업자 등록하고, 어떻게 출간하는지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사회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 (★★★★★)

무엇이 사나운 늑대를 다정한 개로 만들도록 했을까? 무엇이 야생의 동물들을 가축이 되도록 만들었을까? 무엇이 이들로 하여금 인간이 동물과 교류할 수 있도록 만들었을까?

이 책은 개에 대한 이야기에서부터 시작한다. “개를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그들을 생각하고 사랑하고 아픔을 느낄 능력에 의심을 품지 않을 것이다. 개에게서 사랑을 받아본 사람이라면 그 사랑이 다른 사랑만 못하다는 생각은 결코 들지 않았을 것이다. 우정은 세상에서 가장 위대하고 평등한 사상이다. 개가 우리에게 얼마나 중요한 존재가 될지 예상했던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의문을 가져볼 수 있다. 늑대가 개로 변하면서, 이들은 더 다정해지고, 더 친화력을 가지게 되고, 더 사람의 감정을 읽을 수 있도록 변해왔다. 그렇다면, 혹시 인간에게도 동일한 일이 일어난 것일까? 이것이 바로 이 책의 핵심적 주제인 “인류의 자기 가축화 가설”이다.

이 책은 동물행동학, 진화심리학, 사회심리학의 여러 분야들을 폭넓게 넘나들면서, 자기 가축화 가설을 심도 있게 풀어내고 있다. 8만년 전의 호모 사피엔스 종의 자기 가축화는 다른 종이 범접할 수 없는 종내 친화력을 극대화시켰고, 그 사회적 이념이 인류가 지구를 지배하게 만들었다. 인간은 누구나 길 잃은 아이를 도와주려 하고 고통받는 어린아이에 감정을 이입한다. 이러한 친화력은 바로 호모 사피엔스 종을 비롯한 몇몇 종들의 위대한 성과일 것이다. 하지만 책에서는 이에 대한 명암도 균형 있게 설명하고 있다. 즉 이러한 친화력때문에 집단간 배척이 오히려 심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면에서 정치 양극화가 가져온 실제적 효과(양당제로 인한 법안 수 감소와 같은)도 잘 설명하고 있다. 스티븐 핑커의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를 재미있게 봤다면 취향에 아주 맞을 책이다.

이하는 내가 책에서 인상깊게 읽었던 구절들이다.

우리는 지능을 토대로 확고한 구분선을 긋고 동물에게도 사람에게도 잔인한 고통을 가해왔다. 나의 개 오레오는 모두가 저마다 특별한 자질과 재능이 있으며, 모두가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들을 해결할 놀라운 능력을 갖고 이 세상에 태어났음을 내게 가르쳐주었다.

개의 품종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면서 “모든 개가 동등한 삶의 질을 누리도록 약속할 필요는 없다”에 많은 응답자가 강하게 동의했다. 하지만 인상적인 것은, 사람에 대한 사회지배 성향 질문에서도 똑같이 응답한 것이었다. 즉 개 품종들 사이에 우열이 있다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사람 집단 간에도 뚜렷한 위계가 존재한다고 인식했다.

사람의 자기 가축화 가설은, 우리 사회가 겪고 있는 수많은 정치적 문제들은 한 가지 근본적 문제의 증상이라고 말한다. 즉 “같은 편에는 친절하고 다정했던 사람이, 다른 편에는 잔인해지는 인간 본성의 역설 말이다.”

트럼프의 유세 중에서 가장 충격적이었던 것은 외집단을 비인간화는 수사를 거침없이 사용했다는 점이었다. 자신의 지지자를 모욕하는 기자들을 향해서는 “쓰레기, 구역질나는 상놈” 이라고 불렀다.

미국의 정치제도는 만인이, 최악의 적까지도 동등한 사람으로 대우받을 자격이 있다는 민주주의의 원리를 기본으로 한다. 우리는 타인을 비인간화하는 지도자는 외면하고 타인에게도 인간애를 실천할 것을 주장하는 지도자에게 정당과 소속을 떠나서 힘을 실어주어야 할 것이다.

영리를 추구하는 언론은 정보 전달은 물론 재미까지 제공해야 하는 시장의 힘에 밀려 선거인단 제도의 문제점, 지엽적인 말다툼에 열중하는 정치인들, 등 민주주의의 결함만을 집중 조명하고 있다.

폭력 시위가 지하운동 같은 은페적 경향을 띠는 반면, 평화 시위는 모두가 볼 수 있는 고개적 형태로 전환된다. 평화 및 폭력 시위 성공률을 보면, 평화 시위의 성공률은 50%에 달하는데 반해 폭력 시위는 20%에 그친다.

<톰 아저씨의 오두막>은 노예제 폐지 운동의 하나의 전환점이 되었다. “이야기”는 첨단 기술이 아니고 새로운 것도 아니지만, 사람을 향한 공감을 향상시키는 효과적 방법으로 입증되어 왔다.

가장 바람직한 도시의 모습은 다양한 국가와 민족, 인종, 성 정체성이 섞인 활기 넘치는 공동체를 이루는 공간이다. 이 다양성이 사람들 간의 교류를 활성화시키며, 혁신과 경제적 성장을 이끌고 사회의 관용을 강화시킬 것이다.

사회학자 새뮤얼 올리너는 아내 펄과 함께 나치 치하에서 유대인을 구출한 사람 수백명의 증언을 분석했다. 그 결과 찾아낸 공통적 특징은 단 하나였다. 그들 모두가 전쟁 전에 유대인 이웃이나 친구 혹은 직장 동료와 친하게 지낸 경험이 있었다.

개인적인 2022년 올해의 책 가운데 하나로 뽑히기에 부족함이 없는 훌륭한 책이다. 강력 추천!!!

왜 살인자에게 무죄를 선고했을까? (★★★★★)

이 책의 독특함은 논픽션을 픽션처럼 풀어나가는 문체에 있다. 보통 책에서 형사 사건들을 다루다보면, 사건의 개요에 대해 설명하고, 무슨 논증이 오갔으며 어떤 법이 적용되었는지를 딱딱하게 설명하는 글이 많은데, 이 책은 형사 사건을 피고인의 입장에서 마치 소설처럼 독특하게 풀어나가는 점이 인상적이다. “뉴요커”와 같은 잡지에서나 볼법한 유려한 문체로, 사건을 사연으로 풀어나가면서 독자의 감정 이입을 극대화시킨다. 읽다보면 가슴이 먹먹한 사연들이 많다. 문체는 간결한 것이, 마치 실사판 <미키 할러웨이> 시리즈를 읽는 느낌이 든다. 법정 스릴러는 아니지만, 형사 및 법정소설을 좋아한다면 실망하지 않을 것이고, 법 제도의 모순과 명암에 대해서도 심도있게 고찰해볼 수 있다. 다만 후반부까지 너무 원패턴이라서 조금 단조롭다는 것이 단점이다. 추천!

가난의 문법 (★★★★★)

이른바 “폐지 줍는 노인”으로 대표되는 노년층의 곤궁함을 심도 있게 짚어낸 사회학 책이다. 책은 일종의 가상의 인물을 설정하고, 그녀의 시각에서 어떤 인물 군상들을 마주치고 어떻게 폐지를 주우면서 돈을 버는지를 그려내면서 자연스럽게 설명한다. 이들이 어떻게 폐지를 줍는 빈곤층이 되었는지, 어떻게 “폐지 생태계”가 생겨났는지를 사회학적 측면에서 조망하면서도 단순히 숫자에 매몰되지 않고 개개인의 삶에 집중해서 잘 그려낸 훌륭한 사회학 책이다. 추천!

풀 프루프 (★★★★✩)

이른바 “인전 시스템”이 어떻게 의도와는 달리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지를 파헤치는 책이다. ABS 시스템으로부터 경제 위기 대처 시스템까지, 이러한 위기 예방 시스템이 과연 피해를 줄이는데 실제적 도움이 되었는가를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 살펴본다. 다만 책의 분량이 경제위기에 너무 치우친 점이 아쉬운데, 보다 다양한 사례들이 더 등장했었으면 좋았을텐데하는 아쉬움이 들었다. 또한 책에서는 풀 프루프 시스템의 취약점을 적당한 위험을 도입함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고 하는데, 실제적으로 적용된 예제가 있었으면 더 좋았을 것 같았다.

음식물 쓰레기 전쟁 (★★★✩✩)

농장, 슈퍼마켓, 레스토랑 등 음식물 파이프라인의 각 고리에서 생기는 음식물 쓰레기의 사례들과, 이를 어떻게 줄이는지 노력을 알려주는 책이다. 컨셉은 좋은데, 지나치게 자잘한 정보들을 많이 나열하는 것이 단점이다. 즉 한두가지 인상적인 사례들 위주로 전달했으면 더 좋았었을뻔 했다. 비슷비슷한 이름의 스타트업이 비슷비슷한 이름의 프로그램으로 비슷비슷한 취지의 운영을 하는 것을 너무 지엽적으로 나열하면서 설명하다보니, 난잡하고 동어반복적이란 느낌이 들었다. 정보 전달 측면에서는 나쁘지 않지만, 책으로서는 썩 좋은 경험은 아니었다. 중도 하차.

인류학, 역사

세계사를 바꾼 12가지 신소재 (★★★★✩)

철이나 실리콘과 같이 인류사에 영향을 미친 주요 소재들에 대한 간략한 역사와 배경을 흥미롭게 기술한 책이다. 다소 일본 중심의 화제로 설정되어 있지만, 그럭저럭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가벼운 책이다.

빵으로 읽는 세계사 (★★★★✩)

“빵”보다는 “세계사”의 비중이 더 많은 책이다. 빵이 양념이라면 세계사가 메인 디쉬에 가깝다고 해야 할까? 아쉬운 점은 빵 자체가 서양 음식이다보니 결국 서양사의 비중이 클 수 밖에 없다는 점이다. 그 점을 제외하면 그럭저럭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세계사 책이다.

문명의 역습 – 우리는 문명을 얻은 대신 무엇을 잃었는가 (★★★✩✩)

일종의 문명 비평서인데, 착실한 연구 결과에 기반하고 있다기 보다는 그냥 본인의 생각을, 원하는 사례를 편리하게 취합해서 주절주절 늘어놓은 느낌이 강한 책이다. 다소 비관적인 시점의 독자 연구에 가까운 책이어서 중도 하차했다.

경제

원숭이도 이해하는 자본론 (★★★★✩)

말 그대로 쉽게 풀어쓴 자본론이다. 한 세대를 풍미했던 마르크스의 <자본론>이 궁금하다면 한 번 읽어보기를 권한다. 개인적인 감상은, 자본주의 비평서로는 지금도 훌륭한 가치가 있지만, 책의 몇몇 전제와 가정들이 현실세계와 썩 잘 맞아떨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다소 낡았다고도 볼 수 있다. 첫째로 “유통 과정에서는 가치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전제에 동의하지 않는데, 그렇게 치면 택배기사는 아무런 가치도 생산하지 못한다는 비현실적인 가정이 나오기 때문이다. 또한 이윤은 노동자의 생산시간 뿐이 아니라 지대에서도 나온다고 보기 때문에 이런 점에서도 자본론의 시각에 썩 동의하는 편이 아니다. 다만 자본론에 대한 내용만 나오는 것은 아니어서, 후반부에는 다소 루즈해지는 점이 없지 않아 있다. 한 번쯤은 읽어볼만한 책이다.

존리의 금융문맹 탈출 (★★★★✩)

요즘 비리 의혹으로 잠수중인 (..) 존리의 책이다. 유명세에 비해서는 평범한 책인데, 만약 주식 장기투자나 은퇴연금, 복리의 효과에 대해 하나도 모른다면 입문용으로 읽어볼만하다. 다만 이러한 금융지식이 제로에 가까운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입문서여서, 어느정도 지식이 있는 사람에게는 권하지 않는다.

부의 지도를 바꾼 회계의 세계사 (★★★★★)

회계사의 굵직한 “발명들”, 즉 복식 부기에서부터 주식회사의 등장과 SEC, GAAP의 등장, 듀퐁 공식과 ROI, 그리고 회계의 미래인 관리 회계에 이르기까지, “왜” 이러한 회계 기술들이 등장하게 되었는지를 관련된 배경 역사와 함께 설명해주는 책이다. 무척 훌륭하다! 다만 조금 억지로 붙여넣은 예제도 없는 것은 아닌데, 그럼에도 책의 전체적인 짜임새와 “왜 이런 기술들이 등장하게 되었나”에 집중하는 점은 무척 좋았던 것 같다. 저자의 시각에도 동의하는데, 자본주의 시장의 발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은 다름 우엇보다도 회계의 투명성이라는 점에서도 무척 수긍할 수 밖에 없었다. 강력 추천!

부동산 트렌드 2022 (★★★★✩)

정량적인 분석법에 기반하고 있고, 정책적 경제학적 측면에서도 부동산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을 잘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꼭 부동산 투자 목적이 아니어도 한 번씩 읽어보는 것이 좋다. 개인적인 생각을 더하자면, 부동산 시장의 근본적인 어려움은, 부동산이 일종의 부분 독점이라는 점에서 기인한다. 또한 의식주라는 기본적 요소와 연결되어 있어서 가격 탄력성이 높지 않다는 점, 그리고 이른바 네트워크 효과에 기인한 연결성 측면이 강하다는 점 (즉 집값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적 요인들이 많다) 등 수많은 요인들이 어우러져 집값 예측의 어려움을 만드는 것이 아닌가 싶다. 꼭 부동산 투기를 할 것이 아니라도 한 번 읽어보면 좋다. 추천!

도시, 건축

도시로 보는 미국사 (★★★★✩)

초반에는 다소 루즈하게 시작하나 했는데, 담백한 문체가 생각보다는 괜찮았다. 미국의 각 도시에 얽힌 이야기들, 즉 로스앤젤레스의 정경유착부터 필라델피아, 아틀란타, 뉴욕에 이르는 각종 인종 갈등과 젠트리피케이션에 이르기까지, 그 배경과 함의에 대해 깊이 있게 설명하고 있다. 대략 10개의 도시를 설명하면서 미국의 다양한 문화와 갈등들을 함축적으로 설명한다는 점에서 대단한 책이다. 책을 읽다보니, 한편으로는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에서 제기했던 하나의 해결책, 즉 접촉을 통해 인류가 더 공감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지 않을까하는 아이디어에 대해 다소 회의적인 생각이 들었다. 자본은 힘이 있다. 그리고 자본의 특성상 인종, 계층간의 갈등이 완화될만한 유인책이 크게 보이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추천!

공간의 미래 (★✩✩✩✩)

책에 전반적으로 깔려있는 시장 만능주의, 자유주의적 시각이 상당히 거슬린다. 규제만 푼다고 모든 것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닌데, 규제만 풀면 모든 문제가 해결될것처럼 접근하는 점이 무척 단편적이라고 느꼈다. 임대 주택 비판하면서 가만히 냅두면 시장이 다 해결해 줄거라고 믿는다든지, 개인의 자유와 책임이 제일 중요하다든지 주절주절 이야기하는 것을 읽다가 빡쳐서 그만 접었다.

과학

스페이스 러시 – 우주여행이 자살여행이 되지 않기 위한 안내서 (★★★★★)

우주 여행, 즉 달 및 화성 개척의 어려움과 공학적 난제, 그리고 스페이스X를 위시한 민간 기업에 의한 발사체 시장 성장이 향후 우주 여행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심도있게 고찰한 책이다. 교양 과학서의 수준에서 훌륭하게 잘 쓰여진 책이다. 바이오스피어2 실험과 실패, 국제 우주정거장의 명암, 미소 중력의 실험과 필요성에 대해서도 깊이있게 이야기하고 있다. 과거 아폴로 프로그램이 러시아와의 경쟁에서 탄생했듯, 결국 화성 탐사도 중국과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투자할 것이라는 예측이 현실의 미중관계를 보았을 때 설득력있게 다가왔다. 의회 예산에 의존해야 하는 나사의 비효율성과 스페이스 X와 같은 민간 부분의 도약도 눈여겨볼만한 파트다. 우주 여행과 개척에 관심이 많다면 꼭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맛의 과학 (★★★★✩)

보통 우리는 “맛”이라고 하면 뭉뚱그려서 지칭한다. 즉 맛있다와 맛없다이다. 그런데 왜 맛있냐고 묻는다면 사실 대답하기 난감하다. 맛에는 수많은 요인들이 좌우하고, 특히 향기와 같은 요인들은 이를 단어로 설명하는 것 자체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 책은 음식의 “맛”에 대해 심층적으로 파고 든 교양 과학 서적이다. 왜 맛을 분류하고, 맛이 있다 없다를 판별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인지를 설명한다. 책에 실려있는 다양한 인터뷰들이 좋은 편이다. 특히 향을 조합하는 회사인 “지보단”에 대해서 처음 알게 되었는데, 이런 음식 조향 스타트업의 가능성을 흥미롭게 생각하게 되었다. 문체에 리듬감이 부족한 편이어서 조금 지루하다고 느낄 수 있는데, 그 점을 제외하고는 괜찮다. 분자 요리에 관심이 많다면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블루의 과학 – 신비의 색, 파랑의 물리학, 화학, 생물학 이야기 (★★★★✩)

“파랑색”에 초점을 둔 흥미로운 교양과학서이다. 왜 자연계에서 파랑을 찾기 어려운지, 무엇이 모나크 나비의 아름다운 파랑색을 만들어내는지, 성선택 측면에서 파랑은 어떤 장점을 가지는지, 그리고 파랑색을 만들어내기 위한 발전사 (인디고 블루 등)을 파랑이라는 키워드로 잘 엮어낸 책이다. 이렇게 하나의 키워드를 정하고 관련 주제를 엮어낸 것이 참신한 교양과학서이다. 추천!

술, 질병, 전쟁: 미생물이 만든 역사 (★★★★✩)

제목 그대로 미생물이 인류사에 끼친 주된 영향 — 발효, 질병, 전쟁 등 –을 교양 과학 관점에서 풀어낸 책이다. 코흐와 파스퇴르의 알력이 꽤 흥미로운 일화였다. 미생물에 관심이 많다면 추천!

나는 어쩌다 명왕성을 죽였나 (★★★★✩)

새로운 행성들(에리스와 하우메아)을 잇따라 발견해내면서 결국 IAU가 명왕성을 행성에서 퇴출시키는데 지대한 공헌을 한 이른바 “명왕성 킬러” 마이클 브라운의 자서전이다. 무척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으로, 에리스와 하우메아의 발견에 얽힌 비화를 읽을 수 있다. IAU의 명왕성 퇴출 투표도 무척 재미있게 읽었는데, 본인이 키배 기질이 좀 있는 듯 싶다. 천문학 좋아한다면 추천!

생명의 물리학 (★★★★✩)

진화는 필연적인가 아니면 우연적인가? 즉 지구의 시계를 50억년 전으로 돌려서 다시 한 번 재생하면, 지금과 비슷한 형태의 생물종이 다시 탄생할까? 아니면 완전히 다른 생태계가 만들어질까? 여기에 2가지 학파가 있는데, 진화는 우연적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 (예를 들어 스티븐 제이 굴드)이 있고, 진화는 필연적이라고 보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 책은 후자에 속한다. 생명체는 물질의 일종이며 따라서 물리 법칙의 지배를 받는다. (만유 인력, 반데르발스 힘, 전자기력, 베르누이의 법칙, 나비에-스톡스 방정식 등) 그래서 물고기에서는 프로펠러가 진화하지 않았고, 바퀴 달린 동물이 진화하지 않은 이유도 비슷하게 설명할 수 있다. 물론 우연성도 존재한다. 세포막의 개수나 나방 날개의 무늬 등등은 우연성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다. 하지만 필연성의 요소가 우연성에 비해서 더 크다는 것이 책의 요지이다. 개인적으로는 스티브 제이 굴드의 주장에 대한 반박 파트들이 마음에 들었고, 생명체의 발생과 진화에 내재하는 필연적 요소 (탄소와 물에 얽힌 물리학과 화학적 큭성) 등을 탐구하는 파트가 좋았다.

수학

공식의 아름다움 (★★★★✩)

인류사에 영향을 미친 주요 수학 공식들의 의의와 내용을 설명하는 책이다. 사실 수학 공식을 말로 쉽게 설명하는 것 자체가 쉽지 않은 것이기는 한데, 이를 그럭저럭 교양 수학책으로서 잘 풀어냈다는 점이 좋다. 추천!

예술

기묘한 미술관 (★★★★✩)

근대 및 인상주의에 이르기까지 예술사적으로 중요했던 회화 작품들을 포인트별로 짚고 넘어가는 책이다. 미술사에 대해 어느정도 알고 있는 편이라면 크게 새로운 내용은 없겠지만, 재미로 읽을만히디.

내가 사랑한 화가들 (★★★★✩)

10명의 미술가들의 삶과 대표작, 그리고 이들의 생애를 스토리로 풀어낸 미술사 책이다. 크게 새로운 내용은 없지만, 미술가들의 삶과 스토리를 작품과 함께 녹여낸 점이 괜찮다.

미술 감상 제대로 하기 (★★★✩✩)

가볍게 읽을만한 미술 책이기는 한데, 내용이 크게 기억나지는 않는다. 그럭저럭 추천.

쓸모 있는 음악책 (★★★✩✩)

음악의 효능과 심리적 효과 등을 기술한 책이다. 제목에 대해 태클을 걸자면, “음악책”인 것은 동의하겠는데, “쓸모가 있는지”는 수긍하지 못하겠다. 왜냐하면 깊이가 없는 책이라고 느껴서이다. 중도 하차.

뮤지엄 X 여행 (★★★★✩)

세계 각국의 의미있고 독특한 뮤지엄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이들 뮤지엄의 파사드와 구조가 어떻게 건축 공간을 통해서 연출되는지를 “뮤지엄의 공간”이라는 측면에서 잘 풀어내고 있는 책이다. 어떤 의도로 공간이 설계되었고 어떤 컨텍스트를 가지고 있는지, 즉 “왜 이 뮤지엄은 이 공간을 가지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성실히 잘 답변하고 있는 훌륭한 책이다. 책을 읽고 나니 한 번 가보고 싶은 뮤지엄들도 많이 생겼다. 추천 !!

육아

아이가 내 맘 같지 않아도 꾸짖지 않는 육아 (★★★✩✩)

왜 아이에게 화내면 안되는지 근원적인 이유를 잘 설명하는 책이다. 다만 뒷부분은 동어반복적인 구간이 좀 많다.

아이가 원하는 것을 모른 채 부모는 하고 싶은 말만 한다 (★★★★✩)

아이 양육시에 감정 교류가 왜 중요한지, 사랑한다는 표현이 왜 중요한지 등등을 어렵지 않게 잘 풀어서 설명하고 있다. 추천!

2022년 1분기를 함께한 책

소설

클레오파트라의 꿈 (★★★★✩)

미궁에 빠진 살인사건과 사라진 천연두 백신의 행방을 놓고 벌어지는 미스터리 스릴러이다. 독특한 여성적 말투를 사용하는 남자 주인공이 여동생을 찾으러 왔다가 함께 사건 속으로 빠져들어가게 된다. 큰 극적 긴장감은 없지만, 계속 사건들이 벌어지면서 흥미를 잃지 않게 만든다. 그럭저럭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소설이다.

허수아비: 사막의 망자들 (★★★★✩)

언제나 실망시키지 않는 존 코넬리의 책. 사실 <존 매커보이> 시리즈 전작을 읽어보지 않아서, 캐릭터의 배경을 이해하기 어려웠던 점이 다소 아쉬웠고, 코로케이션 서버룸의 보안과 감시 등에서 다소 비현실적인 요소가 있긴 했지만, 그걸 제외하고는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존 매커보이는 존 코넬리의 페르소나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추천!

슈퍼히어로의 단식법 (★★★✩✩)

단식하면 초능력이 생기는 (..) 주인공의 이야기다. 일종의 영 어덜트 성장소설이다. 초반에 누나의 가출 사건이 꽤 비중있게 다루어지고, 극을 이끌어가는 핵심 역할을 하는데, 진상을 알고 나니 다소 맥이 빠지는 느낌이 있었다. 책은 괜찮은데, 다 읽고 나서는 캐릭터들의 단편적인 인상 외에는 크게 머릿속에 남는 것이 없는 것이 다소 아쉬웠다.

내가 죽기를 바라는 자들 (★★★★✩)

흡입력 있는 스릴러다. 살인 사건을 목격한 소년을 증인 보호하기 위해 몬태나의 한 청소년 서바이벌 캠프에 입소시키는 것으로 이야기가 시작된다. 일종의 산악 서바이벌 + 스릴러가 결합된 독특한 소설이다. 미국의 자연공원 산불은 정말 무섭구나하는 점도 알 수 있다. 추천!

시트콤 (★★★✩✩)

고등학생들이 등장하는 군상극 소설이다. 구성은 좋은 편이나, 원조교제와 가출, 10대 남학생들의 성적 욕망 등 어두운 내용들도 담고 있어서 내 취향은 아니었다. <뉴서울파크 젤리장수 대학살>을 재미있게 봤다면 이 책도 흥미있게 볼 수 있을 듯 하다.

버닝 룸 (★★★★★)

역시 믿고 보는 해리 보슈 소설. 인물, 진행, 구성 등등 흠잡을 곳이 없다. 기존의 보슈 시리즈 작품과는 다르게 미드를 보는것처럼 2가지 사건을 병렬로 조사하면서 진상에 접근하는 점이 흥미를 돋군다. 플롯에서 다소 허점이 있지만 (스포일러: 오헤어를 죽였다면 정말 경찰 조사가 없었을거라 생간한건가?) 전체적 구성은 나무랄데가 없다. 추천!

사회

나는 진보인데 왜 보수의 말에 끌리는가 ? (★★★★★)

훌륭한 책이다. 사회 심리학적으로 무엇이 보수와 진보의 정치적 지향점을 가르는 점이 되는가, 정치적 관점에서 은유의 언어가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그리고 왜 가정의 은유가 정치적 은유와 연결되는지 잘 설명하는 책이다. 나는 좋은 책이란 많이 생각하게 만들고, 많이 질문하게 만드는 책라고 생각하는데, 이 책이 그렇다. 이 책의 저자는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로 유명한 레이코프 교수와 그 제자인 웨일링이다. 두 사람의 대담을 통해 인지신경학 관점에서 어떤 언어가 정치적 프레임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쉽게 풀어낸 책이다.

국가는 추상적인 존재다. 모든 사람들의 마음에 “국가”라는 개념이 있지 않다면, 국가는 존립할 수 없다. 국가는 종종 한 개인에게는 비합리적인 결정 (전쟁이 났을 때 나라를 위해서 목숨을 바치는 군인)을 내리게 만들기도 한다. 왜 “애국심” 혹은 “국가”라는 추상적인 개념이 존재할 수 있을까? 왜 사람들은 “국가”를 실체로 인식하고 행동할까? 그것은 “국가”가 일종의 은유로서 모든 사람의 마음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왜 은유일까? 종교를 보면 은유가 얼마나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지 알 수 있다. 어떤 종교이든 신의 존재는 추상적이고 은유적이다.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설명해야 하기 때문에 그렇다. 그렇다면 추상적인 “신”의 존재를 어떻게 사람들 마음속에 실체화시킬 수 있을까? 은유를 통해서다. 기독교에서는 하나님에 대해 많은 은유를 들어 설명한다. “선생님”, “목자”, “강한 용사” 등등. 하지만 가장 많이 사용되어 온 은유는 바로 “아버지”이다. 즉 하나님이 바로 아버지라는 것이다.

국가도 마찬가지로 은유 속에서 존재한다. 국가에 대해서 지금까지 가장 많이 쓰여왔던 은유는 “가정”이다. 한 개인이 가장 잘 인식하고 느낄 수 있는 존재를, 더 많은 사람들에게 확대시킨 것이다. 이런 정치적 관점에서, 국가가 엄격한 “아버지”의 역할이냐, 아니면 자애로운 “어머니”의 역할이냐로 우리가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서 보수 혹은 진보라고 불리는 세계관이 결정된다는 것이 책의 골자이다.

어렸을 때의 가정환경은 정치적 성향을 결정하는 주된 요인의 하나이다. 보수주의자들은 엄격한 아버지 모형, 진보주의자들은 자애로운 부모 모형을 지지한다. 아버지 모형은 세상을 선악으로 나누고, 도덕적 강인함을 기르도록 요구한다. 자녀들을 벌하는 것을 도덕적 의무로 간주한다. 또한 성공하지 못한 사람은 도덕적으로 강인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받아들인다. 그래서 보수주의자들은 사회 복지를 반대한다. 복지가 상벌 제도를 망가트린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부자에게 높은 세금을 매기면, 올바른 일을 행한 사람들에 대해 벌을 내리는 것이라고 본다. 그래서 부자 감세를 지지한다. “적자 생존”(=최강자의 생존)과 경쟁 덕택에 사회는 자신의 완전한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자유 시장” 역시도 그렇다. 보수 정당은 아무런 제약이 없는 자유 시장에서 자신의 최대 잠재력이 발휘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진보주의자들이 자유 시장을 수정하려는 시도는 “자유를 없애려는 시도”로 본다. 왜 보수정당은 성소수자를 반대하는가? 가정에 아버지가 둘일 수 있다는 발상이나, 여성끼리의 결혼인 경우에는 아버지가 하나도 없을 수 있다는 발상이 젠더 기반 권위를 위협하기 때문이다. 요약하자면, 보수적 모델은 개인의 성공이 오롯이 개인의 능력 혹은 도덕적 강인함에서 비롯되며, 실패는 개인의 절제 부족, 게으름, 혹은 능력 부족이라고 생각한다.

왜 가난한 사람들이 보수 정당을 지지할까? 이 질문은 <왜 가난한 사람들은 부자를 위해 투표하는가>라는 책에서도 다룬 바 있는데, 보수주의자들은 일종의 가치에 투표하기 때문이다. 사실 정치에서 합리성은 극히 드물다. 심지어 스스로가 합리적이라 생각하는 사람들도 무의식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가치에 맞는 정당 혹은 인물을 찾고, 이후에 스스로의 선택을 정당화하는 합리성을 부여하는 경향이 있다. 그런 면에서 진정한 의미의 “중도”는 없다. 양 극단의 스펙트럼에서 중간 정도의 지점이 중도층이 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안건에 대해 이른바 보수적 혹은 진보적 프레임의 스위치가 켜졌다 꺼졌다 하는 사람들만 있을 뿐이다. 보수주의자들이 선거에서 잘 승리하는 이유 가운데 하나는, 사람들은 사익에 투표하는 것이 아니라 가치에 투표하는 사실을 이해하고 이에 호소하기 때문이다. 절세가 하나의 예이다. 보수주의자들은 “부자 감세”에 투표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에 함의된 일종의 가치(세금은 “짐”이고, 없을수록 자유로운 경쟁이 가능해진다는 세계관)에 투표하는 것이다. 보수주의자들은 도덕과 가치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진보주의자들은 사실과 정치적 세부사항에 대해 이야기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진보주의가 대중에게 잘 먹혀들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가치를 가장 잘 드러내는 은유가 “강인하고 도덕적인 아버지”, 혹은 “자애롭고 헌신적인 어머니”의 모습일 것이다.

그렇다면 왜 정치와 종교에서 은유가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것일까? 그것은 인간의 자동적 감정이입 때문이다. 슬퍼하는 친구를 본다면 누구나 자동적으로 감정을 이입한다. 우리의 뇌가 상대방의 행동을 해석하기 위해 타인에게서 목격되는 감정을 자동으로 복사하기 때문이다. 레이코프의 유명한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라는 문장을 들었을 때, 청자가 “자동적으로” 머릿속에서 코끼리를 연상시키는 것처럼, 은유 역시도 그것을 듣는 순간 자동적으로 뇌에서 무의식적으로 구축된다. 그래서 은유가 강력한 프레임이 되는 것이다.

모든 은유는 다면성을 지니고, 청자에 따라 달리 해석될 수 있다. 신은 “아버지”라는 은유가 그렇다. 여기에서 과연 신이 자애로운 아버지인가, 아니면 엄격한 아버지인가로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진보적 시각과 보수적 시각이 달라진다. 근본주의적 입장은 둘 중 하나만을 받아들이라고 강요한다. 즉 성경에는 객관적인 “하나의 해석”만이 존재하며, 그리고 근본주의가 바로 그 해석이라고 본다. 엄격한 해석에 따르면, 해석은 하나만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은유는 본질적으로 여러 시각에서 해석될 수 있다. 책에서 드는 흥미로운 예 가운데 하나는 구약에 나오는 아브라함과 이삭의 번제 장면이다.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이삭을 번제물로 바치라고 요구하고, 아브라함은 고뇌하지만 결국 순종하려 하고, 마지막 순간에 천사가 나타나 아브라함을 멈춘다. 그럼 이 이야기는 어떻게 해석될 수 있을까? 흥미로운 점은 문화권에 따라서 이 장면이 다르게 해석된다는 것이다.

첫번째 버전은 일명 자애로운 하나님 버전이다. 하나님의 요구가 잘못되었기 때문에 처음부터 죽이지 않고 거부했었어야 옳았는데, 아브라함이 이를 잘못 해석하였기에 천사를 시켜서 막았다는 것이다. 두번째 버전은 엄격한 순종을 요구하는 하나님 버전이다. 즉 아브라함이 엄격한 하나님의 명령에 얼마나 잘 순종하는지를 확인하려고 시험삼아 번제를 요구했다는 것이다. 보통 두번째 버전이 더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문화권에 따라서는 첫번째 버전이 주류가 되는 경우도 있다.

개념 역시도 여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자유”라는 단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여기에도 2가지 해석이 있다. 보수주의자들은 자유로운 시장이라는 해석을 의미하고, 진보주의자들은 빈곤으로부터의 자유로 해석한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정치적 입장은 세계관(world view)이라고 본다. 나는 세계관을 의식적이고 합리적인 근거 없이 세계에 대해 내리는 해석이라고 본다. 등산하다가 황금을 주웠다고 해보자. 이를 “운이 좋았다!”라고 해석할 수도 있고, “하나님의 은혜다”로 해석할 수도 있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근거는 없지만, 개개인은 본인의 경험과 가치, 그리고 편견(bias)에 따라 같은 현상을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 나는 이 해석이 바로 세계관이라고 본다.

나는 현재의 정치 시스템이 서로의 세계관을 존중하고 받아들이고 포용하는 쪽이 아니라, 상대방을 악마화하는 것에 더 보상이 맞춰져 있다고 생각한다. 승자 독식의 민주주의 정치 시스템이 가진 내생적 문제일수도 있고, 이를 증폭하게 만드는 언론 및 소셜 플랫폼의 구조적 한계일수도 있다. 어느쪽이든, 인간이 지닌 심리학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시스템적 접근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만약 정치 시스템을 처음부터 다시 만들 수 있는 자유가 주어진다면, 지금 현재의 시스템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일까? 아니면 다른 대안은 없는 것일까?

여하튼 여러모로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 책이다. 무거운 주제를 다루고 있지만, 이를 대담과 다양한 예화로 풀어가고 있기 때문에 쉽게 읽히는 점도 이 책의 장점이다. 추천!

게임 인류 (★★★★✩)

게임 좋아하는 아이를 둔 부모를 위한 양육 조언서? 같은 느낌이 드는 책이다. 책 저자도 게임을 좋아하는 교수이다보니 그런 것 같다. 크게 새로운 내용은 없지만, 앞으로 게임과 커뮤니티의 경계가 흐려지는 메타버스 시대가 삶의 영역에서 상당한 부분을 차지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읽어볼만 하다. (개인적으로는 메타버스의 성공 가능성을 높지 않게 보는데, 1세대 메타버스라고 할만한 “세컨드 라이프”도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는데, 굳이? 하는 생각이 들어서 그렇다.)

경제

플랫폼 경제와 공짜 점심 (★★★★✩)

일명 플랫폼 경제 (애플, 구글, 아마존 같은 플랫폼 기업을 생각하면 쉽다)를 다루는 책이다. 책의 퀄리티가 들쭉날쭉한데, 어디서 많이 본 듯한 사례들을 짜깁기한 듯한 파트가 상당 부분 있고, 사실과 다른 듯한 내용들도 있다. 다만 책 후반부에서 플랫폼 경제의 명암을 다루며 불평등, 기존 산업과의 마찰, 사유재산, 조지 헨리에 대해 고찰 파트는 꽤 좋다. 이러한 주제에 관심이 있다면 <빚으로 지은 집>도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책을 읽고 드는 개인적인 생각 가운데 하나는, 주식 투자하려면 플랫폼 기업에 투자하라는 것이다. 플랫폼 사업은 기존의 독점과는 다르지만 (이면시장), 네트워크 효과를 이용한 일종의 다른 형태의 독점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인플레이션 이야기 (★★★★✩)

모든 인플레이션은 정치적인 결정에 따른 결과이다. 이 책에서는 인플레이션에 얽힌 역사적 배경을 심도있게 다루는 일종의 경제사책이다. 각국의 중앙은행은 어떻게 탄생했나, 왜 국가 혹은 위정자는 인위적인 인플레션을 일으키려 했는가 하는 점들을 다루는데, 그 이유란 것이 상류층의 방탕 (프랑스)이나 전쟁 자금 (영국)을 위한 것이었다는 점에서 대부분의 인플레이션은 정치적인 결정에 따른 것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미국이 왜 중앙은행이 아닌 민간은행들이 중심이 된 연준 체제를 택했는지에 대한 역사적 정치적 배경도 흥미로웠는데, 미국 국민들의 정서에 자리잡은 정부에 대한 불신도 영향을 끼친 것 같다. 역사적인 부분들을 많이 다루고 있기 때문에 경제사책에 조금 더 가까운 책이다.

심리학

공감은 지능이다 (★★★★✩)

공감 능력은 타고난 것이라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과학자들의 연구를 보면, 공감 능력은 얼마든지 환경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이 책은 “공감 능력”을 다루는 사회과학책이다. (자기 계발서가 아니다)

흔히 사람은 변하지 않는다고 이야기하지만, 꼭 그런 것은 아니다. 책에서는 백인 우월주의자이자 반 유대주의자인 토니란 인물이 어떻게 공감하는 능력을 얻고 변해나갈 수 있었는지 한 챕터를 할애해서 보여주는데, 개인적으로 토니의 이야기가 무척 가슴에 와 닿았다. 또다른 기억나는 사례는 UCSF의 신생아 집중 치료실의 사례이다. 지나치게 감정 이입하기 쉬운 환경 — 신생아 치료실의 사망률은 무척 높다 — 에서 의사와 간호사들이 우울증에 걸려 자살할 확률은 다른 직종보다도 훨씬 높다. 책에서는 공감이 가져오는 양면성을 인상깊게 담아내고 있다.

공감 부재는 사회적 대가를 치르게 만든다. 디트로이트 폭동 사태, 경찰의 총기 폭력 증가, 부시 정권에서의 이른바 악명 높은 “원 아웃 법” 등등 법질서에 내재한 공감 부재가 가져오는 해악들의 상당수는 “외부인”에 대한 두려움에서 시작된다. 반면 외부인과 직접적인 만남의 기회를 가진 사람들은 외부인을 덜 미워하는 경향이 있다. 히틀러 정권 하에서 (목숨걸고) 유대인을 숨겨준 독일인들은 모두 유대인들과 어느정도 접점이 있던 사람들이었다. 그런 면에서 만남이 공감의 기회를 높인다고도 말할 수 있을수 있다.

하지만 기술 발전이 가져오는 명암도 있다. SNS는 사람과의 연결성을 온라인으로 확대하지만, 오히려 다른 정치적 성향을 지닌 사람들에게 더욱 적대적인 감정만을 품게 만들게 되었다. 정치적 양극화는 비단 미국만의 문제가 아니고 전 세계적인 문제이다. 동시에 책에서는 기술이 가져오는 희망에 대해서도 다룬다. 상대방의 얼굴 표정에 담긴 감정을 해석해주는 구글 글래스를 통해, 자폐 환자들이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더 잘 해석하고 반응할 수 있게 해주는 사례는 흥미로웠다. 이러한 공감에 얽힌 여러 이야기들을 흥미로운 주제와 스토리로 묶어낸 것이 이 책의 강점이다. 이 책을 재미있게 읽었다면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도 함께 보는 것을 추천한다. 추천!

논픽션

노마드랜드 (★★★★★)

2021년 오스카 작품상을 받은 원작으로 유명한 <노마드랜드>의 원작 소설이다. 2008년 부동산 붕괴로 직업과 집을 잃고, RV에서 숙식을 해결하며 일자리를 찾아 미국 각지를 유랑하는, 21세기판 유랑민인 떠돌이 이주 노동자들의 “삶”을 내밀하고 직접적으로 다룬다. 아마존 창고에서 “캠퍼포스” 프로그램으로 일하는 이주 노동자의 모습, 높은 경쟁률을 뚫고 캠핑촌 관리자로 일하는 사연, 비싼 치과 비용을 감당할 수 없어 멕시코에 다녀오는 노동자들의 모습 등 숫자로는 절대 알 수 없는 개개인의 삶이 그려져 있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을 음울하게만 그려내지 않고, 노동자들이 가진 긍정적인 시각과 희망 또한 인간적으로 따뜻하게 그려내는 점이, 이 책을 단순한 사회 고발서로만 그치지 않게 하는 요소이다. 무척 재미있게 읽은 책이다. 강력 추천!

기술

Node.js 디자인 패턴 바이블 (★★★★✩)

node.js의 기본 설계 철학과 디자인 패턴에 대해 잘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async 구조와 promise 같은 새로운 개념들을 익혀야 node.js 를 제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관련 분야 종사자라면 한 번쯤 읽어보는 것이 도움이 될 듯 싶다. 개인적으로는 은유에 기반한 예제 (예를 들어 클래스 설명할 때 동물 및 식물 예제로 설명하는 것)가 아니라 현실적인 예제 (웹 크롤러 같은)로 설명한 점이 좋았다.

파이썬 딥러닝 텐서플로 (★★★★✩)

딥러닝의 다양한 분야를 넓게 다루는 것이 장점인 책이다. 다만 넓게 여러 내용들을 다루다보니, 깊이가 부족한 것이 단점이다.

수학, 과학

식물이라는 우주 (★★★★✩)

식물학자가 전달하는 식물의 이야기이다. 애기장대가 왜 그렇게 많이 연구되고 있는지 알게 되었다. 일반 교양 과학서보다는 난이도가 있는 책인데, 전문적인 부분들이 많기 때문이다. 예를들어 식물의 생장에 관계되는 호르몬과 단백질을 전문용어로 직접 자세히 기술한다. 따라서 교양 과학서라기 보다는, 식물학에 관심이 있는 식물 학도에게 더 적합한 책이 아닐까 싶다. 고유명사와 인물은 가급적 제외하고 최대한 “왜”와 “무엇을 어떻게” 밝혀낸 것인지에 대해 글쓰기를 집중했다면 더 쉽게 읽혔을 것 같다. 개인적으로는 중도 하차 했지만, 해당 분야를 전공하고 있다면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과학의 향기 (★★★★★)

잘 쓴 교양과학서이다. 코로나 바이러스나 상분리와 같은 다양한 주제들을 다룬다. 어려운 내용을 쉽게 풀어내는 솜씨가 탁월하다고 느꼈는데, 책을 읽고나서 저자가 과학 전문 잡지 기자 출신이라는 점을 발견하고 납득이 갔다. 개인적으로는 책 마지막의 “2020년에 죽은 과학자들을 기리는 코너”가 마음에 들었는데, 오스카 시상식 때 그해 죽은 영화인들을 기리는 느낌이 들어서 뭉클했다. 추천!

아인슈타인이 괴델과 함께 걸을 때 (★★★★✩)

다양한 과학자와 과학 이론을 다루는 교양 과학서이다. 제목에 속지 말자. 아인슈타인과 괴델만 다루는 것이 아니라 튜링, 칸토르, 만델브로트, 초끈이론(의 허상), 국소성의 원리, EPR 역설 등등 수학 및 과학의 주요 쟁점들과 과학자들의 삶을 다룬다. 깊이를 잃지 않으면서도 쉽고 절묘하게 이야기를 풀어낸 것이 장점이다. 물리학과 수학 모두 현실 세계의 실험에서 나온 연역적 혹은 귀납적 결과로 과학 이론을 개진하는 것이 아니라, 일종의 직감, 즉 책의 표현을 빌자면 일종의 “냄새”를 통해 먼저 “이럴 것이다”라는 직관을 얻고 관련 연구를 수행한다는 점에서 공감했다. 괜찮은 책인데, 후반부분을 너무 많이 할애해서 종교 및 철학에 대해 논하는 부분 (리처드 도킨스 까는 내용)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 개인적으로는 긍정하는 부분도 있고 긍정하지 않는 부분도 있긴 하지만, 그것을 벗어나서 개인의 세계관을 교양 과학서에서 강요하는 것은 어울리지 않는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 점을 제외하고는 괜찮은 책이다.

수학자가 알려주는 전염의 원리 (★★★★✩)

왜 초중고등학교에서 수학을 배워야 할까? 내 대답은 수학은 현실 세계를 모델링하는 가장 강력한 도구이며, 이를 통해 혼돈스러운 현실 세계를 설명하는 간결하고 강력한 모델링을 만들 수 있고 (감염재생산지수 공식과 같은), 미래를 “예측”을 할 수 있다는 점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은 수학과 모델링의 힘을 보여준다. 말라리아 전염 곡선과 2008년 경제 위기 발발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바로 “전염적 패턴”을 지닌다는 점이다. 역학은 이러한 “전염적 패턴”을 연구하는 분야로, 물리학, 수학 및 의료에 지대란 영항을 끼친 분야이다. 이 책은 “전염적 패턴”이 나타나는 사건, 즉 전염병, SNS의 영향력, 그리고 주가의 급등과 폭락과 같이 강한 상호관계를 가진 시스템을 수학을 통해 어떻게 모델링 할 수 있는지를 이야기한다. 왜 주가는 “전염적 패턴”을 가질까? 그것은 “친구가 부자가 되는 모습을 보는 것만큼 어떤 사람의 행복과 판단력에 방해가 되는 것은 없다”는 진술에 잘 담겨 있다. 즉 “기대 심리”를 통해 주가가 상승할 것이라는 믿음이 어느정도 지연을 두고 사람들을 통해서 전파되기 때문인데, 이는 전염병의 전파 방식과 정확히 일치한다. 책에서는 전염병을 다루는 역학에서 다루는 수학 모델링, 즉 sir와 감염재생산지수 (R)와 같은 이야기를 배경부터 흥미롭게 풀어나간다. 흥미로운 책으로, 수학이나 역학에 관심이 많다면 한 번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향의 언어 (★★★★✩)

저자의 다른 책처럼 훌륭하다. 이 책에서는 향에 초점을 둔다. 인간의 뇌가 왜 맛보다 향에 더 많이 반응하는지, 무엇이 향에 대한 연구를 어렵게 만드는지, 그리고 향이 주요한 식품 (와인, 고기, 커피 등)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향기 물질들과 이들이 어떻게 생기는지 등을 풍부한 예제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사람의 후각은 대략 400여 종류의 향기 수용체가 있고, 이들 중 몇 개의 수용체가 어느 정도의 농도로 활성화 되느냐에 따라 향기를 다르게 감지할 수 있다는 사실이 흥미로웠다. 특히 하나의 향기 물질이 맥락과 분량에 따라 전혀 다른 효과를 내기도 하는데, 인돌이 대표적인 예로, 양이 적으면 꽃향기가 되지만 양이 많으면 똥냄새가 된다는 점이 재미있었다. 이 책은 일반 교양서라기 보다는 조향사 혹은 관련 업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위한 일종의 텍스트북에 가까운데, 수많은 향기 물질들의 분자 구조와 식들 그리고 전문용어들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 읽어보면 좋다. 추천!

바다 생물 콘서트 (★★★★✩)

마치 해양 다큐멘터리를 글로 옮긴 듯한 책이다. 플랑크톤의 생태, 심해 해양 생태계를 구성하는 블랙 스모커, 고래와 미세 플라스틱이 환경에 끼치는 영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를 심도있게 설명하는 책이다. 특별히 해면, 그중에서도 동물성 해면의 생태가 무척 흥미로웠다. 단점이라면 문장 구성이 ‘널뛴다’는 점이다. 즉 동물 A를 다루다가, 갑자기 다음 문단에서 다른 동물 B를 다루는 식으로 화제가 갑작스럽게 전환될 때가 많아서 문체에 익숙해지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또한 출판사의 편집 과정에서 제대로 살펴보지 못한 탓인지 본문 사진이 해당 문단 위치에 없다는 점이 단점이다. 해양 생태학에 관심이 많다면 추천한다.

오늘도 약을 먹었습니다 (★★★★✩)

진통제, 탈모 방지제, 항암제, 당뇨약 등 각종 약에 얽힌 발명 비화와 제약업계의 최신 의학적 성과들을 쉽게 풀어낸 책이다. 개인적으로는 당뇨병 약의 최신 성과, 즉 인슐린 약이 가지는 가장 큰 단점(쓰면 쓸수록 저항성이 생겨서 약효가 떨어진다)을, 당뇨를 막는게 아니라 오히려 오줌으로 적극적으로 내보낸다는 역발상 전략을 통해 큰 성공을 거둔 “포시가” 약 이야기가 가장 흥미로웠다. 교양 과학서로서 딱 적절한 깊이를 가진 책으로, 부담없이 읽을 수 있어서 좋다. 추천!

인문

스토리의 과학 (★★★★★)

스토리텔링이 마케팅을 얼마나 극적으로 끌어올리는지 흥미로운 사례들을 통해 설명하는 책이다. 침체에 시달리고 있던 껌 회사 위글리가 어떻게 스토리텔링을 효과적으로 사용한 광고를 통해 기사회생할 수 있었는지, 재정난에 시달리는 시립병원이 어떻게 극적으로 모금액을 초과 달성할 수 있었는지 등을 흥미로운 사례와 함께 전달한다. 그리고 스토리텔링이 왜 효과적인지에 대한 과학적 근거 — 옥시토신의 분비량을 극적으로 늘림으로써 더 잘 기억나게 한다는 점 — 이 흥미로웠다. 개인적으로 한가지 아쉬웠던 점은 스토리의 힘을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 예를 빼먹었다는 점이다. 즉, 성경이다. 기독교를 포함한 대다수의 종교는 핵심적인 메시지를 스토리를 통해 전달한다. 기독교만 해도 아담과 하와, 아브라함과 이삭, 요셉 등등 종교의 가장 핵심적인 메시지는 모두 스토리를 통해 전달된다. 저자가 이점을 빼먹었다는 점이 다소 아쉬웠다. 책에서 인상적이었던 다른 파트들은, 저자 본인의 유년 시절을 스토리를 통해서 풀어나가는 것이 무척 마음에 와 닿았고, 또한 실제적으로 아이들이 자기 전에 부모의 작은 스토리들을 들려주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그리고 마케팅을 넘어서 어떻게 삶 속에서 스토리를 사용해서 사람들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좋은 책이라고 본다.

책과는 별개의 이야기로, 유명한 미술가들의 작품도 “스토리”가 결부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그 가격이 높아지지 않나 싶다. 고흐가 귀를 자르고 자살하지 않았더라면 그의 작품이 지금처럼 유명해질 수 있었을까? 프리다 칼로의 고통에 가득한 삶의 여정이 없었다면? 여하튼 스토리가 우리의 삶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중요성에 대해서 고찰하게 된 좋은 책이라고 본다. 추천!

우리는 왜 죽음을 두려워할 필요 없는가 (★★★★✩)

모든 사람은 죽는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죽음을 어떻게 맞고 준비해야 하는지 모른다. 이 책은 어떻게 죽음을 대하고 준비하는 것이 좋을지를 의사의 입장에서 고찰하는 책이다. 많은 사람들이 중환자실에서 의식 없이 누워 있다가 죽음을 맞이한다. 의미없는 생명 연장형 죽음이 아니라, 보다 행복하게 남은 이들을 축복해주며 죽음의 자리를 맞이하는 것이 모두에게 좋다. 의사의 입장에서도 죽음을 “패배”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결국 모두가 지나갈 관문이라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점에서 메시지가 가슴에 와 닿았던 책이었다. 다만 임사 체험(NDE)의 분량이 많은 것이 단점이다. 그 부분을 제외하고는 삶의 마지막 준비에 대해 깊이 있게 생각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 좋은 책이라고 본다. 특별히 죽음학 강의를 해 왔던 저자가 최근 암 판정을 받고 신변 정리를 시작했다는 머릿말이 뭉클하게 다가왔다. 추천!

책과는 별개의 이야기로, 책을 읽는 내내 애니메이션 <바이올렛 에버가든>에서 병으로 죽음을 맞이한 어머니가 딸을 위해 미래의 30년치 생일 축하 편지를 준비하는 에피소드가 기억에 떠올랐다. 죽음을 대하는 열린 자세 — 죽음을 피해야 할 것으로 보지 않고, 적극적으로 남아 있는 사람들을 위해 준비하는 그 자세가, 우리가 죽음을 대해야 하는 자세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건축

건축의 발명 (★★★★✩)

건축물의 주요한 요소들, 계단, 난로, 창문, 문과 경첩, 유리, 철근 콘크리트, 그리고 HVAC와 같은 요소들이 어떻게 탄생했고 건축의 한계를 바꾸어 왔는지를 흥미롭게 잘 설명하는 책이다. 부담스럽지 않게 가볍게 읽을 수 있다.

인류학, 역사

처음 읽는 음식의 세계사 (★★★★✩)

케첩이나 레몬, 토마토와 같은 다양한 음식(재료)들이 어떻게 전파되었는지 설명하는 책이다. 음식 재료부터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것이 강점이고, 저자가 일본인이어서 아시아쪽 식재료들도 균형있게 잘 다루고 있는 점이 좋다.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책으로 추천!

애거서 크리스티 읽기 (★★★★✩)

애거서 크리스티의 작품들을 돌아보면서 영국의 미시사와 시대 배경을 돌아보는 책이다. 영국을 배경으로 한 추리소설을 좋아한다면 한 번 읽어보아도 괜찮다.

자기 계발

Never split the difference (★★★★★)

인질범이 내 가족 2명을 유괴했고, 몸값을 요구한다고 해보자. 어떻게 인질범과 협상할 것인가?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흔히 접하는 이른바 “절반 전략” (즉 내가 원하는 가격이 50이고 상대방이 원하는 가격이 100일때 점점 격차를 줄여 나가다가 75에 이르는 협상법)은 통하지 않을 것이다. 아니, 할 수 없다. 절반만 돈을 주고 한 명만 데려올 수는 없는 노릇 아닌가?

이 책은 경찰의 유괴 인질 협상팀에서 네고시에이터로 오랫동안 근무했던 저자가 직접 알려주는 협상법 책이다. “절반 전략”이 아니라, 원하는 것을 모두 얻어낼 수 있는 협상 기법을 이야기한다. (책의 제목이 그래서 never split the difference이다.) 저자의 범상치 않은 이력이 허언이 아님을 알 수 있는, 대단한 책이다. 계산된 질문을 통해 상대방의 감정 이입을 이끌어내고 내가 원하는 해답을 얻어내는 방법부터, 일상 생활에서 만나는 다양한 협상의 시나리오들, 기업의 협상에서부터 자동차 딜러와 차 가격 협상, 그리고 자녀들과의 노는 시간 협상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주제를 흥미로운 예제와 함께 다루고 있다. 꼭 한 번 읽어보기를 강력히 추천한다.

여행

하루쯤 나 혼자 어디라도 가야겠다 (★★★★✩)

한국에서 혼자 가볼만한 여러 여행지들을 정리해둔 책이다. 간결히 정리된 사진과 설명이 책을 매력적으로 만든다. 다만 가족과 함께 여행할만한 곳을 많이 다루지 않은 점이 아쉽다.

유럽 도시 기행 1 (★★★★✩)

유시민의 유럽 여행기이다. 아테네, 이스탄불, 파리, 그리고 로마를 다루고 있다. 여행기이지만 해당 도시들의 역사와 발전 과정들, 그리고 주요 문화재에 얽힌 컨텍스트도 함께 다루고 있는, 일종의 도시 역사학 + 여행기로도 볼 수 있다. 문장력이 뛰어나서 읽기가 쉬운 점이 장점이다. 추천!

예술

관계의 미술사 (★★★★★)

창조는 제로에서 시작하지 않는다. 미술도 마찬가지다. 동료들간의 경쟁, 질투, 그리고 경합 과정에서 서로에게 도전받고 영향받고 변화하면서 생겨난다. 이 책은 미술사의 획을 그은 유명인들, 그 중에서도 에드가와 마네, 피카소와 마티소, 그리고 루치안 프로젝트와 프랜시스 베이컨의 관계에 초점을 두어 그들의 내밀하고 복합적인 친밀함과 질투의 관계를 폭로한다. 일종의 frenemy 라고 할까? 최근에 읽었던 예술사 책 중에서 가장 심도 있고, 인간미가 있는 책이었다. 추천!!

아트인문학: 틀 밖에서 생각하는 법 (★★★★★)

현대 미술의 복잡한 흐름을 “어떻게 틀을 깨는 것에서 시작되었는지”에 따라 훌륭하게 설명한 책이다. 현대 미술은 틀 밖에서 사고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야수파의 등장을 시작으로 어떻게 “보이는 것”, “실재하는 것”에 묶여 있었던 예술이, 착상(concept)에 기반한 개념미술과 행위(action) 자체만을 예술로 뽑아낸 행위 예술(performing art)에까지 이르게 되었는지,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작품들이 왜 상징적 의미를 지니게 되었는지 그 맥락을 인과 관계를 통해 잘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추상표현주의나 구조주의와 같이 따로 공부하지 않으면 의미를 이해하기 힘든 미술 사조에 대해서도 심도있게 알 수 있다. 현대 미술의 탄생과 흐름을 알고 싶다면 강력 추천!

종교

기도의 자리로 (★★★★✩)

C.S. 루이스의 다른 책에서 기도를 언급한 글들만 모은 발췌본이다. 각각의 글의 내용들은 좋으나, 통일성 없이 묶어놓기만 했다는 점에서 출판사의 게으름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2021년 내 마음대로 올해의 책

올해 읽은 책은 총 375권이고, 265권은 완독, 110권은 중도 하차했다. <위쳐>와 같이 여러 권으로 된 시리즈물 책까지 포함하면 권수로는 더 많을 듯 하다. 각 별점별 분포도는 아래와 같다.

  • ★★★★★: 44권
  • ★★★★✩: 78권
  • ★★★✩✩: 104권
  • ★★✩✩✩: 27권
  • ★✩✩✩✩: 2권

각 분기별로 정리한 책별 리뷰이다:

아래는 올해 읽었던 책 중에서 각 분야별로 꼽은 베스트 책들이다. 각 책에 대한 평가는 이전에 적은 글을 그대로 복붙했다.

소설 분야

신들의 봉우리

“왜 에베레스트를 오릅니까?” 란 질문에 “거기 산이 있으니까”란 대답을 남기고 에베레스트 최초 등정에 나섰다가 실종된 것으로 유명한 조지 멜러리 경의 카메라가 발견되면서 책이 시작된다. 산악계의 영원한 떡밥인 조지 멜러리의 에베레스트 등정 여부를 핵심 소재 가운데 하나로 차용한 것도 흥미진진하지만, 산에 얽힌 산 사나이들의 이야기와 미스터리를 엄청난 필력으로 풀어내는 것이 이 책의 강점이다.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캐릭터다. 하부 조지와 같은 무척 매력적인 캐릭터들과 인물들간의 관계, 왜 산악인이 초등에 목숨을 거는가, 산을 오르는 이유, 디테일한 등반 과정의 묘사 등 걸작이라고 불리기에 부족함이 없는 책이다. 등산 다큐나 영화 혹은 소설을 좋아한다면 꼭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과학 분야

우리는 왜 잠을 자야 할까

빌 게이츠 형님도 추천한 책. 수면이 기억 보존과 건강, 그리고 치매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잘 설명하고 있다. REM 수면과 Non-REM 수면이 가지는 기능에 대한 챕터도 무척 도움이 되는 파트였는데, 수면이 왜 장기 기억과 학습에 도움이 되는지를 실제적으로 알 수 있게 되었다. 단점은 번역인데, 문장이 길다. 더 짧게 잘라서 번역했었어야 했다. 추천 !!

기술 분야

Designing Data-Intensive Applications

별 5점도 부족한 책. 의심할 바 없는 최고의 분산 시스템 개론서이다. LSM-Tree 기반 스토리지부터 컨센서스, 최근의 배칭 시스템, 스트리밍 시스템, 그리고 마이크로 서비스까지, 분산 데이터 시스템의 주요 토픽들과 왜 해당 기술들이 등장하게 되었는지 무척 잘 풀어서 설명하고 있다. 백엔드 시스템 개발자가 아니어도 컴퓨터 관련 직종에서 일하는 사람이라면 꼭 읽어보는 것이 좋다. 개인적으로는 이 책을 대학원 시절에 읽었더라면 졸업이 더 빨라지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회사에서 약 3개월간에 걸쳐서 이 책을 바탕으로 직장 동료들과 북클럽을 진행한 적이 있는데, 무척 많은 것을 배운 소중한 시간이었다. 강추!!

경영 분야

더 골

생산 관리 혹은 소프트웨어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강력 추천!! <The Phoenix Project>에 영감을 준 바로 그 책으로, 저자의 Theory of Constraint (TOC) 를 소설 형태로 재미있게 잘 풀어내고 있다. 재고 최소화, 의존성 경로, 일회 작업량(batch size) 줄이기, 병목 작업의 개선 등 복잡해보이는 생산 관리의 문제를 직관적인 설명을 통해 어떻게 해결해 나가는지를 무척 잘 설명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LG와 같은 큰 기업에서도 이를 도입해서 커다란 효율성 향상을 거두었다고 알고 있다.

책의 중요한 몇 가지 메시지가 있다. 첫째는 생산성이 부분 효율성과 같지 않다는 것이다. 즉 모든 공정에서 일꾼들이 한시도 쉬지 않고 돌아가고 있는 공장은 최적의 상태가 아니며, 오히려 최악의 상태에 가깝다는 것이다. 이에 얽힌 비밀을 풀기 위해서는 “생산성이란 무엇인가?”라는 근원적인 질문으로 돌아가야 한다. 생산성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는 “현금 창출률, 재고, 운영비”이다. 저자는 이중에서 재고를 현금 흐름의 관점에서 정의한다. 즉 생산되어 출하를 기다리는 제품의 수량이 아니라, “판매하려는 물품을 만드는 데 투자한 총액”으로 정의하는 것이다.

둘째는, 전체 생산의 속도를 결정하는 것은 이른바 가장 느린 공정이다. 이른바 병목 현상(bottleneck)이, 바로 시스템 전체의 생산량을 좌우하는 제한 요소(constraint)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병목 공정을 지속적으로 찾아서 개선하는 것이 생산성을 향상하는 가장 중요한 열쇠이다. 다른 공정에 시간과 자원을 투자하는 것은 오히려 재고를 늘리게 된다.

책의 다른 핵심 메시지는 아래와 같다:

  • 이른바 “부가가치”는 혼란을 가중시키기 때문에 빼야 한다. 즉 절반 정도 완성된 제품은 원재료보다 더 가치있다는 사고방식을 버려야 한다.
  • 기존의 원가 계산 방식은 현금 창출률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
  • 현금 창출률은 시스템 내부로 들어오는 돈이고, 재고는 시스템 내부에 잠겨 있는 돈이며, 운영비는 현금 창출률을 높이기 위해 나가는 돈이다. 즉 현금 창출률은 공장 수입에 관련된 돈이고, 재고는 내부에 쌓여 있는 돈이다.
  • 공장 전체는 적정 가격과 적정 조건 아래서 판매될 수 있는 하나의 투자라고 볼 수 있다. 즉 투자는 재고와 같다.
  • 생산능력이 시장 수요에 정확히 조정된 경우, 그러니까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정확하게 조정된 경우에는 현금 창출률은 점점 줄어드는 반면 재고는 천정부지로 치솟게 된다. 상황이 여기에 이르게 되면, 재고량이 증가해 운영비에 속하는 재고의 물류비도 늘게 된다.
  • 즉, 생산 속도가 시장 수요보다 약간 느린 것이 좋다. 생산 속도와 시장 수요가 동등하게 유지된다면 시장 수요가 감소할 경우, 결국 생산자가 손해를 보게 된다. 병목 자원에서 생산자원의 시간이 낭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첫번째 원칙이다.

책의 말미에 있는 역자의 해설 부분도 잘 쓰여진 부분이다. TOC를 실제 현장에 적용시켜나갈 때의 어려움들을 저자의 경험으로 잘 녹여내고 있으며, 실제 재고 관리에서는 재고량보다는 “시간”이라는 요소를 통해서 관리하게 된다는 점이 의외로 마르크스의 <자본론>과 상통하는 점이 있었다.

이하 잡설.

  • 소프트웨어 산업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지는가? 그렇다. 그리고 이에 대해서는 <The Phoenix Project>를 읽어보면 많은 영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회사에서 backlog가 쌓여가는 내 입장에서도 생각해볼 부분들이 많다. 회사 운영 측면에서 이를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 프로젝트 launching에 대한 보상으로 승진시키는 것이 과연 회사에 있어서 장점일까? 아닐 것 같다는 생각이 요즘 든다. 기술 부채가 대표적이다. 일을 할 때, 승진할 수 있을 것 같은 일에 집중하게 되지, 남이 남기고 간 tech debt는 잘 건드리지 않게 된다. CEO가 단기적인 수익에 집착해서 장기적인 연구 개발을 등한시하기 쉬운 것과 비슷한 원리이고, owner-agent 문제와도 비슷한 구석이 있다. 그렇다면 인사 관리 측면에서 해법은 무엇일까? 남아 있는 bug 수를 바탕으로 측정해야 하나? unwritten test는 어떻게 잡아내야 하나? 재고 관리 측면에서 기술 부채 혹은 backlog 를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 일회 작업량을 줄이는 것은 context switching 코스트를 높이게 되는데, 그래도 되나? 그 trade-off 지점은 무엇일까? 어떻게 해야 지속적으로 constraint를 찾고 이를 개선해 나갈 수 있을까?

경제 분야

위기의 징조들

2008년 금융 위기의 해결을 실질적으로 주도했던 3인방, 벤 버냉키, 티머시 가이트너, 헨리 폴슨 주니어가 쓴 책으로, 일종의 post-mortem (회고)이다. 직접 저술한 책이어서 그런지 무척 훌륭하다. 왜 발생했는가에 대한 원인부터, 왜 E-coli 효과로 인해 급속도로 공포 심리가 확산되었는지, 왜 레만 브라더스가 망했고, 사실 “선별적 구제와 퇴출”를 한 것이 아니라 사실 못 구제한 것이라든지, 스트레스 테스트의 중요성과 TARP (긴급 금융 구제 프로그램)와 같이 대중들은 무척 싫어한 정책둘이 왜 필요했었는지 여러가지 이야기들을 내부자의 시각에서 무척 디테일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무척 흥미롭게 읽은 책이다. 다만 어느정도 거시 경제학에 대한 기본 지식이 있어야 쉽게 읽을 수 있다. 강력 추천!!

투자 분야

Random Walk Down Wall Street

무척 훌륭한 개인 투자 입문서! 기업의 내재가치를 중시하는 이른바 워렌 버핏 식 현금 흐름 투자, 그리고 주가의 기대 상승률을 중시하는 이른바 모멘텀 투자 각각의 시각을 다루며, 포트폴리오 이론이 왜 등장했고, 왜 패시브 인덱스 펀드가 액티브 펀드를 이겼는지, 어떻게 human error들을 줄일 수 있는지 등에 대해 잘 설명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이 책 내용을 바탕으로 발표를 한 번 해보고 싶고, 북클럽 토론도 해 보고 싶은 책이다. 추천!

역사 분야

1962

인류가 하마터면 멸망할 뻔 했던 쿠바 미사일 위기를 상세하게 논픽션 형태로 풀어낸 책으로, 마치 스릴러를 보는듯한 엄청난 필력이 이 책의 강점이다. 으스스한 점은, 전쟁을 통제할 의지가 있었느냐 뿐만 아니라, “실제로 통제할 수 있었느냐”가 더 중요한 문제였다는 것이다. 즉 사소한 실수와 국지적 사건이 언제든 핵전쟁으로 발전될 수 있었다는 점이다. 강력 추천 !!

사회 분야

콘텐츠의 미래

훌륭한 책이다. 언론, 미디어, 물류업계, 출판사, 음반사 등등 다양한 업종을 넘나들면서 디지털 시대로의 컨텐츠 전환의 도전과 기회를 이야기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키워드인 “연결성”을 이야기하면서, 미래의 콘텐츠 기업들이 무엇을 추구해야 할지를 무척 잘 설명하고 있다. 콘텐츠 제공 업체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씩 꼭 정독해볼만한 책이다. 마지막 파트에서 하버드 대학교의 온라인 수업 플랫폼인 HBX를 좀 푸시해서 설명하는게 살짝 거슬리기는 하는데, 그것 빼고는 강력 추천하는 책이다.

인문 분야

이야기의 탄생

시나리오 작법에 대한 책은 시중에 많이 나와있다. 하지만 이 책은 그중에서도 유독 돋보인다. 우리가 아는 유명한 작품들의 이야기는 사실 큰 틀에서 모두 서사를 공유하고 있고, 몇 가지 변주를 통해 독자가 빠져들게 만드는 이야기가 된다. 책에서는 그 이야기의 핵심 구조를 아래의 5막 구조로 정리한다.

  • 1막 : 이게 나다. 그런데 통하지 않는다.
  • 2막 : 다른 방법이 있는가?
  • 3막 : 있다. 나는 변화했다.
  • 4막 : 그런데 나는 변화의 고통을 감당할 수 있는가?
  • 5막 : 나는 어떤 사람이 될까?

뒤돌아보면, “성장물”이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이유도 그것이다. 위의 5막 구조를 선명하게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성장물이든 아니든, 모든 사랑받는 작품은 주인공이 어떠한 의미에서든 변하는 이야기이다. 전형적인 해피 엔딩에서는 주인공이 새로운 사람, 더 나은 사람이 되는 것이고. 책에서는 모든 캐릭터는 완벽하지 않으며, “신성한 결함”을 가지고 이야기가 시작된다고 본다. 그리고 이야기의 진행을 통해 그 결함이 노출되고 도전받으면서 캐릭터가 변화하는 것이 바로 매력적인 이야기의 근원이라는 것이다. 즉 입체적인 인물이 이야기를 매력적으로 만든다고 볼 수 있다.

또다른 하나는 정보 격차를 통해 매력적인 플롯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다. 즉 이야기의 화자는 아는데 독자는 모르는 이야기, 예를 들어 탐정이 고개를 끄덕이며 “수수께끼는 모두 풀렸다”고 선언하지만 독자는 해답을 알지 못해서 궁금해하는 바로 그 장면에서 우리는 이야기에 빠져들게 된다. 정보 격차가 극을 이끌어나가는 원동력이기 때문이다. 탐정 소설이나 미스터리 혹은 스릴러가 가지는 매력이 바로 그것이다.

책을 통해서 느낀 점이 많은데, 개인적으로는 “변화”가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믿게 되었다는 점이다. 꼭 이야기 뿐만 아니라 모든 인간사에 있어서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기독교를 포함한 모든 종교의 핵심도 자기 자신이 변하는 것에 있는 것이고. 누구나 그리고 모두가 변화하는 것이다. 10대의 내 세계관과 지금의 내 세계관이 다르듯, 이야기의 화자이건, 현실 세계의 인물이건, 결국 자신의 세계관이 도전받고 변화하면서 다른 사람이 되어 가는 것이며, 그것이 매력적인 인물이 되어가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여러모로 추천할만한 책이다.

회고록, 전기

저글러, 땜장이, 놀이꾼, 디지털 세상을 설계하다

디지털 세상을 연 정보 공학의 창시자, 그리고 내 직업을 만들어주기도 한 클로드 섀넌의 전기이다. 책을 무척 잘 썼다. 인물 전기가 자칫하면 제대로 다루지 못하는 아이디어 파트, 즉 정보 이론의 핵심 이론도 비 전공자가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설명되어 있다. 책을 읽다보니 세상에 정말 천재는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고, 저글러이자 주식투자자였던 섀넌의 생애가 무척 흥미롭게 다가웠다. 개인적으로는 “주식 투자를 어떻게 해야 돈을 잘 벌 수 있나요?” “내부자 정보지요.” 하는 장면에서 빵 터졌다. 참고로 제임스 글릭의 <인포메이션>과도 어느정도 겹치는 점이 있다. 추천!!

내 마음대로 올해의 책

<1962>, 마이클 돕스

개인적으로 재작년, 작년과 같은 강력한 후보는 없었지만 가장 즐겁게 읽었고 교훈적이었던 <1962>를 올해의 책으로 선정한다. 분명히 역사서이지만 웬만한 장르 스릴러도 울고 갈 정도로 섬뜩했던 13일간을 훌륭하게 잘 서술했다.

2021년 4분기를 함께 한 책들

소설

레인보우 다이빙 (★★★✩✩)

세계가 대충(?) 멸망한 이후의 단편들을 담은 책이다. 사실 깊이 있는 단편들이라는 인상은 받지 못했다. 그럭저럭 읽을만한 책이다.

오늘 너를 다시 만난다 (★★★★★)

왕도적인 타임리프 장르의 소설이다. 구성이 깔끔하고 군더더기가 없으며, 깔끔한 결말까지 무척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이 책을 읽기 전에 <민들레 소녀>도 읽어본다면 좋다. 추천!!

그 환자 (★★★★✩)

실화를 가장한 페이크 웹 소설. 전개가 크게 예상을 벗어나는 것은 아닌 호러 스릴러 장르 소설인데, 스티븐 킹을 연상시키는 정신병동의 분위기가 마음에 들어서 끝까지 읽었다. 추천!

달러구트 꿈 백화점. 2 (★★★★✩)

전작과 같은 큰 한 방은 없지만, 1편의 세계관 연장선에서 잘 꾸며진 책이다. 전작을 즐겼다면 후속작으로서 재미있게 볼 수 있다.

한국추리문학상 황금펜상 수상작품집: 2007-2020 특별판 (★★★★✩)

단편 추리소설을 좋아한다면 읽어볼만하다. 완성도가 높은 작품부터 다소 미묘한 작품까지 포진해 있다. 나는 단편 추리 소설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의외성이라고 생각하는데, 이것을 잘 만들어낸 단편들도 있고 그렇지 않은 작품들도 있다.

64(육사) (★★★★✩)

과거의 유괴 살인사건을 추적하는 형사반과 홍보반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무척 다층적인 소설로서, 언론-경찰의 관계, 홍보반의 임무, 경찰 내부의 정치적 이해관계, 유괴 사건 등 여러 사건들이 맞물려서 흥미진진하게 벌어진다. 다소 아쉬운 점이라면 메인 플롯 자체는 제대로 끝을 맺지만, 몇몇 서브 플롯들의 끝맺음이 명확하지 않다는 점이다. 시리즈물을 염두에 둔 구성인가? 초반에 슬로우 스타트 하는 점을 제외하면, 다소 변칙적인 스릴러 + 추리물의 구성이 훌륭한 책이다. 추천!

뉴서울파크 젤리장수 대학살 (★★★★✩)

장르 구분이 모호한 소설인데, 뉴서울파크에서 사람들이 젤리로 변하는 사건을 다룬 일종의 군상극 호러 (?) 소설이다. 권말 저자의 말에서도 밝혔듯 ‘젤리장수’의 정체는 일부러 제대로 밝히지 않았고, 일명 젤리 대학살 사건에 연루된 사람들의 이야기를 군상극 시점에서 다루고 있다. 꽤 정교한 구성의 소설로서, 킬링타임 용으로 읽을만하다.

만화

수상한 레스토랑 세컨즈 (★★★★✩)

<스콧 필그림> 시리즈로 유명한 브라이언 리 오말리의 또다른 작품이다. 레스토랑 쉐프인 주인공이 하나 먹을때마다 과거의 잘못을 고쳐나갈 수 있는 신기한 버섯을 발견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스콧 필그림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귀엽고 동글동글한 그림체가 특징인, 일종의 시간역행물이다. 리얼한 레스토랑 운영 디테일이 인상적이다.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작품이다. 추천!

과학

썸타는 천문대 (★★★✩✩)

대중 천문학 교양서인데.. 자꾸 부담스러울 정도로 애인 없다는 비유를 드는데, 너무 청승맞다. 그 점을 제외하면 가볍게 읽을 수 있다.

새의 언어 (★★★★★)

미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새들에 대한 탐조기이다. 이 책의 장점은 구성인데, 지루하지 않게 중간중간 새에 대한 곁지식들을 전달하는 방식이 효과적이었고, 읽기가 편했다. 삽화가 있는 점도 플러스 요인이다. 추천!

가장 완벽한 시작 (★★★★★)

새의 알에 대한 다양한 과학적 연구가 잘 어우러진 교양 과학서이다. 무척 흥미롭고 재미있게 잘 쓰여져 있다. 늘 먹는 계란의 구조에 대해 궁금하다면 이 책이 그 대답이 될 수 있다. 알이 어떻게 생겨나는지, 난각(알 껍데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흰자의 역할은 무엇인지, 왜 알의 형태는 새의 종류별로 다른지, 등등 사소로운 듯 하면서도 흥미로운 연구 결과들을 대중들이 읽기 쉬운 형태로 잘 가공해 두었다는 점이 이 책의 대단한 점이다. 추천!!

인류를 식량 위험에서 구한 음식의 모험가들 (★★★★✩)

미래의 음식 산업은 어떻게 바뀔까? 임파서블 버거, 해수 담수화 사업, 스택형 농장, GMO, 스마트 농기계 등 다양한 주제를 실제 관계자들과 농부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전달하는 책이다. 농업 버전 잡지 같은 느낌의 책으로, 농업의 미래가 어떻게 될지 조망하고 싶다면 좋은 책이다.

기술

쿠브 플로우 (★★★✩✩)

“Why” 보다는 “How”에 너무 초점을 둔 매뉴얼이어서 사실 머리에 남는게 없다. 책보다는 그냥 웹에서 튜토리얼 형태로 보는게 더 나았을 것 같다.

역사, 인류학

질병이 바꾼 세계의 역사 (★★★★✩)

세계사에 큰 영향을 끼친 질병들 (콜레라, 페스트, 매독 등등)을 다루는 책으로, 주로 이러한 질환들을 앓았던 세계 지도자에 대한 일화가 많다. 그럭저럭 가볍게 읽을만한 책이다. 추천!

루비콘 (★★★★✩)

왜 로마의 민주 공화정은 황제가 지배하는 제정으로 변해 나갔을까? 술라, 키케로, 카이사르, 안토니우스, 옥타비아누스와 같은 인물들의 야심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도 있겠지만, 로마의 공화정이 가진 자체 모순 때문이기도 하다. 이 책은 바로 로마가 공화정에서 제정으로 변화될 때의 가장 혼란스러운 시기를 집중적으로 다룬 역사서이다. 모순이 없는 사회는 없고, 로마 공화정 역시 큰 모순을 가진 사회였다. 정치 및 경제의 양극화가 심해지는 오늘날의 세계에서도 섬뜩하게 귀기울여야 할 내용들이 많지 않나 싶다. 추천!

경제

환율도 모르고 경제 공부할 뻔했다 (★★★★✩)

환율에 대해 실무적인 정보와 지식을 정리해둔 책이다. 기본적인 경제적 지식에 관심이 있다면 괜찮은 책이다. 실무적인 책이기 때문에 어느정도의 기본 지식을 갖추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음에 유의할 것.

투자

워런 버핏식 현금주의 투자 전략 (★★★★★)

현금 흐름을 중시하는 워런 버핏식 가치 투자의 정수를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책이다. 이 책에서 가장 중요한 구절은 “내재가치는 현재의 현금 흐름과 미래의 현금 흐름의 합”이라는 워런 버핏의 말이 아닐까 싶다. 곱씹어봐도 참 심오한 통찰이 담긴 말이다. 꼭 가치 투자를 하지 않더라도, 일단 분식 회계의 위험이 있는 기업들을 한 번 걸러줄 수 있다는 의미에서도 현금 흐름을 살피는 것은 엄청나게 중요하다. 주식 투자에 관심이 있다면 한 번씩 일독하기를 권하는 책이다. 추천!

문화

영 포티, X세대가 돌아온다 (★★★✩✩)

이른바 X세대를 관통하는 문화적 지향점, 소비적 지향점, 그리고 세대의 특징을 이야기하고 있다. 내 세대의 이야기이기도 해서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책에서 다루지는 않았지만 MZ 세대들은 어떤 성향을 가지게 될까도 또다른 흥미거리이다.

머물고 싶은 동네가 뜬다 (★★★✩✩)

이른바 “로컬”의 미래에 대해 다룬 책인데, 그럭저럭 읽어볼만 하다.

에세이, 자서전, 회고록

아무튼, 싸이월드 (★★★★✩)

조금 청승맞은 면이 없지 않지만, 싸이월드에 얽힌 애증과 감상을 솔직하고 재미있게 드러낸 에세이다. 싸이월드의 추억을 다시 느껴보고 싶다면 한 번 읽어보면 좋을 듯.

시드 마이어 (★★★★✩)

<문명>으로 유명한 시드 마이어의 회고록이다. 시드 마이어가 제작한 게임들에 얽힌 뒷이야기들을 흥미진진하게 이야기한다. 이른바 “핵간디”에 얽힌 뒷이야기가 재미있었다. 다만 접해보지 않은 게임들도 많고, 게임과 직접 관련되지 않은 이야기들도 많은 자서전 느낌이어서 약간 산만한 느낌도 있다. 추천!

언캐니 밸리 (★★★★✩)

여성의 입장에서 실리콘밸리에 대해 쓴 책이다. 일종의 회고록으로 볼 수 있는데, 출판사에서 일하다가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에 non-tech job으로 취직한 여성이 일하면서 느꼈던 것들, 문화적인 감성, 남성적 문화 등등 여러가지 다면적인 부분들을 다루고 있는 책이다. 훌륭한 책으로, 내가 보지 못한 관점에서 실리콘 밸리의 테크 기업 문화를 다소 시니컬한 시점에서 바라본 책이라는 점에서 마음에 들었다. 추천!

자기 계발서

더 해빙 (1/5)

384

큰 내용도 없으면서 있는 것처럼 꾸며놓은 메타 자기계발서인줄 알았는데, 오히려 진지했다는 점에서 빵 터졌다. 시간과 돈이 넘쳐나서 쓸 곳이 없다면 추천.

건축

착한 건축주는 호구다 (★★★★★)

양평에 1억 7천으로 35평 전원주택을 건축한 젊은 부부의 좌충우돌 건축 분투기. 토지 알아보기부터 토목, 건축, 시공, 내장 등 전방위적인 건축 후기 및 팁들이 무척 유용하다. 직접 전원 주택 건축을 생각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꼭 읽어볼만한 좋은 내용들이 많다. 반드시 전원주택을 시공할 것이 아니어도, 건축주 입장에서 다양한 팁이 많다는 점이 장점이다.

2021년 3분기를 함께한 책들

소설

Running Blind (★★★★✩)

잭 리처 시리즈 4번째 작품이다. 잭 리처가 연쇄 살인사건의 용의자로 연루되면서 벌어지는 추격전을 다룬다. 잭 리처라는 캐릭터를 더 자세히 알 수 있는 책으로, 역시 역마살이 끼인 인생인 것 같다. 살인 방법 등은 장르 소설에 익숙하면 어렵지 않게 유추 가능하며, 나중에 뜻밖의 진범이 드러나게 된다. 추천!

빛의 현관 (★★★★★)

히가시노 게이고의 테이스트가 강하게 느껴지는 훌륭한 추리소설이다. 한 건축가가 자신이 설계한 이상적인 집을 구매한 집주인이 미스터리하게 실종되면서 진상을 쫓아나가는 소설이다. 이 소설의 훌륭한 점은, 단순한 추리소설에서만 그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나의 집”을 설계하는 것을 꿈꾸는 건축가, 일본의 버블 경제 이후의 어려움, 이혼 등 여러 서브 플롯이 실종 사건의 추적 사건과 맞물리면서 정교하게 흘러간다.

동시에 이 책은 꿈과 질투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여러가지 감정선과 이야기들이 동시에 흘러가고 교차된다. 특별히 나는 클라이맥스 부분을 좋아한다. “히미코 기념관” 설계를 위해 등장 인물들 모두가 함께 돌진하는 부분은 감정선을 폭발시키도록 잘 쓰여져 있다. 만약 영상화가 된다면, 실제로 노스 라이트가 들어오는 집을 보고 싶다. 추천!

얼마나 닮았는가 (★★★★✩)

다양한 SF 단편선 모음집이다. 다만 세계관이 연결되는 단편들도 있어서 앤솔로지 작품집 같은 느낌이 든다. 강풀의 <타이밍>이나 <플래시> 시리즈에서 본 듯한 한국식 슈퍼히어로 설정들도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책의 제목이기도 한 <얼마나 닮았는가>는 <식스 웨이크>에서 본 듯한 배경설정이 있기는 했지만 흥미롭게 볼 수 있었다. 다만 주제를 위해 다소 설정이 작위적이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책에 갇히다 (★★★✩✩)

책을 주제로 한 단편 SF 앤솔로지. 다만 각 단편들의 주제가 들쭉날쭉하고, 전체를 통일하는 주제가 없으며, 완성도가 크게 높은 편은 아니어서 끝까지 억지로 읽기는 했는데 크게 만족스럽지는 않았다.

구원의 날 (★★★★✩)

한 어린아이가 유괴되고 실종된지 3년 후, 사건에 얽힌 진상이 풀려나가는 스릴러 소설이다. 구원과 속죄에 대한 알레고리로도 읽을 수 있다. 추천!

기억 파단자 (★★★★✩)

기억 상실자가 초능력자 살인범을 상대하는 독특한 소설이다. 추리 스릴러인데, 작가의 다른 작품인 <앨리스 죽이기>에서도 보이는 특유의 대사 위주 내용 전개로 진행된다. <메멘토> vs. <제시카 존스>의 메인 빌런 같은 느낌의 소설이라고 보면 된다.

세븐 이브스 (★★★★✩)

달이 갑자기 폭발한다. 그리고 2년 후에는 파편이 지구를 덮치는 이른바 “하드 레인”이 발생해 인류가 멸망할 것으로 예측된다. 어떻게 해야 인류가 살아남을 수 있을까? 를 파고드는 하드 SF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우주에서 수천년에 걸친 세대 우주선을 만드는 설정은 독특하다. 첫 2권은 독특한 세대우주선을 연상시키는 측면이 있었는데, 3권에서 정치물 성격이 강해지면서 묘하게 흥미가 팍 죽어버렸다. 아쉬운 점은, SF는 드라마와 과학적 설명의 균형을 잡는 것이 중요한데, 이 책은 과학적 설명의 균형이 다소 강했던 것 같다. 소설이라기보다는 설정집을 읽는 느낌이 강한 책이다.

프로젝트 헤일메리 (★★★★★)

<마션>과 <아르테미스>로 유명한 작가 앤디 위어의 따끈따끈한 신작이다. 이번에는 외계 생명체와의 조우가 주된 주제이다. 손을 떼기 힘들게 무척 재미있게 읽었다! 앤디 위어 작품의 공통적인 특징은 “문제 해결형” SF, 즉 일종의 과학공학 SF 라는 점이며, 과학을 통해 개인이나 인류의 도전을 극복할 수 있다는 낙관주의를 공통적으로 담고 있다. <헤일메리> 역시 계속 문제가 발생하고, 이를 공학 및 과학 지식을 통해 해결해 나가는 것이 주된 플롯이다. 나중에는 패턴화된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지만, 그것을 탄탄한 플롯과 스토리텔링으로 훌륭히 이끌어 나가는 것이 앤디 위어 작품의 강점이다. 추천 !!

위쳐 시리즈 (★★★★★)

게임과 넷플릭스 드라마로도 유명한 <위쳐>의 원작 소설이다. 궁금해서 읽어봤는데, 탄탄한 세계관, 스토리, 캐릭터, 그리고 간결하고 읽기 쉬운 필체 덕분에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운명의 검>부터는 흡입력이 정말 대단하다. 한 번 손에 놓으면 끊기 힘들게 만드는 매력이 있는 소설이다. 판타지 좋아한다면 추천!

클라라 죽이기 (★★★✩✩)

<앨리스 죽이기>로 유명한 고바야시 야스미의 후속작이다. <이야기 시리즈>와 유사한 말장난 & 수다 테이스트가 강한건 여전하다. 다만 개인적으로는 전편만큼은 흥미롭지 않았는데, 세계관에 대한 비밀이 밝혀지는 전편과는 달리 이미 세계관이 셋업되어 있기 때문에 극적 긴장감이 떨어지는 느낌이 있어서였던 것 같다. 개인적으로는 중도 하차했다.

호랑공주의 우아하고 파괴적인 성인식 (★★★★★)

가벼운 라노벨 느낌의 영 어덜트 소설. 대한제국이 망하지 않고 입헌군주제가 된 대한민국에서 갑작스럽게 황태자가 된 고등학생 주인공의 재기발랄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캐릭터가 극을 잘 이끌어가고 있는, 잘 쓰여진 소설이다. 추천!

과학

뇌는 왜 아름다움에 끌리는가 (★★★★✩)

진화생물학 중에서 특히 성선택에 초점을 둔 책이다. 시각, 청각, 그리고 후각에서 어떻게 은닉 선호도가 성선택에 영향을 끼치는지 다양한 동물 및 인간 연구를 통해 관찰된 사실을 제시하고 있다. 수컷 개구리의 울음 소리에 따른 성선택 파트가 특별히 재미있었으며, 흥미롭게 읽을 내용들이 많다. 추천!

최고의 수학자가 사랑한 문제들 (★★★✩✩)

유명한 수학 문제들의 현실 세계 적용에 대한 책인데, 글이 딱딱해서 읽기가 힘든 부분들이 있다. 그럭저럭 킬링 타임용으로 추천.

작은 것들이 만든 거대한 세계 (★★★★✩)

균사 네트워크 (일명 우드 와이드 웹)에 대한 책이다. 지의류가 곰팡이 + 조류의 공생체라는 사실도 처음 알게 되었고, 나무들이 곰팡이를 통해 서로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도 무척 흥미로웠다. 점균류를 통해 꿀벌 군집 현상을 해결하는 것과, 이러한 연구들이 아마추어 점균류 학자들을 통해 진행되어 나가는 점들도 곰팡이의 생태와 유사한 점들이 있어 흥미로웠다. 교양과학서를 좋아한다면 추천하는 책이다.

기술

백문이 불여일타 Vue.js 입문 (★★★✩✩)

vue.js 입문용으로 나쁘지 않은 책이다. vue.js를 몇몇 개인 프로젝트에 잘 사용하고 있지만, 프레임워크 측면에서 computed, watch 등의 문법과 동작이 혼란스러울 때가 많다. 바인딩 프레임워크의 특성상 코드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순서대로 머릿속에 디자인하기 힘들때도 많고.

개발자의 글쓰기 (★★★✩✩)

개발자로써 글쓰기를 할 때 명심해야 할 부분들을 짚고 넘어가는 책이다. 기술 블로그부터 코드 작성, 제안서와 같은 다양한 분야를 다룬다. 나도 동감하는 부분들은 bullet point를 잘 쓰는 것이 좋다는 점. 다만 SI 관련 업계에 종사하지 않다보니, 제안서 작성과 같은 나에게는 크게 필요 없는 챕터들도 있었다. 개발자라면 한 번 읽어보면 도움이 될 책이다.

오늘도 개발자가 안 된다고 말했다 (★★★✩✩)

비개발자 입장에서 개발자와 어떻게 소통하는지, 그리고 기본적인 웹 서비스 개발 프로세스와 업무 분담에 대해서 설명하는 입문서이다. 내게는 크게 적용점이 없었지만, 비개발자 입장이라면 한 번 읽어보는 것이 좋아 보였다. 개인적으로는 조직에서 Tech Lead의 부재가 소통의 어려움을 만드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마이크로서비스 도입 이렇게 한다 (★★★✩✩)

“What”과 “How”는 잘 설명하고 있는데, “Why”에 대해서는 잘 설명하고 있지 않는 것 같다. 분산 시스템에서 message-passing과 shared-nothing 구조가 왜 필요한지에 대해 더 심도있게 설명했었어야 한다고 본다. 또한 마이크로서비스가 왜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를 읽어보는 것이 장기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다.

반도체 제국의 미래 (★★★★★)

훌륭한 책이다! 삼성전자가 어떻게 세계 1위의 DRAM 제조 업체가 될 수 있었는지, 왜 미세공정화가 중요한지, 인텔과 TSMC 같은 기업들은 왜 실패하고 성공했는지, 그리고 미래는 어떻게 될지를 조망하는 훌륭한 책이다. 단순히 반도체 시장의 현황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각 회사들의 시장 전략이 어떠한 배경에서 나왔고 왜 중요한지를 잘 설명하고 있다. 문장도 탄탄하게 쓰여서 좋다. 추천!!

세븐 데이터베이스 (★★★★✩)

NoSQL 데이터베이스 7종 (사실 PostgreSQL은 RDB이지만)을 다룬 책이다. 책을 보고 나니 MongoDB와 CouchDB 등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API와 자료 모델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 수 있었다. Modern NoSQL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알고 싶다면 추천. 다만 “Why”에 대한 설명은 다소 부족한 편이니, 를 읽고 오는 것을 추천한다.

데이터 읽기의 기술 (★★★★✩)

데이터 사이언스를 처음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들을 위한 조언서 같은 책이다. 한 번 읽어볼 가치는 충분하다. 성별과 연령에 따른 분류는 이제 큰 의미가 없고, 행동과 맥락이 훨씬 더 중요하다는 점이 핵심 메시지가 아닌가 싶다. 즉 여행지에서의 칵테일 한 잔과, 현지인이 바에서 마시는 칵테일 한 잔의 가격이 다를 수 있다는 점이다. 사람들은 전자에 더 너그러이 돈을 지불할테니까.

면역의 힘 (★★★★✩)

<면역과 건강>이 좀 더 적합한 제목이 아닐까 싶다. 면역 시스템에 대한 학문적 분석 보다는, 면역 시스템을 어떻게 증강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실용적인 가이드에 가깝다.

경영

히트 리프레시 (★★★✩✩)

마이크로소프트 사장인 사티야 나딜라의 자서전. 마이크로소프트의 기업 문화, 변화, 법적 문제,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를 심도있게 잘 설명하는 책이다. 단점은 크게 중요한 인사이트를 얻기는 힘들었다는 점이다.

문샷 (★★★★✩)

NSASA의 아폴로 프로젝트는 왜 성공할 수 있었나? 그리고 왜 같은 조직인 NASA에서 동시에 챌린저와 콜럼버스 폭발이라는 실패가 생겼나? 어떤 조직 문화에서 문샷 프로젝트가 가능할까? 에 대해 심도 있는 통찰을 얻을 수 있는 책이다.

책에서 가장 인상깊었던 것은 Jack Brittain, Sim Sitkin의 Carter Racing 연구 사례이다. 레이싱 대회에 경주용 차를 내보내기로 했다. 그런데 약 29% 정도의 확률로 엔진 폭발이 발생한다. 날씨가 추울수록 엔진 폭발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이기는 하지만, 엔지니어들은 온도와 엔진 부품 사이의 직접적 상관 관계를 발견해내지는 못했다. 경주에서 승리하면 $1M의 상금을 얻을 수 있지만, 엔진이 폭발하면 드라이버의 생명이 위험하다. 경주는 TV 중계가 예정되어 있으며, 경주를 안한다면 큰 스폰서들을 잃고 또한 $500k의 계약도 무산될 수 있다. 이 경우 경기를 진행할 것인가 진행하지 않을 것인가? 이것이 질문이다. 이 사례를 MBA에서 토론하자, 약 90% 정도는 경기를 진행하자는 쪽에 손을 들었다. 그러자 교수가 이렇게 말했다. “여러분은 지금 챌린저를 발사하기로 최종 결정을 내렸습니다.” 엔진이 말썽을 일으킨 횟수는 O-Ring이 문제를 일으킨 횟수와 비슷했다. 그렇다면 이러한 의사 결정에서 무엇이 잘못되었을까? 책에서 던지는 핵심적인 질문은 바로 이것이다.

책에서는 로켓 공학자가 어떻게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고하는지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구글 X에 대해서도 비중있게 다루고 있다. 이러한 프로젝트들이 가지는 단일점 장애를 해결하기 위한 redundancy의 철학, 그리고 조직 내부의 post-mortem과 pre-mortem과 같은 프로세스, 그리고 성공이 가져다주는 실패와 실패가 가져다주는 성공에 대해서도 잘 설명하고 있다. 문샷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어떠한 엔지니어링 역량이 필요한지 궁금한 사람들은 한 번씩 읽어보기를 추천하다.

규칙 없음 (★★★★✩)

넷플릭스의 창업자 리드 헤이스팅스의 자서전적인 책으로, 넷플릭스의 기업 문화를 다루고 있다. 창업자가 직접적으로 기업 문화를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에 잘 읽힌다. 책에서 강조하는 투명하고 적극적인 피드백은 구글에서 일하는 나도 충분히 공감가는 내용이었다. 다만 “실적이 없으면 짐 싸서 내보내라”는 원칙은 심리적 안정감과는 다소 거리가 먼 철학으로서, 장기적으로는 기업에 도움보다는 해가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개인적으로 넷플릭스의 성공 비결은 문화라기보다는 플랫폼 산업의 semi-독점적 특성이라고 보지만, 기업 문화에 대해 고찰하는 책으로서는 괜찮은 책이다.

경제

진보와 빈곤 (★★★★✩)

왜 일은 다들 열심히 하는데 부동산 소유주가 모든 부를 가져갈까? 바로 토지의 독점적 속성 때문이다. 그리고 이를 논리적으로 풀어나가고, 왜 사회적 진보 속에서 빈곤이 발생하는가를 탐구한 책이 바로 헨리 조지의 명저 <진보와 빈곤>이다. 내가 처음으로 헨리 조지를 만난 것은 <희년, 한국 사회, 하나님 나라>를 읽으면서였고, 내 사고방식과 가치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진보와 빈곤의 시작은 자본주의의 “자본”을 정의하는것에서부터 시작한다. 마르크스의 <자본론>과도 유사하게 통하는 구석이 있는데, 자본을 정의하는 것 자체에도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며, 임금의 근원이 자본인가 노동인가에서부터 풀어나가는 점이 좋았다. 다만 실제로 책 읽기는 다소 어려웠다. 우선 문장이 간결하지 않고 난삽한 느낌이 들었고, 다소 지루한 면이 있었다. 또한 추상적인 개념들 (자본의 정의와 같은 현대 경제학의 큰 관심거리가 아닌 정치경제학적 고전 주제들)이 많았다.

상식 밖의 경제학 (★★★★✩)

<넛지>나 과 결을 같이 하는 행동경제학 책이다. 탄탄하고 흥미로운 사례 위주로 설명되어 있는 책이다.

위기의 징조들 (★★★★★)

2008년 금융 위기의 해결을 실질적으로 주도했던 3인방, 벤 버냉키, 티머시 가이트너, 헨리 폴슨 주니어가 쓴 책으로, 일종의 post-mortem (회고)이다. 직접 저술한 책이어서 그런지 무척 훌륭하다. 왜 발생했는가에 대한 원인부터, 왜 E-coli 효과로 인해 급속도로 공포 심리가 확산되었는지, 왜 레만 브라더스가 망했고, 사실 “선별적 구제와 퇴출”를 한 것이 아니라 사실 못 구제한 것이라든지, 스트레스 테스트의 중요성과 TARP (긴급 금융 구제 프로그램)와 같이 대중들은 무척 싫어한 정책둘이 왜 필요했었는지 여러가지 이야기들을 내부자의 시각에서 무척 디테일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무척 흥미롭게 읽은 책이다. 다만 어느정도 거시 경제학에 대한 기본 지식이 있어야 쉽게 읽을 수 있다. 강력 추천!!

투자

Random Walk Down Wall Street (★★★★★)

무척 훌륭한 개인 투자 입문서! 기업의 내재가치를 중시하는 이른바 워렌 버핏 식 현금 흐름 투자, 그리고 주가의 기대 상승률을 중시하는 이른바 모멘텀 투자 각각의 시각을 다루며, 포트폴리오 이론이 왜 등장했고, 왜 패시브 인덱스 펀드가 액티브 펀드를 이겼는지, 어떻게 human error들을 줄일 수 있는지 등에 대해 잘 설명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이 책 내용을 바탕으로 발표를 한 번 해보고 싶고, 북클럽 토론도 해 보고 싶은 책이다. 추천!

사회

플랫폼 제국의 미래 (★★★✩✩)

이른바 FAANG 까는 내용으로 가득찬 책이다. 그런데 솔직히 수준은 <콘텐츠의 미래> 보다 한 수 떨어진다. 저자가 뉴욕타임즈 이사로 있으면서 구글에 기사를 제공하지 말라고 생떼부리는 부분이 그러한데, 나는 저자가 기본적인 소비자 컨텐츠 환경이 변했다는 것을 모르고 있다는 증거로 본다. 뉴욕타임즈는 컨텐츠 기업이 아니라 플랫폼 기업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책 후반부로 갈수록 점점 진한 라떼향이 나는 꼰대책이 되어가는 점이 아쉽다.

역사, 인류학

인간의 흑역사 (★★★★✩)

인류학 책으로, 문체가 유머러스해서 재미있다. 오스트레일리아 토끼 통제 불능 사태, 모아이 섬의 멸망, “저 새는 해로운 새다”로 잘 알려진 마오 쩌둥의 중국 대기근, 식민지배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마일 vs 미터 단위 실수로 화성탐사기가 화성에 처박힌 사건 등 한숨 나오는 사건들을 흥미롭게 잘 풀어냈다. 서구 학자의 입에서 식민지배를 비판하는 이야기를 듣는 것은 무척 놀라운 경험이었다.

1962 (★★★★★)

인류가 하마터면 멸망할 뻔 했던 쿠바 미사일 위기를 상세하게 논픽션 형태로 풀어낸 책으로, 마치 스릴러를 보는듯한 엄청난 필력이 이 책의 강점이다. 으스스한 점은, 전쟁을 통제할 의지가 있었느냐 뿐만 아니라, “실제로 통제할 수 있었느냐”가 더 중요한 문제였다는 것이다. 즉 사소한 실수와 국지적 사건이 언제든 핵전쟁으로 발전될 수 있었다는 점이다. 강력 추천 !!

인문

논픽션 쓰기 (★★★✩✩)

<이야기의 탄생>에 비견될 훌륭한 책이며, 글 자체는 더 잘 쓰여진 것 같다. 플롯 포인트를 어떻게 잡아야 하는지 등등이 흥미롭게 잘 서술되어 있다. 그런데 중간부터 너무 기술적인 부분으로 흘러가서 중도 하차했다.

걸어 다니는 어원 사전 (★★★✩✩)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단어들의 어원들을 이야기하는 책이다. 심심풀이로 읽어볼만한 책인데, 문제는 주로 영어권 어원 사전이라서 가슴에 크게 와닿지 않는다는 점이다. 중도 하차.

혐오의 시대, 철학의 응답 (★★★★✩)

혐오 표현도 표현의 자유를 위해 허용되어야 할까? 시대에 묵직한 화두를 던지는 책이다. 표현의 자유 vs 혐오 규제에 대한 논박 파트가 잘 쓰여져 있고, 토론하고 생각할만한 화두를 던진다. 내 개인 의견을 이야기하자면, 나는 저자와 마찬가지로 표현의 자유란 이름으로 혐오를 허용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누리는 “자유”의 상당수는 사실은 규제된 안전망 위에서 존재하는 것이다. 지구상 어느 나라도 완전히 자유로운 시장 경제를 만들지 않았다. 완전한 자유 시장 경제가 낳은 자체 모순 — 노예제나 아동 노동 — 들이 결국 철폐되었듯이, 시장 혹은 토론의 장이라 불리는 곳도 정치적 사회적 합의하에서 결정해나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즉 사회의 이익을 증진해야 한다는 목표 아래 있어야 하며, 표현의 자유를 권리라는 이름으로 포장해서는 안되는 것이다. 명확한 대안이나 결론이 없다는 것은 다소 아쉽지만, 논의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좋은 책이라고 본다. 추천!

정의란 무엇인가는 틀렸다 (★★★★✩)

공허한 마이클 샌델의 정의론을 논파하는 책이다. 어떻게 샌델이 롤즈의 자유지상주의와 벤덤의 공리주의와 같은 이론들을 오독하고 허수아비 때리기 기법으로 잘못된 결론으로 이끌엇는지, 그리고 이른바 미덕에 근거한 정의론이 얼마나 취약한 지점에 있고 수단과 목적이 뒤바뀐 자가당착에 빠지기 쉬운지를 논파하고 있다. 롤즈의 자유지상주의가 “사회에서 가장 취약한 사람의 복리를 증진하는 것이 목표” 라는 점은 흥미로운 지점이었는데, 그렇다면 이는 오히려 완전 복지국가의 목표와 일치하기 때문이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입장에서도, 평균(혹은 중위값) 성능을 증진시키는 것과, 하위 99% 성능을 증진시키는 것은 완전히 다른 문제라는 점에서도 흥미로웠다. 한가지 아쉬운 점이라면 <정의란 무엇인가>의 반대항으로 쓰여진 책이어서, 저자 본인의 주장이 강하게 드러나기 힘들었다는 점이다. 추천 !

회고록, 인터뷰

펀 홈: 가족 희비극 (★★★★✩)

그래픽 노블 형태로 풀어낸 개인 회고록이다. 아버지와 딸, 그리고 성소수자의 이야기와 이에 얽힌 희비극을 담담하게 풀어내고 있는 작품이다.

봉준호를 읽다 (★★★★✩)

책은 크게 3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 파트는 봉준호와의 인터뷰, 두 번째 파트는 봉준호 영화 세계의 전체적인 조망, 세 번째 파트는 보다 자세하고 기술적인 씬 분석이다. 개인적으로는 인터뷰 부분이 가장 좋았고, 인상깊었다. 봉준호가 미국의 한 대학교에서 마스터 클래스를 진행하게 되었다. 한 학생이 “가장 한국적인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하며 질문을 던졌다. 봉준호는 “부조리라고 생각합니다.”고 답했다. 이 문답이 책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아니었나 싶다. 부조리가 봉준호의 영화 세계를 이해하는 가장 핵심 키워드가 아닐까 싶다.

나는 행복한 불량품입니다 (★★★★✩)

멀쩡한 대기업 다니다가 마르크스 자본론을 강의하는 인문학 저자가 된 이력이 독특하다. 이 책은 본인의 삶에 좀 더 중점을 두고 있는, 자서전에 가까운 책이다. 마르크스의 <자본론>은 시대를 그은 명저임이 틀림없기는 한데, 모든 것을 노동과 자본으로만은 볼 수는 없는 현대 경제학의 입장에서는 고전은 고전이지만 또한 한계도 명확하지 않을까 싶다. 내가 책에서 보고 싶었던 것은 “마르크스의 자본론과 자본주의의 미래” 같은 내용이었는데, 이런 내용이 없어서 다소 아쉬웠다. 기회가 된다면 저자와 직접 만나서 인터뷰를 해보고 싶은 책 가운데 하나다.

생활

내 손에 인생사진 (★★★★✩)

인스타 사진 잘 찍는 법 실용 가이드. 사진과 예제들이 많아서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창업

당신의 가격은 틀렸습니다 (★★★★✩)

자영업자로서 메뉴 가격 결정을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한다면 한 번쯤 읽어볼만한 좋은 책이다. 핵심은 3가지인데, 남들에게는 없는 특징적인 메뉴를 만들고, 프리미엄 가격을 받으며, 미끼 상품을 통해 심리적으로 사람들이 프리미엄 상품을 구입하게 만드는 것이 핵심 팁으로 볼 수 있다. 자영업에 종사한다면 상당히 도움이 되는 실전적인 책이라고 볼 수 있다. 추천!

2021년 2분기를 함께한 책

소설

신들의 봉우리 (★★★★★)

“왜 에베레스트를 오릅니까?” 란 질문에 “거기 산이 있으니까”란 대답을 남기고 에베레스트 최초 등정에 나섰다가 실종된 것으로 유명한 조지 멜러리 경의 카메라가 발견되면서 책이 시작된다. 산악계의 영원한 떡밥인 조지 멜러리의 에베레스트 등정 여부를 핵심 소재 가운데 하나로 차용한 것도 흥미진진하지만, 산에 얽힌 산 사나이들의 이야기와 미스터리를 엄청난 필력으로 풀어내는 것이 이 책의 강점이다.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캐릭터다. 하부 조지와 같은 무척 매력적인 캐릭터들과 인물들간의 관계, 왜 산악인이 초등에 목숨을 거는가, 산을 오르는 이유, 디테일한 등반 과정의 묘사 등 걸작이라고 불리기에 부족함이 없는 책이다. 등산 다큐나 영화 혹은 소설을 좋아한다면 꼭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유년기의 끝 (★★★★✩)

의심할 바 없는 아서 클라크의 걸작 SF 가운데 하나. 충격적인 결말로 다른 수많은 서브컬쳐 (에반게리온 등)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친 작품이다. 개인적으로 5점 만점까지는 아니라고 보았는데, 이야기를 이끌어나가는 캐릭터가 다소 약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케럴랜, 제프, 조지 등의 인물들이 다소 수동적인 방관자 혹은 관찰자적인 역할에 그치고 있기 때문에 소설의 극적 내용이나 메시지가 오히려 반감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극의 진행이 더 극적이었으면 작품의 핵심 주제를 더 묵직하게 살릴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클로저 (★★★★★)

믿고 읽는 마이클 코넬리의 <해리 보슈> 시리즈. 클로저(closer)라는 제목은 장기 미제 사건 종결자가 된 해리 보슈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사건 해결을 추구하는 피해자 가족을 의미하기도 한다. 책 소개가 스포일러성 정보를 담고 있는게 단점이니, 책을 읽으려면 책 소개를 읽지 않기를.

탄환의 심판 (★★★★★)

역시 믿고 읽는 마이클 코넬리의 <미키 할러> 시리즈. 역시 한 번 손에 놓으면 끊기 힘든 법정 스릴러 페이지 터너다. 해리 보슈와의 첫 크로스오버 만남을 다루고 있기도 하며, 한 치 앞을 알기 힘든 전개가 일품이다. 추천!

배심원단 (★★★★★)

역시 믿고 보는 마이클 코넬리의 <미키 할러>시리즈. 배심원단 선정을 두고 벌어지는 스릴러가 무척 흥미진진하며, 미국 배심원 법정의 모습과 한계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다. 추천!

Die trying (★★★★✩)

잭 리처 시리즈의 2번째 작품이다. 재미있게 읽긴 했는데, 중후반부에 너무 기연이 남발되는 점이 아쉽다. 잭과 여주인공은 몇 번을 풀렸다 잡혔다 하는지 모르겠다. 초기작이어서 플롯이 다소 정교하지 못한 것 같다. 군필자 입장에서 영점도 안 맞춘 소총으로 장거리 저격하는 것도 실소를 자아내고.

Tripwire (★★★✩✩)

잭 리처 시리즈를 좋아하기는 하는데, 이 책은 별점을 깎을 수 밖에 없는 요인이 많다. 우선 다중 시점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내용진행이 다소 산만하다. 그리고 중간중간 등장인물들이 일회적으로 사용되고 버려지거나 비중이 증발하는 경우가 많고, 핵심 미스터리는 장르 소설을 많이 읽어본 사람이라면 무척 쉽게 추론 가능하며, 내용이 필요 이상으로 폭력적인 부분들이 많다. 끝까지 읽긴 했는데, 기대보다는 다소 실망스러웠다.

그들은 말을 쏘았다 (★★★✩✩)

한때 미국에 유행처럼 번졌던 이른바 연속 댄싱 대회인 “댄싱 마라톤”이라는 흥미로운 소재를 가지고 만든 작품이다. 다만 캐릭터의 심경 변화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이 잘 묘사되어 있지 않아서 좀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티핑 더 벨벳 (★★★★✩)

<핑거스미스>의 새라 워터스가 쓴 빅토리아 3부작 중 첫 번째 책. 레즈비언 문학이며, 좀 야하다. (..) 매력적인 캐릭터와 현실감있게 고증된 빅토리아 시대 배경이 매력적인 소설이며, 한 번 읽기 시작하면 손에 놓기 힘든 흥미진진한 플롯도 이 소설의 장점이다. 단점이라면 다소 일회적으로 끝나는 캐릭터들 (앨리스나 그레이스 등등)이 많다는 점이고, 총 3막으로 나뉘어진 전개 과정 사이가 다소 부자연스럽다고 느꼈으며, 캐릭터 빌딩 차원에서 등장인물들의 변화를 보다 깊이있게 다루었다면 더 심도있는 소설이 되었으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족으로 와이프는 요즘 볼만한 웹툰이 나와서 보다보면 다 BL 작가라는데, 왠지 이 작품도 그런 느낌이 없지 않다..

매끄러운 세계와 그 적들 (★★★★★)

훌륭한 SF 단편선 모음집으로, 개개 작품들의 퀄리티가 높다. 미스터리적 요소를 플롯에 효과적으로 배치하여 극의 김장감을 잘 끌어올리고 있고, 클라이맥스로 가는 호흡도 잘 조절되어 있으며, 캐릭터도 생동감있고 입체적으로 잘 살려두었다. 청춘소설을 연상시키는 “저속화” 에피소드와 “웨딩나이프”가 인상적이었다. 추천 !!

화이트블러드 (★★★★★)

걸작 게임 <데드스페이스>에서 공포물 요소를 제거한 듯한 SF. 표류한 세대 우주선, 성간 항해, 좀비, 인공지능 등등 취향 저격의 흥미진진한 요소들이 잘 배합되어 있는 맛있는 비빔밥 같은 소설이다. 주인공 캐릭터도 탄탄하고, 서브 캐릭터도 잘 설정해두어서 플롯을 흥미롭게 이끌어가고 있다. 추천 !!

딜러구트 꿈 백화점 (★★★★★)

방심하고 읽다가 클라이막스에서 나도 모르게 펑펑 울었다. 초중반 플롯은 다소 평이하고 극의 긴장을 이끌어나갈 원동력이 다소 약한 편이지만, 클라이막스의 폭발력이 좋은 편이다. 큰 상관 없을수도 있지만 <수면의 과학>도 같이 읽으면 좋다. 추천 !!

산책을 듣는 시간 (★★★★★)

엄마가 애 버리고 자신의 꿈을 찾아 탈출하는 (..) 내용이 인상적이다. 신카이 마코토의 <날씨의 아이>의 핵심 메시지와도 통하는 구석이 있는데, 어느 한 사람 개인의 희생이 강요되는 시대에서 벗어나야 하는 몸부림 자체가 사회에 던지는 질문이기도 하다. 결국 자기 인생 자기가 사는 것이지, 누군가의 일방적인 희생의 토대 위에 살아나갈 필요는 없지 않을까 하면서. 문장은 간결하고 읽기 좋게 되어 있다. 읽고 나서도 여러모로 자꾸 다시 떠오르게 만드는 소설이다.

이름 없는 자 (★★★★✩)

실종자들이 다시 등장하면서 벌어지는 살인 사건을 수사하는 스릴러이다. 추리 요소는 많지 않다. 그럭저럭 볼만하기는 한데, 오픈 엔딩 느낌으로 끝나며, 반전이 놀라운 정도의 수준은 아니다. 킬링 타임용으로 나쁘지 않다.

블랙 쇼맨과 이름 없는 마을의 살인 (★★★★✩)

히가시노 게이고의 소설은 문체와 구성 및 진행이 안정적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작품에서 기본 재미가 보장된다. 묘하게도 이 작품은 마술사가 나오는 추리물이라는 점에서 <역전재판> 시리즈를, 그리고 중학교 동창들이 과거의 사건에 연결되어 나오는 장면에서 <루트 레터> 와 같은 작품들을 연상하게 했다. 추리의 난이도는 장르물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금세 알아챌 수 있을 정도로 크게 높지 않은 편이지만, 히가시노 게이고의 작품은 추리 난이도 때문이 아니라 캐릭터와 전개 과정이 재미있어서 보게 되는 작품이라서 큰 의미는 없다. 추천!!

앨리스 죽이기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고어 추리 미스터리를 만나면 어떤 느낌일까? 바로 이 작품이 그렇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연상하게 하는 정교한 심볼과 이야기 구조, 그리고 미스터리의 조합이 낯설면서도 독특하고 생기가 있다. 현실 세계와 이상한 나라의 세계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살인 미스터리의 비밀을 풀어가는 이야기 진행이 흥미롭다. 추천!

과학

블랙홀과 시간 여행 (★★★★★)

<인터스텔라>의 과학적 자문을 맡은 것으로도 유명한 킵 손이 일반인을 대상으로 집필한 블랙홀 교양과학 책.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을 시작으로 어떻게 블랙홀에 대한 이론적 배경이 탄생하고 실제 관측까지 이르렀는지, 블랙홀을 통해 인류의 우주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학계의 굵직굵직한 연구들이 어떤 의문들을 대답하게 위해 등장했는지, 블랙홀 물리학의 다양한 함의와 내용들을 일반인들도 이해하기 쉽게 무척 잘 풀어 쓴 것이 이 책의 최대 장점이다. 천문학과 물리학에 관심이 많다면 한 번 읽어보기를 권한다. 다만 1993년 나온 책이어서 최근 연구 성과들(Event Horizon Telescope)이 반영되지 않은 점은 다소 아쉬운 부분이다.

공학자의 세상을 보는 눈 (★★★★✩)

일상 생활에서 만나는 각종 사물에 얽힌 공학적 배경을 풀어나가는 책이다. 기계공학에 관련된 주제들이 메인이지만, 다른 연관분야로도 많은 설명이 있고 이를 일반인도 어렵지 않게 잘 설명한 것이 장점이다. 추천 !!

퍼스트 셀 (★★★★✩)

<암: 만병의 황제의 역사>로 내게 깊은 인상을 남긴 싯다르타 무케르지와 아는 사이라는 점에서 내 관심을 끌었다. <암: 만병의 황제의 역사>이 질병의 역사와 투쟁기라면, 이 책은 암에 대한 보다 개인적인 감상에 초점을 둔 책이다. 각 챕터의 제목은 저자가 담당했던 암환자의 이름이다. 그리고 마지막 챕터의 제목이 바로 남편의 이름이다. 그것이 바로 이 책을 단순한 환자 관찰기가 아니라 그 이상의 무게를 가진 책으로 만든다. 다소 청승맞다는 느낌이 중간중간 들기는 하지만, 무척 훌륭한 책이다. 암의 미래가 치료가 아니라 예방에 더욱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도 공감가는 부분이다. 죽음에 대해서도, 그리고 의미없는 연명 치료에 대해서도 깊게 생각할 거리가 많은 책이다. 추천!

입자 동물원 (★★★★✩)

양자 역학, 표준 모형, 그리고 기본 입자들에 관심이 있다면 좋은 책이다. QED, 파인먼 다이어그렘, 경로 적분 등을 쉽게 설명하고 있다. 처음에는 번역이 다소 낯설었는데 (광자를 빛알로 번역한다든지 등등), 문장 호흡이 다소 긴 점을 제외하면 입자물리의 기본개념과 LHC 가동의 기본 원리, 그리고 이를 통해 실험 물리학이 어떤 문제를 풀고 있는지 일반인도 이해하기 쉽게 잘 설명하고 있는 점이 좋다. 추천!

Seven Brief Lessons on Physics (★★★★✩)

책은 짧고 간결하고 문학적으로 씌여 있다. 다만 사변적이고 철학적인 내용들이 많아서 일반 교양과학서라고 하기에는 내용이 조금 난해할 수 있다. 이런 사변적 내용들은 주로 결론 부분에 있고, 그 앞까지는 현대 물리학을 간결하고 아름다운 문체로 잘 소개하고 있다.

기원, 궁극의 질문들 (★★★★★)

가벼운 책인줄 알고 크게 기대하지 않고 읽었는데, 생각보다 내용이 깊고 다양한 책이다. 패널 토의를 통해 천문학이 현재 마주하고 있는 질문들과 학계의 흐름들에 대해 신선하게 잘 설명하고 있다. PDF여서 폰으로 읽기가 힘들었던 점을 제외하고 괜찮다. 초끈 이론가와 실험 물리학자의 은근한 신경전도 엿볼 수 있다.

사이언스 앤 더 시티 (★★★★✩)

도시라는 주제를 과학 교양서에 잘 풀어낸 책이다. 어려울 수 있는 주제를 흥미롭게 잘 풀어가고 있고, 미래의 도시에 대한 청사진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단점은 각 챕터별로 퀄리티가 들쭉날쭉하다. 특히 부르즈 할리파에 얽힌 고층건물 파트는 재미있게 읽었는데, 마지막의 네트워크 파트는 인터넷 글 짜집기 같은 느낌이 들었다. 잔반적으로는 읽을만하다. 추천!

기술

Designing Data-intensive Application (★★★★★)

별 5점도 부족한 책. 의심할 바 없는 최고의 분산 시스템 개론서이다. LSM-Tree 기반 스토리지부터 컨센서스, 최근의 배칭 시스템, 스트리밍 시스템, 그리고 마이크로 서비스까지, 분산 데이터 시스템의 주요 토픽들과 왜 해당 기술들이 등장하게 되었는지 무척 잘 풀어서 설명하고 있다. 백엔드 시스템 개발자가 아니어도 컴퓨터 관련 직종에서 일하는 사람이라면 꼭 읽어보는 것이 좋다. 개인적으로는 이 책을 대학원 시절에 읽었더라면 졸업이 더 빨라지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회사에서 약 3개월간에 걸쳐서 이 책을 바탕으로 직장 동료들과 북클럽을 진행한 적이 있는데, 무척 많은 것을 배운 소중한 시간이었다. 강추!!

반도체란 무엇인가 (★★★✩✩)

기술 명세서 같은 느낌의 책이다. 보다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왜” 특정한 기술이 도입되었는지, “왜” 특정 기술이 중요한지에 대한 motivation 관점에서 책을 썼었으면 더 좋았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있다. 끝까지 읽기는 했는데, 관련 전공자가 아니면 읽기 어려울 듯하다. 중반부터 한글과 영어가 섞인 미묘한 문체도 거슬릴 수 있다.

심층 학습 (★★★★✩)

딥러닝의 대부 중 한 명인 이앗 굿펠로우의 책인데, 책이 일반 교양서라기 보다는 학부/대학원 교과서에 가깝다. PDF의 퀄리티가 크게 좋지 않아서 읽기가 힘들다. 수학 공식도 무척 많이 나오고 유도 과정도 많이 나오기 때문에 교과서를 공부한다는 느낌으로 봐야 한다.

러스트 프로그래밍 공식 가이드 (★★★★✩)

서버 프로그래밍의 새로운 스타로 떠오르는 Rust 의 언어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이 책을 읽었다. 메모리와 소유권에 대한 아이디어들을 잘 정리해 둔 점이 마음에 든다. Modern C++ 에 익숙한 사용자라면 크게 어렵지 않게 Rust로 바로 옮겨갈 수 있을 것 같다. 이외에 함수형 언어에서 따온 많은 장점들 (match, lambda, cons)이 Rust의 장점이다. 10년 후의 서버 프로그래밍 언어의 트렌드가 무엇일지는 모르겠지만, Rust 혹은 그 후계 언어가 한 자리를 차지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한국어 임베딩 (★★★★★)

훌륭한 한국어 머신 러닝 입문서이다. 머신러닝의 기초 개념을 어느 정도는 알고 있는 것을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기본 개념은 미리 숙지해야 한다. Word2vec이나 BERT 같은 비교적 최신 언어처리 기법까지 기초개념들을 잘 설명하고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단점이라면 중간중간 정보의 밀도가 다소 높은 챕터들이 있는데, 이것을 소화시키는 것은 개인차가 좀 있을 것 같다. 바로 예제를 실행해 볼 수 있도록 예제코드를 제공해주는 것도 장점이다. 추천!

함수형 언어 산책 (★★★★✩)

Lisp, Haskell과 같은 함수형 언어의 기본 개념과 철학에서부터 최근의 MapReduce나 Spark에 이르기까지 함수형 언어들이 어떤 족적을 남겼는지 잘 설명하고 있다. 대학원 수업에서 MiniML 을 프로그라밍 수업으로 들으면서 무척 힘들었던 기억이 난다. 함수형 언어는 일단 절차형 언어와 철학부터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인 디버깅이 쉽지 않다. 머릿속에 그림을 그려놓고 코딩을 해야지, 대충 한줄씩 코딩하면 안된다. 나는 함수형 언어의 가장 큰 유산은 Immutability라고 생각한다. Iteration이 아닌 immutability로 튜링 머신의 레지스터를 제거함으로써 디버깅의 간편화와 많은 문제 해결을 낳았고, Rust와 Modern C++도 이러한 함수형 언어의 철학의 일부분을 가져오고 있다.

플레인 센스 (★★★★★)

하이잭부터 기내 화재까지, 실제 민항 항공기의 각종 규정들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심도있게 이야기하는 책이다. 조종사 출신의 저자가 직접 쓴 책이어서 문장도 좋고 내용도 풍성하다. 책에서 “FAA의 모든 규정은 피로 씌여진 것이다”는 말이 가장 인상적으로 다가왔다. 지금 존재하는 모든 항공 규정들이 커다란 사고가 있고 나서야 하나씩 개선되어 온 것이다. 항공화재가 왜 위험한지, 그리고 어떻게 해야 human error 를 줄일 수 있을지에 대한 설명도 좋았다. 추천!

사회

2040 디바이디드 (★★★✩✩)

서문을 거창하게 시작해서 내용이 있을 줄 알았는데, 다루는 내용은 짜집기 블로그 같은 내용으로 좀 얄팍하다. 예를 들어 핀테크를 설명하면서 인도의 마이크로 크레디트를 예로 들고 있는데, 아는 사람들은 알겠지만 요즘 거의 망한 상태다. 자율주행이나 바이오 그리고 3D프린터의 과장된 hype를 여과없이 설명하는 느낌이 강하고, 거의 대부분의 정보를 그냥 뉴스에서 짜집기한 듯한 느낌이 강하게 들었다. 심심풀이로 읽어보기에는 나쁘지 않지만, 심오한 인사이트를 얻기는 힘든 책이다.

오늘부터의 세계 (★★★✩✩)

신문 기사 인터뷰 모음집 같은 책. 석학이라고 다 제대로 아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제레미 러프킨의 빅테크와 사물잍터넷에 대한 대담은 실소를 듬치 못하게 했고, GMO에 대한 음모론에 가까운 비방은 한숨을 쉬게 했다. 책을 쓰려면 기본 사실 확인정도는 해야하는 것 아닌가?

몬드라곤의 기적 (★★★★✩)

책을 읽다보면 저자를 직접 만나서 인터뷰하고 싶은 책이 있다. 이 책이 딱 그렇다. 기회만 된다면 책 저자를 만나서 직접 인터뷰 하고, 기업과 협동조합의 미래에 대해 이야기해보고 싶다. “삶의 표현은 그저 살아 있다는 것이 아니라, 다시 태어나고 적응해간다는 것이다.”, “자본은 주인이 아니라 하인이다”와 같은 구절이 마음에 든다. 모든 조합원이 1인 1표의 권리를 행사하는 협동조합이 대규모로 성장해서 세계화 시대의 기업들과 경쟁할 수 있다는 사실은 우리에게 여러모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책을 읽으면서 든 흥미로운 질문 가운데 하나는 이것이다. “현대 자동차 노동자들은 현대자동차를 경영할 수 있을까?” 협동조합의 최대 장점은 주인-대리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완벽하지는 않더라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협동조합 출자금의 이자율이 연간 7.5% + 인플레 = 약 11%인데 이는 거의 S&P 500 수익금에 가깝다는 점에서도 나쁘지 않은 것 같았다. 다만 노동자 소유의 협동조합 형태 기업이 실제적으로 성공을 거둔 사례가 많지는 않다는 점에서 아직까지는 주류 대안이 되기에는 부족하지 않을까 싶다. 1억에 가까운 협동조합 출자금도 부담이 될 수 있고.

논픽션

Moonwalking with Einstein (★★★★✩)

랜덤하게 섞인 카드 한 벌 (52장)의 순서를 기억하는 것은 얼마나 힘들까? 대개 이는 특별한 천재들만이 가능하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렇지 않다. 기억력은 특별한 천재들만의 재능이 아니며, 누구나 기억술(mnemonics)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다. 공간 및 시각 정보 그리고 연상 기억이 훨씬 더 오래간다는 사실을 이용해서 임의의 정보를 기억하는 방법이 바로 기억술이며, 이를 통해 랜덤하게 섞인 카드 두 벌 (104장)의 정보를 기억하는 테크닉을 살펴볼 수 있다. 무척 재미있게 읽었는데, 다만 중간중간 늘어지는 챕터들이 있다. (가장 잘 기억하는 사람 v. 가장 기억 못하는 사람) 그리고 기억술의 핵심 기법을 얘기할 듯 안할 듯 감질맛나게 하면서 핵심까지 걸리는 시간이 길다는 것이 단점이다. 그리고 낭만적인 논픽션 문체가, 괜찮을 때는 괜찮은데 가끔 거슬릴 때가 있다. 실생활에 써먹을만한 기억술이 많지 않은 점도 아쉽다. 추천!

리더십, 자기계발

어서 와, 리더는 처음이지 (★★★✩✩)

리더십이나 조직 문화책으로서는 다소 가볍다. 퍼블리나 브런치에 있을법한 짧은 단문 글 모음집같은 느낌으로, 가볍기 읽기에는 나쁘지 않다.

Deep work (★★★★✩)

어떻게 해야 이메일 확인 등과 같은 “작고 간단히 처리할 수 있는” 이른바 shallow work을 줄이고 “시간이 많이 걸리지만 장기적으로는 가장 중요한” deep work에 시간을 투자할 수 있을까? 책을 읽으면서 많은 부분들을 공감할 수 있었던 좋은 책이다. 기말고사 전날에는 청소하기나 백분토론 같은 프로가 누구에게나 재미있게 느껴졌을 것이다. 이 책에서는 왜 우리의 뇌가 이러한 shallow work에 대해 즉각적으로 반응하도록 되어 있고 무엇이 deep work으로 가는 것을 방해하는지, 그리고 우리의 생활 패턴과 습관 변화를 통해 어떻게 해야 deep work에 보다 잘 들어갈 수 있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저자도 이러한 deep work을 통해 1년 13편의 논문 퍼블리시와 같은 엄청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어떻게 하면 몰입(flow)에 들어갈 수 있을지 궁금한 사람들을 위해 추천한다.

비지니스, 경영

룬샷 (★★★★★)

핵심 통찰을 잘 전달하는 말콤 글래드웰의 느낌이 강하게 나는 책이다. 어떻게 해야 이른바 “혁신”을 가져오는 기업을 운영할 수 있을까에 대한 중요한 통찰들이 들어간 좋은 책이다. 글도 간결하고, 예화를 통해 잘 설명하고 있다. 물리학의 상전이(phase-shift)를 기업에 대입해서 설명하는 것은 무척 흥미로운 아이디어이다. 책에서 설명하는 효율적인 조직 규모 방정식은 흥미로운 통찰을 제공한다. 구글의 경우 맥킨지식 승진 절차, Google X 와 같은 독립된 연구소를 통해 흥미로운 일을 제공하는 것이 왜 혁신에 중요한지 알게 되었다. 또한 이 책을 통해 버나바 부시에 대해 더 잘 알게 된 것이 큰 소득이다. 질문도 많이 떠오르는 책이다. 통제된 발화를 경제학에 적용할수는 없을까? 하는 질문들 말이다. 다만 기업의 문화가 기업의 시스템보다는 크게 중요하지 않단느 주장에는 크게 동의하기 힘들다. 기업의 문화는 중요하다. 기업의 흥망성쇠를 좌우할 수는 없어도, 30% 정도의 경쟁우위는 제공해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추천할만한 좋은 책이다.

OKR 전설적인 벤처투자자가 구글에 전해준 성공 방식 (★★★★✩)

구글에서 일하다보니 OKR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로 책을 통해 살펴보니 배울 것이 많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OKR의 구체적인 성공 사례들과 교훈들, 그리고 실제로 어떻게 업무에 적용하는지에 대해 잘 나와 있다. OKR은 기업 문화에 크게 의존한다. 투명하며 피드백과 개인의 성장을 장려하는 문화가 제대로 조성되어 있지 않다면 OKR은 크게 효과를 거두기 어렵지 않을까 싶다.

컬쳐 레버리지 (★★★✩✩)

기업의 조직문화에 대한 책이다. 전반적으로는 기업 문화에 대한 괜찮은 내용을 폭넓게 다루고 있다. 다만 좀 산만하다. 내용들은 많은데 머리속에 쏙 기억남는 것이 별로 없고, 단편적인 예화들만 듬성듬성 기억난다. 더 통일성 있게 책을 구성했더라면 좋았을 듯 싶다.

스포티파이 플레이 (★★★✩✩)

스웨덴의 기업 스포티파이의 기업 평전. 스포티파이가 어떻게 거대한 레이블들과 협상하면서 음악 스트리밍계의 거부가 될 수 있었는지의 과정을 잘 설명하고 있다. 다만 책의 깊이가 얇다. 이런저런 일이 있었다는 사건을 나열하는 정도의 글들인데, 흥미롭기는 하지만, 중요한 통찰이 보이지 않아서 아쉽다. 왜 다운로드에서 스트리밍으로 흘러갔는가? 음원 스트리밍의 미래는 무엇이고 앞으로의 경쟁은 어떻게 될 것인지, 등등에 대한 더 심오한 통찰이 있었으면 좋았었을 것 같다.

더 골 (★★★★★)

생산 관리 혹은 소프트웨어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강력 추천!! 에 영감을 준 바로 그 책으로, 저자의 Theory of Constraint (TOC) 를 소설 형태로 재미있게 잘 풀어내고 있다. 재고 최소화, 의존성 경로, 일회 작업량(batch size) 줄이기, 병목 작업의 개선 등 복잡해보이는 생산 관리의 문제를 직관적인 설명을 통해 어떻게 해결해 나가는지를 무척 잘 설명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LG와 같은 큰 기업에서도 이를 도입해서 커다란 효율성 향상을 거두었다고 알고 있다.

책의 중요한 몇 가지 메시지가 있다. 첫째는 생산성이 부분 효율성과 같지 않다는 것이다. 즉 모든 공정에서 일꾼들이 한시도 쉬지 않고 돌아가고 있는 공장은 최적의 상태가 아니며, 오히려 최악의 상태에 가깝다는 것이다. 이에 얽힌 비밀을 풀기 위해서는 “생산성이란 무엇인가?”라는 근원적인 질문으로 돌아가야 한다. 생산성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는 “현금 창출률, 재고, 운영비”이다. 저자는 이중에서 재고를 현금 흐름의 관점에서 정의한다. 즉 생산되어 출하를 기다리는 제품의 수량이 아니라, “판매하려는 물품을 만드는 데 투자한 총액”으로 정의하는 것이다.

둘째는, 전체 생산의 속도를 결정하는 것은 이른바 가장 느린 공정이다. 이른바 병목 현상(bottleneck)이, 바로 시스템 전체의 생산량을 좌우하는 제한 요소(constraint)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병목 공정을 지속적으로 찾아서 개선하는 것이 생산성을 향상하는 가장 중요한 열쇠이다. 다른 공정에 시간과 자원을 투자하는 것은 오히려 재고를 늘리게 된다.

책의 다른 핵심 메시지는 아래와 같다:

  • 이른바 “부가가치”는 혼란을 가중시키기 때문에 빼야 한다. 즉 절반 정도 완성된 제품은 원재료보다 더 가치있다는 사고방식을 버려야 한다.
  • 기존의 원가 계산 방식은 현금 창출률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
  • 현금 창출률은 시스템 내부로 들어오는 돈이고, 재고는 시스템 내부에 잠겨 있는 돈이며, 운영비는 현금 창출률을 높이기 위해 나가는 돈이다. 즉 현금 창출률은 공장 수입에 관련된 돈이고, 재고는 내부에 쌓여 있는 돈이다.
  • 공장 전체는 적정 가격과 적정 조건 아래서 판매될 수 있는 하나의 투자라고 볼 수 있다. 즉 투자는 재고와 같다.
  • 생산능력이 시장 수요에 정확히 조정된 경우, 그러니까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정확하게 조정된 경우에는 현금 창출률은 점점 줄어드는 반면 재고는 천정부지로 치솟게 된다. 상황이 여기에 이르게 되면, 재고량이 증가해 운영비에 속하는 재고의 물류비도 늘게 된다.
  • 즉, 생산 속도가 시장 수요보다 약간 느린 것이 좋다. 생산 속도와 시장 수요가 동등하게 유지된다면 시장 수요가 감소할 경우, 결국 생산자가 손해를 보게 된다. 병목 자원에서 생산자원의 시간이 낭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첫번째 원칙이다.

책의 말미에 있는 역자의 해설 부분도 잘 쓰여진 부분이다. TOC를 실제 현장에 적용시켜나갈 때의 어려움들을 저자의 경험으로 잘 녹여내고 있으며, 실제 재고 관리에서는 재고량보다는 “시간”이라는 요소를 통해서 관리하게 된다는 점이 의외로 마르크스의 <자본론>과 상통하는 점이 있었다.

이하 잡설.

  • 소프트웨어 산업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지는가? 그렇다. 그리고 이에 대해서는 를 읽어보면 많은 영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회사에서 backlog가 쌓여가는 내 입장에서도 생각해볼 부분들이 많다. 회사 운영 측면에서 이를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 프로젝트 launching에 대한 보상으로 승진시키는 것이 과연 회사에 있어서 장점일까? 아닐 것 같다는 생각이 요즘 든다. 기술 부채가 대표적이다. 일을 할 때, 승진할 수 있을 것 같은 일에 집중하게 되지, 남이 남기고 간 tech debt는 잘 건드리지 않게 된다. CEO가 단기적인 수익에 집착해서 장기적인 연구 개발을 등한시하기 쉬운 것과 비슷한 원리이고, owner-agent 문제와도 비슷한 구석이 있다. 그렇다면 인사 관리 측면에서 해법은 무엇일까? 남아 있는 bug 수를 바탕으로 측정해야 하나? unwritten test는 어떻게 잡아내야 하나? 재고 관리 측면에서 기술 부채 혹은 backlog 를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 일회 작업량을 줄이는 것은 context switching 코스트를 높이게 되는데, 그래도 되나? 그 trade-off 지점은 무엇일까? 어떻게 해야 지속적으로 constraint를 찾고 이를 개선해 나갈 수 있을까?

경제

협동의 경제학 (★★★✩✩)

행동경제학과 경제민주화를 고민하는 좋은 책이다. 다만 개인적으로는 중도 하차하였는데, 다른 경제학 책들에 비해 특별히 새로운 내용은 없는 것 같아서였다. 그리고 중간중간 정치적 견해들이 책에 많이 드러나는데, 나와 정치적 스펙트럼은 비슷하지만 책에 꼭 넣을 필요는 없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여하튼 중도 하차. 협동에 대한 책의 관점이 독특했으며, 인상깊은 구절은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상호적이고, 따라서 협동은 진화의 산물이다. 다만 최근 300년 동안 인간은 이기적이라고 주장하는 학문이 세상을 지배했을 뿐이다.” “사회를 시장원리로 조직하면 그 사회는 붕괴한다.”

투자

현명한 투자자 (★★★✩✩)

투자의 고전이기는 한데, 요즘 읽기에는 아무래도 시대에 뒤쳐진 느낌이 든다. 우선 예제로 드는 기업들이 어떤 기업들인지 이해가 잘 가지않는다. (IBM 밖에 모르겠음) 채권의 비중도 요즘 보기에는 지나치게 큰 편이며 (물론 그때는 수익율이 높았지만), 그리고 인덱스 펀드가 없다. 시장 시스템이 많이 정교화된 요즘 보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가치 투자 원칙과 포트폴리오 구성, 리밸런싱 등은 한 번씩 다시 곱씹어볼 필요가 있다. 인상깊은 구절은 “낙관론자도 돈을 벌 수 있고, 비관론자도 돈을 벌 수 있지만, 탐욕스러운 사람은 절대 못 번다.” 장기 가치 투자의 중요성을 요약한 한 구절 아닐까 싶다.

저널리즘

사진이 말하고 싶은 것들 (★★★★✩)

포토 저널리즘의 역사 중 중요했던 사건들을 배경과 시사점 측면에서 흥미롭게 잘 설명하고 있다. 다들 한번쯤 봤을 법한 유명 사진들이다. 사실 맥락이 어긋나서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낳은 경우가 많다는 사실이 흥미롭게 다가왔다.

심리학

타인을 읽는 말 (★★★★✩)

심리학 분류에 속하는 책으로서, 상대방과의 라포르(혹은 래포트로 음역하는 경우도 있음)를 통해 어떻게 원하는 것을 얻어낼 수 있는지를 잘 설명하고 있다. 무척 실제적인 가이드이고, 풍부한 상황 설명이 강점이다. 자녀들을 대할 때에도 어떻게 헤야 감정 싸움하지 않고 할 수 있는지 좋은 기준점들을 많이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분야에 관심있다면 도 추천한다. 추천 !

불행한 관계 벗어나기 (★★★★✩)

미묘하다. 내가 아는 상담의 기본은 상담자가 스스로 해답을 알고 있으며, 상담사는 그것을 이끌어내도록 도와주는 역할인데, 이 책의 저자는 주도적으로, 거칠게, 때로는 혼내면서 상담한다. 이래도 되나? 싶은 부분들이 다소 있나 싶은데, 내가 상담 전공이 아니다보니 혼란스럽다. 내 개인적인 의견은, 물론 이렇게 상담할 수도 있지만, 맞는 방법일까 하는 의문이 들게 만든다는 점이다. 참고로 책에 나온 사연들은 하나같이 우울한 부부관계 사연들이다.

회고록, 전기

저글러, 땜장이, 놀이꾼, 디지털 세상을 설계하다 (★★★★★)

디지털 세상을 연 정보 공학의 창시자, 그리고 내 직업을 만들어주기도 한 클로드 섀넌의 전기이다. 책을 무척 잘 썼다. 인물 전기가 자칫하면 제대로 다루지 못하는 아이디어 파트, 즉 정보 이론의 핵심 이론도 비 전공자가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설명되어 있다. 책을 읽다보니 세상에 정말 천재는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고, 저글러이자 주식투자자였던 섀넌의 생애가 무척 흥미롭게 다가웠다. 개인적으로는 “주식 투자를 어떻게 해야 돈을 잘 벌 수 있나요?” “내부자 정보지요.” 하는 장면에서 빵 터졌다. 참고로 제임스 글릭의 <인포메이션>과도 어느정도 겹치는 점이 있다. 추천!!

문화

웹툰 스쿨 (★★★★★)

내가 웹툰 작가가 될 건 아니지만 흥미롭게 읽었다. 플롯과 스토리 그리고 시나리오 작법 파트에 꽤 많은 공을 들인 책이고, 다루는 내용들도 깊이가 있다. 현업 웹툰 작가와의 심도있는 인터뷰도 좋다. 웹툰 작가를 진지하게 고려하는 사람이라면 꼭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Press Reset (★★★★✩)

<Blood, Sweat, and Pixels>의 제이슨 슈라이러의 신작. 이번 책은 게임업계 종사자들의 직업 안정성을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는, 전작보다는 좀 더 어두운 책이다. 성공적인 게임(Bioshock Infinite)을 내놓고도 디렉터의 변덕으로 스튜디오를 닫은 바이오 쇼크 사태나, 38 Games 사례 등 스튜디오 닫기가 일상사인 게임 업계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많지는 않지만, 외주화, 노동조합, 그리고 재택근무와 같은 약간의 Silver lining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PS5 및 Nvidia RTX 3080 Ti 구매기

요즘 리셀러(-_-) 때문에 PS5와 그래픽 카드 구하기가 무척 힘들죠. 저도 2달 정도 고생해서 겨우 PS5와 Nvidia RTX 3080 Ti Founder Edition 하나씩 구입했는데요, 도움될까 싶어서 몇 가지 팁 될 정보 올려봅니다.

PS5

아실 분들은 아시겠지만, PS5 와 XSX는 없어서 요즘 못 구하죠. 비싸게 ebay 등에 올라오는 리셀러 상품을 살 수도 있는데, 보통 1.5 – 2배 정도 높여서 가격을 부릅니다. 따라서 스톡이 들어올 때 Amazon 이나 Target 과 같은 온라인 상점에서 사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그런데 온라인 상점에서 stock 이 풀리면 (보통 restock 혹은 drop이라고 부릅니다) 이른바 리셀러들이 사용하는 bot 들이 엄청나게 낚아챕니다. 사람이 클릭하는 것보다 bot이 훨씬 더 빠르기 때문에 이기기 힘든 구조죠. 요즘은 온라인 상점들도 나름 anti-bot 조치를 취해서 상황이 조금 낫기는 하지만, 그래도 아직 힘들기는 합니다.

ps5를 구할 때 몇 가지 팁 될 정보들을 올립니다.

  • restock alert 서비스들을 이용한다. 그러면 ps5가 각 상점에 restock 될 때마다 바로 알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저는 아래의 3가지 서비스를 이용했습니다:
  • https://www.restockify.com/product-trackers/gaming/consoles/playstation-5-digital/
  • https://www.nowinstock.net/videogaming/consoles/sonyps5/
  • https://fastalerts.io/product/playstation-5-disc/
  • 문자, 이메일, 웹, 혹은 앱보다는 discord 채널에서 직접 alert를 받는 것이 가장 안정적입니다. 디스코드에는 ps5 구하는 사람들이 수다떠는 채널도 있어서 각종 팁 (그리고 뻘글들..)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이외에 twitter에 각종 ps5 restock alert bot 들이 있습니다. 저는 twitter를 잘 사용하지 않고, notification들이 너무 산만한 것 같아서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 PS5를 구할 수 있는 온라인 스토어에는 아래와 같은 것이 있습니다.
  • Amazon: 대략 1달에 1번 주기로 restock이 됩니다. 일단 restock이 되면 물량이 좀 있는 편이어서, 몇 분 내로 접속해도 안정적으로 구매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Add to cart” 하고 스톡이 없다고 에러 메시지가 떠도, 포기하지 말고 한 10-20분 정도는 계속 시도해보시기 바랍니다.
  • Target: 1-2주 주기로 자주 restock이 됩니다. 홈페이지가 좀 불안정할때가 있더라구요. 사실 제가 접속했을때는 늘 out of stock 이었습니다.
  • Bestbuy: 3-4주 주기로 restock 되는 것 같습니다. Bestbuy에서 구매시에는 반드시 한 번에 하나의 탭에서만 구매하셔야 합니다. 크롬 탭 여러개 열어놓고 하시면 안됩니다. 봇을 막기 위한 일명 “Verify Loop”가 존재해서 그러는데요, 여러 탭에서 동시에 리프레시 & 카트 담기를 시도하면, 봇으로 판명하고 다시 “Verify Account”로 돌아갑니다. 컴퓨터와 핸드폰으로 각기 다른 계정으로 해서 성공했다는 이야기도 있는데요, 이 경우에도 핸드폰은 무선랜이 아니라 모바일 데이터 플랜으로 접속해서 ip를 다르게 잡히도록 하시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TotalTech 라고 해서 연 $200을 내면 수리 및 서포트를 24시간 해주는 서비스가 있는데요, 이게 있다면 ps5 를 구매할 수 있는 추가 찬스를 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200은 다소 비싸다는 것이 중론입니다.
  • Sam’s Club: 아주 가끔씩 뜨는 것 같은데요, 샘스클럽 멤버십이 있다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단점은 주로 번들 상품들이어서 가격이 다소 비쌀 수 있습니다. (PS5 + 컨트롤러 2개 등등) 이미 멤버십이 있다면 하나의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만, 뒤늦게 카트 담고 멤버십 만들어야 한다면 이미 늦을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Walmart: 거의 매주 restock 됩니다. Walmart의 특징은 Walmart+라는 일종의 아마존 프라임 비슷한 무료 배송 서비스를 사용하면 역시 전용 추가 구매 찬스가 주어집니다. 1달짜리 옵션으로 약 $15불 정도를 내야 하는데요, 저는 Walmart+를 통해서 구매할 수 있었습니다. 다만 무료 trial walmart+ subscription으로는 안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walmart+ 멤버라면 꼭 NIST 시간을 이용해서 정확히 홈페이지가 열리는 시간 (4시 정각 등)에 page refresh를 하셔서 구매하시면 됩니다. 저는 4시 정각에 클릭하자 6분 대기열로 들어갔는데요, 무사히 구매할 수 있었습니다. Walmart는 탭을 2개 정도 열어놔도 괜찮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PS Direct: Play Station Network 계정이 있다면, 소니에서 직접 판매하는 스토어에 계정을 등록하고 추첨을 기다리는 방법이 있습니다. PS 사용량이 많을수록 더 확률이 높다고는 하는데, 테스트삼아 만든 와이프 계정이 당첨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는 것으로 보아 weighted random이 아닐까 싶습니다. 손해볼 것 없으니 미리 등록해두시기 바랍니다.
  • 공통적으로, 모든 온라인 스토어에 대해 미리 계정을 만들고 신용카드 및 배송 주소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계정을 미리 만들어두는 것을 깜박해서 놓친 적도 있었습니다.
  • 배송일을 보고 휴가 일정 등을 미리 조정하시기 바랍니다. ps5 도난 사건 많이 일어나죠. 다 성공하고 마지막 수령에서 실패하시면 안됩니다. 저는 하필 ps5가 배송되기로 한 날에 out of town이어서 fedex vacation hold를 걸어두느라 조마조마했습니다. 다소 늦기는 했지만 이후 무사히 잘 받을 수 있었구요. 도난사고가 많으니 가급적 집에 계셔서 수령하시기 바랍니다.

Nvidia graphics card

비트코인 채굴과 원격 근무로 인한 수요 폭증으로 그래픽 카드를 제값에 구하는게 무척 힘들죠. Nvidia 그래픽카드가 특히 더 힘들구요. 아마존 리뷰를 보면, 진위는 알 수 없지만, kidney를 팔아서 겨우 하나 샀다는 리뷰가 많습니다. 여러분은 그러지 마세요.

저는 개인 AI 프로젝트를 하려고 카드를 하나 구매하려고 했는데, 약 1달 정도 걸려서 겨우 Nvidia RTX 3080 Ti FE 구매 성공했습니다. 개인적인 베스트는 아니지만 (Nvidia RTX 3080 FE를 노렸었습니다) 이정도면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몇 가지 팁들을 올려봅니다.

  • 원하는 제품과 가격 range를 결정합니다. 원한다면 지금이라도 ebay에서 올라오는 되팔이 제품들 구할 수 있습니다. 가격이 2배 비싸다는게 문제죠. 또한 이러한 그래픽 카드 대란에 편승해서, 몇몇 그래픽 카드 회사들은 LED 같은 크게 중요하지 않은 옵션을 붙여 비싸게 카드를 판매하고 있기도 합니다. 예를들어 Zotac RTX 3080 AMP HOLO의 경우 가격이 $1,399입니다. 반면 같은 칩을 사용한 Nvidia RTX 3080 Founder Edition은 $699죠. 제조사에 따라 팬과 쿨링, LED 튜닝 등의 몇몇 장점들이 더해지기는 하지만 그럴만한 가치가 있는지 따져보고 가격 레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는 RTX 3080의 경우 $700 – $1200정도를 range로 보았습니다.
  • Alert를 설정합니다. 위에 적어둔 restockify, nowinstock, fastalerts.io에서 원하는 그래픽카드별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역시 discord 채널이 가장 안정적이어서 discord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각 스토어별 팁:
  • Amazon: 1-2주에 한번씩 몇몇 제품들에 한해 restock 되는 것 같습니다. 문제는 한밤중에 할 때도 많아서요 (새벽 3시;;) 원하는 카드를 등록해놓고 알람이 오면 벌떡 일어나서 시도해보시면 됩니다. 주의할 점은, 3rd-party 리셀러들이 가격을 높여서 동시에 판매하는데요, 잘 보시고 amazom.com warehouse 에서 직접 MSRP로 파는 제품들을 사셔야 합니다. 가끔 used가 올라오기도 하니 헷갈리지 마시구요. 또한 3rd-party 리셀러들 중에서 사기를 치는 경우가 있습니다. MSRP 가격으로 한두개씩 올려놓고, 배송되었다고 하고는 돈 받고 잠수타는 경우입니다. 물론 amazon에서 돌려주기는 하지만 큰 돈이 몇달동안 묶여있게 되니, 반드시 셀러의 매장 정보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중국에서 배송하는 New MSRP 3rd-party seller 제품은 거르는게 상책입니다.
  • Bestbuy: 1주일에 한번씩 대부분의 제품들이 restock 됩니다. 주로 매주 목요일에 되구요, 서부 시간으로 7시 – 10시 정도에 드롭되는 것 같습니다. 가장 안정적인 구매처구요, 저도 bestbuy에서 구매했습니다. 한 번 드롭되기 시작하면 대략 30분 – 1시간에 걸쳐서 물량이 나뉘어서 풀립니다. 따라서 sold out 되었다고 해도 긴장을 늦추지 말고 alert를 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위에도 이야기했지만, 한 번에 한 탭만 사용하셔서 verification loop를 꼭 피하시기 바랍니다.
  • Microcenter: 만약 근교에 microcenter가 있다면 직접 매장을 방문해서 확인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오프라인 매장에 가끔 예고없이 restock 을 하는 경우가 있다고 하더라구요. 물론 거리가 멀면 불가능하고, 집 근처에 있어서 오다가다 한두번 정도 들리는게 부담되지 않는 경우라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
  • evga.com: EVGA의 Nvidia 제품군들은 Asus나 MSI에 비해서 다소 저렴해서 좋습니다. EVGA 제품은 evga.com에서 직접 구매할 수도 있는데요, EVGA 제품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있다면 홈페이지에서 제품 시리얼 코드를 등록하고 elite membership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럼 제품이 새로 restock 되었을 때 elite membership access를 통해 구매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또한 EVGA B-stock 이라고 해서 일종의 리퍼비시 상품들도 판매합니다. 원하는 제품들을 등록해두면 나중에 물건이 올라왔을 때 알람이 옵니다. 저는 한 번도 알람을 받아본 적이 없지만, 밑져야 본전이라고 리퍼 제품도 괜찮다면 등록해두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상황에 따라서 고려해볼만한 스토어:
  • Newegg Shuffle: newsletter 등록을 해두면, 매일 서부시간 아침 8시에 추첨 등록할 수 있습니다. 주로 번들 상품 (그래픽카드 + 메인보드)을 추첨하는데요.. 일단 당첨 가능성이 크게 높지 않고, 무엇보다도 번들되는 제품까지 포함하면 가격이 창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 고려해볼 수 있는 옵션일수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그다지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 역시 공통적으로, 모든 온라인 스토어에 대해 미리 계정을 만들고 신용카드 및 배송 주소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이외 잡설

  • Fairgame 과 같은 open-source bot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코딩을 어느정도 하실 수 있다면 다운받아서 사용하실 수도 있구요. 저도 초기에 한 번 사용해 보았는데요, amazon의 product 페이지를 수시로 접속해서 만약 제품이 떴을 경우 자동 결제합니다. 문제는 amazon의 자체 anti-bot 시스템이 있어서, 너무 자주 들락날락하면 bot으로 판명하고 아예 결제시에 페이지에 에러를 띄워버립다. 그런데 언제 restock 될지 알 수 없으니 며칠씩 돌려놔야 하는데, 그러다보니 anti-bot 에 걸리지 않게 조절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 같더라구요. 그래서 조금 시도해보다가 포기하고 restock alert가 들어오면 수동으로 결제 시도하는 방향으로 바꿨습니다.

결론

PS5와 그래픽 카드를 구하는 분들 스트레스 많이 받습니다. 알람듣고 급하게 핸드폰 및 컴퓨터로 뛰어가서 광클했는데 out of stock.. 그러면 머리가 멍해지죠. 그게 싫어서 그냥 리셀러 제품 사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팁은 인내심을 가지는 겁니다. 늦든 빠르든 언젠가는 사실 수 있습니다. 내년 후반 정도 되면 물량이 좀 안정화될거라는 이야기도 있구요. 2-3달 정도 여유를 가지고 시도하면 MSRP에 사실 수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2021년 1분기를 함께한 책들

소설

우리가 먼저 가볼게요 (★★★★★)

소수자와 페미니즘을 주제로 한 SF 단편 모음집이다. 그것은 악몽을 꾸는 해양생물학자의 이야기이기도 하고, 사고로 하반신 감각을 잃은 여성의 이야기이기도 하고, 양육으로 힘들어하는 가정의 이야기이기도 하고, 평행세계와 복제인간의 이야기이기도 하고, 종말 이후의 세계와 기계 거인들과의 싸움 이야기이기도 하고, 화성에서 한국으로 역이민을 계획하는 가정의 이야기이기도 하고, 그리고 나는 우리 모두의 이야기라고 생각한다. 각 단편들의 완성도는 다소 들쭉날쭉 하지만 재미있다. 오히려 읽고 난 다음에 자꾸 머리에 남아서 다시 떠오르게 만드는 책이다. 추천!

무너지는 제국 + 타오르는 화염 (★★★★✩)

<노인과 전쟁>시리즈로 유명한 존 스칼지의 신작 SF. 은하제국이라는 큰 규모의 무대에서 벌어지는 군상극은 SF보다는 스페이스 오페라에 좀 더 가깝다. 은하제국의 몰락이라는 소재는 아이작 아시모프의 <파운데이션>을 연상시키는 설정인데, 좀 더 매력적인 다양한 캐릭터들로 극을 끌어가기 때문에 진행이 더 흥미롭다. 개인적으로 <파운데이션>시리즈는 정신 조작 같은 환타지 설정이 썩 마음에 들지 않았는데, 이 작품은 좀 더 현실적인 SF에 바탕을 둔 스페이스 오페라이다. 추천!

죽음을 보는 재능 (★★★★✩)

흥미롭게 읽은 능력자물 + 스릴러. 정교한 플롯이 인상적이다. 다만 결말에서 호불호가 갈릴 수 있다. 킬링타임용으로 추천.

표정 없는 검사 (★★★★✩)

캐릭터물의 특징이 강한 추리 스릴러. 라이트노벨의 느낌이 강하게 난다. 아쉬운 점이라면 여주인공의 비중이 공기에 가깝고, 시리즈물의 프리퀄에 해당하는 것 같다는 점이다. 후속작이 나와야 더 흥미로워질 것 같다.

The Inheritance Trilogy (★★★★✩)

3점과 4점 사이. 장점도 많은데 단점도 많다. 신들을 노예처럼 부리는 왕족, 계승 의식, 어머니의 죽음과 관련된 미스터리 등 흥미진진한 요소들이 많은 환타지 소설이다. 문체도 간결하고 읽기 좋다. 단점은 주제 의식이 그다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1권까지만 읽어서 그럴지도 모르겠지만, 결국 주제가 뭐지? 하는 생각밖에 들지 않았다. 계승 의식에 너무 큰 주안점을 든 구성이고, 클라이맥스의 우연적 요소가 강하다보니 결국 이 모든게 뭘 위한 것이었나 하는 생각이 들어 힘이 빠졌다. 더구나 2부에서는 주인공이 바뀌면서 흥미가 사라져 그냥 중도 하차했다. 나중에 다시 읽을수도.

The Killing Floor (★★★★✩)

잭 리처 시리즈 1권. <원티드 맨>을 읽고 처음 빠져들었는데, 역시 간결한 문장, 빠른 진행, 매력적인 주인공 캐릭터, 미스터리, 폭력 등 흥미로운 스릴러의 모든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야기의 탄생>에서 알게 된 베스트셀러 5막 전개를 교과서처럼 잘 따르고 있다. 한 번 읽기 시작하면 손에서 놓기 힘드니까 잠들기 전에는 읽지 말 것. 추천!

어페어 (★★★★★)

잭 리처 시리즈. 역시 한 번 책을 시작하면 끝까지 놓기 힘들다. 나중에 출판되었지만 시간상으로는 프리퀄이다. 추천!

악의 사슬 (★★★★★)

잭 리처 시리즈. “누구든지 잭 리처를 건드리면 X 되는 거예요” 같은 느낌의 킬링 타임 소설이다. 추천!

파기환송 (★★★★★)

믿고 보는 마이클 코넬리의 소설로, 해리 보슈 + 미키 할러 콤비의 파기 환송 사건을 다룬다. 스피디한 전개, 매력적인 캐릭터, 가슴 졸이는 법정 드라마와 탁월한 글솜씨 등 나무랄데가 없다. 추천!!

파묻힌 거짓말 (★★★★✩)

<밀레니엄> 시리즈를 연상케하는 스웨덴 스릴러. 초중반은 다소 느릿느릿하게 흘러가며, 중간까지는 와야 재미있어지기 시작한다. 그리고 시리즈물이어서 제대로 된 완결이 나지 않는 것이 단점이다.

내가 죽인 남자가 되돌아왔다 (★★★★★)

경쾌한 한국적 블랙 코미디 범죄 스릴러. 1981년 “범죄 없는 마을” 제도가 생긴 이래 단 한 해를 제외하고는 어떤 범죄도 일어나지 않아 신기록을 앞두고 있는 한 시골 마을 중천리에서 뜻밖의 시체가 발견되면서 사건이 시작된다. 장르물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작은 사회, 클로즈드 서클, 뜻밖의 반전과 같은 요소들과 함께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에필로그를 조금 더 풍성히 만들었으면 좋았을 것 같다는 아쉬움이 있다. 추천!

기술

The Unicorn Project (★★★★✩)

이전 작품 <Phoenix Project>를 읽었다면 이 책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Phoenix project가 DevOps를 다룬다면, 이 책은 Dev 와 Business 측면을 좀 더 다룬다고 볼 수 있다. 힘들었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런칭하는 장면은 다소 뻔할 수 있는 장면이면서도, 사람의 감정선을 뒤흔드는 점이 있다. 그것이 이 책의 매력인 듯. 책을 읽으면 성공적인 기술 리더십에 무엇이 요구되는지 잘 알 수 있다. 추천!

구글에서 배우는 딥러닝 (★★★✩✩)

과학잡지에 실릴법한 가벼운 인공지능 및 딥러닝 이용 케이스 스터디 모음집이다. 심심풀이로 읽을 정도는 되지만, 크게 영양가는 없다.

Software Engineering at Google (★★★★✩)

실제적인 구글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코드 리뷰, 코드 저장소, 테스트, 빌드 시스템 등등 상당히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단점이라면 좀 길다. 지나치게 디테일한 부분도 많다. 내 생각으로는 더 간결하게 만들고, 핵심 Key take-away를 강조했으면 더 낫지 않았을까 싶다. 즉 무엇이 문제였는지를 설명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여러 방법 중에서 왜 이것을 선택했으며, 어떻게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의사 과정을 중점으로 설명하는편이 나았을 것 같다. 챕터 중에서 Mono repo에 대한 고찰 부분은 이런 문제 해결 과정의 고민들이 잘 녹아 있는데, 다른 챕터들은 그런 느낌이 적어서 챕터별 편차가 큰 편이다.

냉장고를 공짜로 드립니다 (★★★✩✩)

깊이있는 인사이트는 다소 부족하지만 전반적인 IoT 흐름을 읽는데는 도움이 될 만한 책이다.

키워드로 정리하는 정보보안 119 (★★★✩✩)

키워드 중심이고 깊이는 크게 없어서 관련 자격증 등을 공부하는 용도로는 좋지만, 그 이상은 아닌 듯 하다.

과학

우리는 왜 잠을 자야 할까 (★★★★★)

빌 게이츠 형님도 추천한 책. 수면이 기억 보존과 건강, 그리고 치매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잘 설명하고 있다. REM 수면과 Non-REM 수면이 가지는 기능에 대한 챕터도 무척 도움이 되는 파트였는데, 수면이 왜 장기 기억과 학습에 도움이 되는지를 실제적으로 알 수 있게 되었다. 단점은 번역인데, 문장이 길다. 더 짧게 잘라서 번역했었어야 했다. 추천 !!

우연의 설계 (★★★✩✩)

특별히 새로운 내용은 없는 것 같고 (통계학, 심리학 등등을 설명하기는 한다) 뭔가 교조적으로 가르치려는 측면이 있으며 문체가 재미가 없다. 하지만 한 가지 observation은 괜찮은 편인데, 인류의 역사와 진화는 근본적으로 상당 부분을 우연성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문명과 전쟁>에서도 나타난 바 있는 내용이다. 여하튼 심심풀이용 책.

블랙홀의 사생활 (★★★★✩)

블랙홀의 이론적 발견부터 실제적 발견까지 이에 얽힌 과학사를 잘 풀어내고 있다. 상대성 이론에 대한 기본 지식이 있다면 (없어도 괜찮기는 하다) 더 잘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추천!

우리집에 화학자가 산다 (★★★✩✩)

그럭저럭 가볍게 읽을 수 있는 교양 화학 이야기. 일상 생활 속에서 자주 만나는 소재에서 화학 이야기를 끌어왔기 때문에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다만 중간중간 화학 보다는 물리학에 가까운 내용들이 많아서 다소 이야기가 산으로 가는 느낌이 있다.

실은 나도 식물이 알고 싶었어 (★★★✩✩)

식물에 대한 다양한 잡학 지식 사전. 각각의 글들이 짧기 때문에 가볍게 읽기는 좋으나 깊이는 다소 떨어진다. 또한 PDF 여서 핸드폰에서는 읽기가 힘들다. 그럭저럭 추천.

How Not to Die (★★★★✩)

고기 그만 먹고 야채 먹으라고 100번 이야기해서 귀에서 피가 나올 것 같은 책이다. 단순하게 “채식이 좋다!” 하며 강조하는 선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이유로 특정 채소들이 수명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각종 의학 논문과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책을 읽고 나면 식생활을 바꾸는 것이 수명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깊게 알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이 책을 통해 식생활을 진지하게 바꾸게 되었다. (1) 아침 식사로 시리얼을 줄이고 오트밀로 변경 (2) 고기 먹는 횟수 줄이고 샐러드 늘리기 (3) 매일 링핏으로 운동하기 (4) 과일 많이 먹기 (원래 많이 먹는 편이지만). 식생활이 수명에 끼치는 영향이 평균 10년 정도이니, 덜 아프고 오래 살고 싶다면 이 책을 한 번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단점은 책이 길고, 동어반복적이며 자기복제적인 내용들이 많다는 점이다. 책의 내용을 조금 더 덜어내고 핵심을 요약했더라면 더 나은 책이 되었으리라고 본다.

남극점에서 본 우주 (★★★★★)

남극에서 천문학 연구를 수행하는 물리학자들의 일상은 어떨까? 궁금하다면 이 책을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우주 배경 복사선, 그리고 지구 규모의 전파망원경 네트워크로 블랙홀 사진을 찍는 Event Horizon Telescope 프로젝트를 위해 남극점에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한국인 학자들의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무척 디테일한 남극 기지 생활의 단면을 엿볼 수 있고, 또한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상당히 전문적인 연구 내용을 잘 풀어쓴 점이 책의 최대 강점이다. 실험 천문학자의 삶과 연구에 관심이 있다면 꼭 읽어보기 바란다. 강력 추천!!

전쟁에서 살아남기 (★★★★✩)

군대와 과학은 빼놓을 수 없는 분야다. 실제로 군사 기술에서 파생된 과학 기술들도 많고, 그 역의 경우도 많다. 이 책에서는 군대의 과학 기술 중에서도 특히 일반인들에게 흥미로운 내용이 담긴 책이다. 군복을 어떻게 선정하는지, 전장의 소음과 청력 보호, 그리고 용변 처리와 같은 (!) 유쾌한 주제를 다루는 과학책으로 가볍게 읽을 용도로 추천한다.

사회

콘텐츠의 미래 (★★★★★)

훌륭한 책이다. 언론, 미디어, 물류업계, 출판사, 음반사 등등 다양한 업종을 넘나들면서 디지털 시대로의 컨텐츠 잔환의 도전과 기회를 이야기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키워드인 “연결성”을 이야기하면서, 미래의 콘텐츠 기업들이 무엇을 추구해야 할지를 무척 잘 설명하고 있다. 콘텐츠 제공 업체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씩 꼭 정독해볼만한 책이다. 마지막 파트에서 하버드 대학교의 온라인 수업 플랫폼인 HBX를 좀 푸시해서 설명하는게 살짝 거슬리기는 하는데, 그것 빼고는 강력 추천하는 책이다.

뉴파워: 새로운 권력의 탄생 (★★★★✩)

훌륭한 책이다. 아이스버킷 챌린지, 트럼프, Airbnb 등등 커뮤니티와 참여에 기반한 새로운 권력이 어떻게 떠오르는지 잘 설명하고 있다. <콘텐츠의 미래>와 같이 읽어도 좋다. 이 책에서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한국어 서문이다. 책을 많이 읽어왔지만, 이 책 서문은 다른 책들에 비해 정말 성의있게 잘 썼다. 한국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무척 높은듯, BTS 와 RM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한국의 뉴파워에 대해 논하는 모습이 무척 따뜻했다. 책을 읽고 나니 20년 후에는 김남준이 대통령이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은 전반적으로 괜찮은데, 미래와 결론 부분이 조금 약한 느낌이 있다.

텅 빈 지구 (★★★★★)

전 지구적으로 직면한 저출산과 인구 감소에 대해 잘 정리한 책이다. 실제로 한국, 중국, 인도, 아프리카 나라들을 서베이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의 교육과 도시화, 피임과 같은 요소로 인해 우리가 예측한 것보다 훨씬 빠르게 출산율이 떨어지고 있고, 이는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하는 현상이라는 것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저자가 제시하는 적극적 이민 정책의 포용이 이러한 저출산의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해법이라는 점에서도 수긍되는 면이 있다. 책을 읽으면서 자녀를 낳는 것의 비용이 지나치게 커진 한국의 경우에는 어떨까라는 생각이 뇌리를 떠나지 않았다. 배타적 민족주의가 강한 한국의 경우, 아쉽게도 적극적인 이민 정책은 쉽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저출산의 미래를 조망하고 싶다면 강력 추천!

성공의 공식 포뮬라 (★★★★★)

훌륭한 책이다. 사물 물리학, 네트워크 과학, 계량사회과학을 다루면서, “성공”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공식들이 무엇인지를 이야기하고 있다. 노벨상 수상자를 선정하는 방정식부터, 어떻게 네트워크가 성공에 영향을 끼치게 되는지, 그리고 나이가 아니라 도전하는 횟수에 성공이 비례한다는 점이 무척 인상적으로 다가왔다. 이 모든 것이 실제적인 통계를 통해서 설명하고 있고 자기계발서가 아니니 착각하지 말자. 위의 <플랫폼 제국의 미래>와 같이 봐도 좋은 책이다. 강력 추천!!!

정치는 뉴스가 아니라 삶이다 (★★★✩✩)

정치 입문서 같은 느낌이 강하고, 데이터에 기반했다기 보다는 주장에 근거한 책이라는 느낌이 강하다. 그냥 무난하게 읽을만한 책.

심리학

팩트풀니스 (★★★★✩)

재미있게 읽은 책이다. 우리가 단편적 편견에 뿌리를 두고 얼마나 사실로부터 쉽게 멀어져 나가는지에 대해 재미있게 잘 풀어나가고 있다. 중간중간 나오는 사례들도 재미있게 읽었다. 다만 원 저자가 집필 도중 암으로 사망했기 때문인지, 책의 도입과 전개 부분은 재미있는데 결론 부분이 다소 좀 빈약한 것 같다는 인상을 받았다. 추천!

경제, 경영

자본주의가 대체 뭔가요 ? (★★★★✩)

자본주의와 연관된 각종 기본 개념과 가정들, 그리고 그 가정들을 현실 세계에 적용할 때 어려운 점들 등을 잘 설명하고 있다. 수박 겉핥기 식이라서 자세한 디테일까지는 들어가지 않지만, 전반적인 주요 토픽들을 이해하는 정도로는 괜찮다. 추천!

면접의 힘 (★★★✩✩)

내가 극혐하는 behavioral 면접 중심이라서 사실 영양가는 별로 없었다. 기술 기업들은 tech interview를 보는 것이 일반화 되었지만, 일반 직종에서는 그나마 behavioral 면접이 대안인 것 같다. 한국의 채용 문화와 역량이 한층 성장하기를 기원한다.

자기 계발

식당, 생각을 깨야 이긴다 (★★★★★)

내가 식당 창업을 할 것은 아니지만, 무척 흥미롭게 읽었다. 식당 창업시의 우선순위를 여러 사례들을 들어가며 무척 잘 와닿게 이야기하고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고객 우선의 가치를 지켜나가는 것으로, 왜 메뉴를 단순화해야 하는 것이 중요한지 잘 알 수 있다. 요식업 창업에 생각을 둔 사람이라면 한 번씩 읽어볼 책으로 강력 추천한다.

디지털 미니멀리즘 (★★★★✩)

요약하자면 “트위터는 인생의 낭비”라는 퍼거슨 경의 명언을 논리적으로 풀어낸 책. <Deep Work>의 칼 뉴포트 교수가 쓴 책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원한다면 한 번 읽어볼만한 책이다. 책에서는 SNS를 비롯한 소셜 미디어를 피함으로써 어떻게 우리가 더 나은 생산성과 삶을 찾을 수 있는지 설명하고 있다. 나는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그리고 인터넷 뉴스 등도 잘 안 본지 오래되어서 수긍가는 면이 있다. 인터넷은 딱 필요한 부분만 하는것이 좋은 듯.

만렙 프레젠테이션 (★★★✩✩)

크게 영양가는 없는 프레젠테이션 강의. 나는 좋은 프레젠테이션이란 결론이 처음에 요약되어 있고, 문제 해결부터 시작하는 프레젠테이션이라고 생각하는데, 이러한 내용들이 그다지 없고 다소 기술적인 부분에만 치중해서 아쉽다.

인문

이야기의 탄생 (★★★★★)

시나리오 작법에 대한 책은 시중에 많이 나와있다. 하지만 이 책은 그중에서도 유독 돋보인다. 우리가 아는 유명한 작품들의 이야기는 사실 큰 틀에서 모두 서사를 공유하고 있고, 몇 가지 변주를 통해 독자가 빠져들게 만드는 이야기가 된다. 책에서는 그 이야기의 핵심 구조를 아래의 5막 구조로 정리한다.

  • 1막 : 이게 나다. 그런데 통하지 않는다.
  • 2막 : 다른 방법이 있는가?
  • 3막 : 있다. 나는 변화했다.
  • 4막 : 그런데 나는 변화의 고통을 감당할 수 있는가?
  • 5막 : 나는 어떤 사람이 될까?

뒤돌아보면, “성장물”이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이유도 그것이다. 위의 5막 구조를 선명하게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성장물이든 아니든, 모든 사랑받는 작품은 주인공이 어떠한 의미에서든 변하는 이야기이다. 전형적인 해피 엔딩에서는 주인공이 새로운 사람, 더 나은 사람이 되는 것이고. 책에서는 모든 캐릭터는 완벽하지 않으며, “신성한 결함”을 가지고 이야기가 시작된다고 본다. 그리고 이야기의 진행을 통해 그 결함이 노출되고 도전받으면서 캐릭터가 변화하는 것이 바로 매력적인 이야기의 근원이라는 것이다. 즉 입체적인 인물이 이야기를 매력적으로 만든다고 볼 수 있다.

또다른 하나는 정보 격차를 통해 매력적인 플롯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다. 즉 이야기의 화자는 아는데 독자는 모르는 이야기, 예를 들어 탐정이 고개를 끄덕이며 “수수께끼는 모두 풀렸다”고 선언하지만 독자는 해답을 알지 못해서 궁금해하는 바로 그 장면에서 우리는 이야기에 빠져들게 된다. 정보 격차가 극을 이끌어나가는 원동력이기 때문이다. 탐정 소설이나 미스터리 혹은 스릴러가 가지는 매력이 바로 그것이다.

책을 통해서 느낀 점이 많은데, 개인적으로는 “변화”가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믿게 되었다는 점이다. 꼭 이야기 뿐만 아니라 모든 인간사에 있어서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기독교를 포함한 모든 종교의 핵심도 자기 자신이 변하는 것에 있는 것이고. 누구나 그리고 모두가 변화하는 것이다. 10대의 내 세계관과 지금의 내 세계관이 다르듯, 이야기의 화자이건, 현실 세계의 인물이건, 결국 자신의 세계관이 도전받고 변화하면서 다른 사람이 되어 가는 것이며, 그것이 매력적인 인물이 되어가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여러모로 추천할만한 책이다.

인류학, 역사

세계사를 바꾼 37가지 물고기 이야기 (★★★✩✩)

대구와 청어가 인류사에 미친 영향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세계사 책이다. 다만 서양사 중심의 서술이고, 글의 진행이 다소 난잡하다. 셰익스피어 문학이나 고대사, 그리고 기독교 관련 역사 설명도 굳이 있었어야 했나 싶다.

세상을 바꾼 길들임의 역사 (★★★★✩)

인류사에 얽힌 주요 작물과 가축에 대한 흥미진진한 역추적 이야기이다. 길들임은 곧 기나긴 공생과 상호 변화의 과정이기도 하다. 이를 DNA를 바탕으로, 콩과 옥수수, 그리고 개와 같은 동물들이 언제 어떻게 작물화/가축화(domestification) 되었는지를 마치 탐정 소설처럼 흥미롭게 끌어나가고 있다. 인위적인 순응화라고 할만한 GMO에 대한 정치적인 우려, 유전자 오염, 그리고 몬산토에 대한 고찰도 재미있게 읽었던 부분이다. 단점은 문장의 호흡이 다소 길어서 잘 안 읽히는 부분이 있다. 추천!

오리진 (★★★★★)

훌륭한 인류학 책이다. 책의 범주를 설명하기 조금 난해한데, 인류학 + 빅 히스토리 과학책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총 균 쇠>의 핵심 주제 가운데 하나인 환경결정론을 빅 히스토리의 관점에서 풀어낸 독특한 책이다. 판 구조론, 고생물학, 지구대기와 해류의 흐름, 그리고 동물과 작물과 같은 거시적인 지구의 역사가 어떻게 인류사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게 되었는지 각각의 미시적인 주제들을 서로 연결하면서 큰 그림을 그려나가는 형태로 설명하는 글의 흐름이 무척 훌륭하다. 주제별로 잘 나누어서 쓴 것도 장점이다. 추천!